
총 1,378개
-
숭실대 신소재공학실험1) 9주차 고분자 열적물성 결과보고서2025.01.051. 고분자 열적물성 이 실험에서는 DSC와 TGA를 이용하여 PVAc와 PLA 고분자 블렌드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DSC 분석 결과, PLA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와 용융온도가 증가하였으며, 결정화 엔탈피가 감소하였다. 이는 PLA와 PVAc의 상용성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TGA 분석 결과, PLA가 PVAc보다 열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블렌드 조성에 따라 열분해 온도가 변화하였다. 실험 결과와 Fox 방정식을 통한 예측값 사이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DSC 측정 조건의 영향 및 고분자 물성 예측의...2025.01.05
-
화학공학실험 점도 결과보고서2025.05.101. 점도 측정 실험 이번 실험은 모세관 점도계인 Ubbelohde viscometer를 이용하여 polystyrene 고분자의 고유점도를 계산하고, Mark-Houwink-Sakurada 식을 이용해 K, a 값을 확인하는 실험이다. 고분자 시료가 점도계의 모세관을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농도와 환원점도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고유점도를 구하였다. 또한 Mark-Houwink-Sakurada 식을 이용해 분자량과 고유점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수 K와 a 값을 확인하였다. 2. 고유점도 계산 고분자 시료의 농도와 환원점도 관계...2025.05.10
-
공중합체 합성 및 IR 분석의 정제 [고분자화학실험 A+]2025.05.061. 공중합체 합성 이번 실험에서는 styrene과 MMA를 공중합하여 random copolymer를 합성하였다.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styrene과 MMA의 비율에 따라 달라졌으며, 실험 결과 styrene 3ml:MMA 7ml에서는 styrene 28.1%, MMA 71.9%, styrene 5ml:MMA 5ml에서는 styrene 48.5%, MMA 51.5%, styrene 7ml:MMA 3ml에서는 styrene 91.3%, MMA 8.70%의 조성비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공중합체의 조성이 모노머 투입량에 따라 달라짐을...2025.05.06
-
A+ 졸업생의 광중합 결과레포트2025.01.161. 광중합 이번 실험은 반응 시 열 대신 빛에 의한 에너지 공급으로 라디칼을 생성하는 광중합 실험을 하였다. 광중합은 광원을 제거함으로써 반응 종결 조절이 가능했다. 광중합을 이용하여 2개의 단량체를 구성단위로 하고 있는 공중합체 고분자를 중합하였는데, 여러 가지 공중합체의 종류 중에서도 불규칙한 공중합체를 중합하였다. 2. NMR 분석 H-NMR DATA 분석을 통해 중합된 고분자의 구조를 예상할 수 있다. 2-EHA 과 2-HEA를 광 개시제와 중합하여 random copolymer가 합성되게 되는데 NMR 기기를 사용하여 관...2025.01.16
-
A+ 물리화학실험1 <Exp 10. Analyzing Electronic Structure of Small Organic Molecules using PySCF> 레포트2025.01.201. Hartree-Fock 방법 Hartree-Fock 방법은 전자 파동함수를 기술하기 위해 이론적인 파동함수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전자 에너지를 계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Variational principle을 이용한 HF method는 전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평균적인 전기장으로 취급하여 각 전자의 운동을 독립적으로 다룬다. 이 방법은 가장 간단하고 빠르지만, 전자 간의 상관관계를 정확히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원자번호가 커질수록 오차가 커진다. 2. Basis set Basis set은 분자 궤도함수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2025.01.20
-
[물리화학실험] 점도(viscosity) 결과보고서2025.05.141. 점도 측정 이번 실험은 점도계를 이용해 고분자의 고유 점도를 구하며 점도계 사용법을 익히고 분자량을 알고 있는 고분자의 고유 점도를 구하고 Mark-Houwink-Sakurada 식을 이용해 고분자의 K, a의 값을 결정해 최종적으로 분자량을 알지 못하는 시료의 분자량을 결정해 보는 실험이다. 2. 고분자 분자량 측정 실험 1에서는 분자량을 알고 있는 고분자를 이용해 흐름 시간을 측정하고, 실험 2에서는 분자량을 알지 못하는 시료를 이용해 흐름 시간을 측정한다. 이를 통해 Mark-Houwink-Sakurada 식을 이용해 고...2025.05.14
-
A+ 졸업생의 PVAc 현탁중합 예비 레포트2025.01.161. PVAc (Polyvinyl acetate)현탁 중합 PVAc (Polyvinyl acetate)는 초산비닐 모노머를 중합하여 만들어지는 열가소성 수지입니다. 주요 특징으로는 무색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무정형 고분자, 연화온도가 매우 낮아 부드럽고 저온 흐름성을 가지며 점착력이 크다는 것입니다. 주요 용도로는 접착제, 도료, 종이 가공, 추잉껌 베이스 등이 있습니다. 2. 현탁 중합 실험 방법 실험 목적은 현탁 중합으로 PVAc를 중합하는 것입니다. 실험에 사용된 시약은 단량체 VAc, 개시제 BPO, 용매, 계면활성제 PV...2025.01.16
-
[A+] 단국대 고분자공학실험및설계2 <박막 및 용액의 형광 측정 (Photoluminescence)> 레포트2025.01.221. 반데르발스 힘 반데르발스 힘은 분자 내 전자밀도의 순간적인 변화에 의해 생성되는 분자 간 약한 상호작용으로, 대부분의 화합물에서 나타난다. 상호작용의 크기는 분자의 표면력에 의해 결정되며, 표면력이 클수록 분자 간 인력이 커진다. 분자 간 거리가 짧을수록 반데르발스 힘의 크기가 증가한다. 2. 형광과 인광 형광은 들뜬 상태의 전자가 빠르게 바닥 상태로 돌아오면서 방출되는 빛이며, 내부 양자효율이 25%로 낮다. 인광은 triplet exciton을 활용하여 100%의 내부 발광 효율을 만드는 원리이다. 3. 광발광 (Photo...2025.01.22
-
기체의 유출2025.01.181. 기체 유출 이 실험은 유출법을 이용하여 기체의 분자량을 결정하고 확산을 이용하여 기체의 분자 지름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체의 분자량 측정은 백금박을 사용하여 유출법에 의해서 구하고 분자 지름 측정은 모세관을 이용하여 확산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유출은 기체를 담고 있는 용기의 벽에 작은 구멍을 내고 이 구멍이 진공이나 낮은 압력에 연결되도록 하면 기체가 분자 운동에 의해 구멍을 통해 진공 쪽으로 빠져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확산은 이미 다른 기체가 들어 있는 용기에 어떤 기체를 넣으면 새로 들어온 기체는 용기 속에...2025.01.18
-
A+ 졸업생의 PS 유화중합 (결과 레포트)2025.01.161. PS 유화중합 실험 결과 및 분석 이번 실험에서는 PS를 유화중합법을 이용하여 중합하였다. 비수용성 단량체를 물에 분산시켜 마이셀 상을 만든 후 마이셀에서 고분자를 성장시켰다. 이때, 단량체를 물에 잘 분산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사용했다. 이 실험을 하면서 반응열의 조절이 용이했고, 예상컨대 고분자의 전환률이 높을 것이다. 실험 결과 젖빛의 액체인 라텍스를 수득하였고, 응집제를 넣으면 라텍스가 응집되어 고체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FT-IR 분석을 통해 Styrene이 PolyStyrene으로 중합되면서 구조적으로 변화...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