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5개
-
호흡의 기전과 호흡 조절의 기전2025.01.041. 호흡의 기전 호흡은 들숨과 날숨으로 구성되어 있다. 들숨은 가슴 용적 증가와 관련되어 있으며, 날숨은 가슴 용적 감소와 관련되어 있다. 들숨근에는 가로막, 바깥갈비사이근 등이 있으며, 날숨근에는 배 근육과 속갈비사이근이 있다. 이러한 근육들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공기가 몸 안팎으로 이동한다. 2. 호흡 조절의 기전 호흡 조절은 신경적 조절과 화학적 조절로 이루어진다. 신경적 조절은 연수의 호흡중추가 척추 신경을 통해 늑간과 횡격막 근육을 자극하여 호흡 운동을 일으키는 것이다. 화학적 조절은 혈액 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에 따라...2025.01.04
-
혈압의 기본적인 이해, 승압제 기전들2024.12.311. 혈압 조절 기전 혈압은 심장 출력량, 혈관 저항, 자율신경계, 호르몬 조절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됩니다. 교감신경계는 혈관 수축을 통해 혈압을 상승시키고, 부교감신경계는 혈관 확장을 통해 혈압을 낮춥니다.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도 혈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혈압 강하제 혈압 강하제에는 이뇨제, 교감신경 억제제, 안지오텐신 길항제, 혈관 확장제 등이 있습니다. 이뇨제는 혈액량을 감소시켜 혈압을 낮추고, 교감신경 억제제는 혈관 저항을 감소시킵니다. 안지오텐신 길항제는 RAAS를 억제하여 혈...2024.12.31
-
생리학 정리2025.01.171. 신경 조직 신경 조직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신경 전달 물질의 종류와 작용 메커니즘, 시냅스에서 일어나는 과정, 신경 전달 물질의 제거 방법 등을 설명하였습니다. 2. 척수와 척수 신경 척수와 척수 신경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였습니다. 반사 활동, 신경 회로, 감각 및 운동 경로 등을 정리하였습니다. 3. 뇌 뇌의 주요 부위와 기능을 설명하였습니다. 대뇌, 소뇌, 중뇌, 간뇌, 뇌간 등의 구조와 역할을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뇌의 혈액 공급, 뇌척수액 순환, 뇌신경 등에 대해서도 다루었습니다. 4. 체성 신경계 ...2025.01.17
-
항상성에 관하여2025.01.141. 항상성 항상성이란 생체가 여러 가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몸 안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성질을 말한다. 항상성 기전에 의해 생명체의 상태를 이상적인 정상 범위 또는 표준 범위 근처에서 유지하게 된다. 혈액 성상의 일정성이나 체온 조절이 대표적인 예이다. 2. 항상성의 작용 항상성 유지를 위한 세 가지 요소는 수용기, 조절중추, 효과기이다. 음성 되먹임은 표준 값에서 멀어진 편차를 작게 하거나 제한하는 것이며, 양성 되먹임은 초기의 변화에 대한 반응으로 계속해서 추가적인 반응이 더 발생되는 것이다. 3. 동물의 항상성 유지 ...2025.01.14
-
마취과 마취회복실 약물 정리2025.05.021. 자율신경계 약물 자율신경계 약물에는 교감신경계 작용약물, 부교감신경계 작용약물(근이완제, 근이완리버스, 항콜린제)가 있다. 교감신경계 작용약물로는 승압제인 에페드린과 페닐에프린이 있고, 부교감신경계 작용약물로는 근이완제 베크로늄과 로큐니움, 근이완리버스제 네오스티그민과 피리돌, 브리디온, 항콜린제 아트로핀과 로비놀 등이 있다. 2. 심혈관계 약물 심혈관계 약물에는 근육수축제, 혈관수축제(승압제), 혈관이완제, 이뇨제, 항부정맥제가 있다. 근육수축제로는 프리마코르, 에피네프린, 에페드린, 페닐에프린 등이 있고, 혈관수축제로는 에...2025.05.02
-
