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7개
-
이화여대 생명과학실험 A+ 리포트(DNA plasmid transfection, Immunoprecipitation)2025.01.231. DNA plasmid transfection DNA plasmid transfection 실험의 목적은 고분자-유전자 복합체를 이용하여 동물 세포에 plasmid DNA를 넣어 세포의 형질을 전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단백질