(A++)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 보고서(신경장애, 근골격계장애, 영양장애)2025.01.291. 신경장애 대상자 간호 신경계는 생각, 기억, 판단, 감각, 운동, 인지, 언어, 행동과 인격을 관장하는 중추로서 환경의 변화를 수용하여 해석하고 반응하여 신체와 정신을 통합하고 조절한다.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성되며,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이루어지고 말초신경계는 뇌신경, 척수신경, 자율신경계가 있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누어진다. 중추신경계는 두개골과 뇌막에 의해 보호되며, 뇌척수액이 순환하는 지주막하강이 존재한다. 1. 신경장애 대상자 간호 신경장애 대상자 간호는 매우 중요하고 전문적인 ...2025.01.29
-
신경과학-뇌신경과 뇌신경핵2025.01.161. Cranial Nerve 두개신경(Cranial Nerve)은 뇌에서 직접 나오는 신경으로, 감각 및 운동 기능을 담당합니다. 총 12개의 두개신경이 있으며, 이 중 감각신경핵과 운동신경핵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감각신경핵에는 삼차신경핵, 전정와우신경핵, 연수핵 등이 있으며, 운동신경핵에는 체성운동신경핵, 특수운동신경핵, 부교감신경핵 등이 있습니다. 2. Sensory nerve nucleus 감각신경핵에는 삼차신경핵, 전정와우신경핵, 연수핵 등이 있습니다. 삼차신경핵은 얼굴의 감각을 담당하고, 전정와우신경핵은 균형...2025.01.16
-
인체구조와 기능 문제 출제 과제2025.05.101. 소장 소장은 영양소 흡수의 주요 장소로, 대부분의 소화와 영양소 흡수가 일어나는 부위이다. 소장의 모세혈관망은 대부분의 영양소를 흡수하고, 암죽은 수분을 흡수한다. 소장의 말단부인 회장은 혈액 공급이 풍부하여 붉은색을 띤다. 2. 백혈구 백혈구에는 호산구, 단핵구, 림프구, 호염기구 등이 있다. 호산구는 백혈구의 2-4%를 차지하며, 증가 시 알레르기나 기생충 감염을 의미한다. 단핵구는 적혈구에서 생성되어 혈액을 순환한 후 조직에서 대식세포로 변환된다. 림프구는 골수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흉선에서 성숙하며, 장기 면역에 관여...2025.05.10
-
신경전달물질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2025.05.121. 신경전달물질 신경전달물질은 뉴런 사이의 시냅스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화학 물질입니다.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로는 아세틸콜린, 도파민, 세로토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은 일상생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데, 아세틸콜린은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혈압 저하, 맥박 감소, 소화 기능 향상 등을 일으키고, 도파민은 운동 조절과 감정 조절에 관여하며, 세로토닌은 수면, 체온 조절, 기분 조절 등에 영향을 줍니다.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은 다양한 신경정신과적 질환과 연관될 수 있어, 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2. 아세틸콜린 아세틸...2025.05.12
-
물벼룩 심장박동 관찰2025.01.041.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 이번 실험은 물벼룩이라는 생물을 통해 신경전달물질, 호르몬 등의 화학적 자극이 심박수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 관찰하였다. 온도 변화와 아드레날린, 아세틸콜린, 니코틴, 카페인 등의 화학물질을 처리하여 물벼룩의 심박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온도가 낮아지면 효소 활성이 감소하여 대사 작용이 줄어들어 심박수가 감소하고, 온도가 높아지면 교감신경이 자극되어 심박수가 증가하였다. 화학물질의 경우 수용체 결합 정도에 따라 심박수 변화가 달랐는데, 아드레날린은 가장 잘 결합하여 심박수를 가장 크게 증가시켰고, 아세틸콜린은...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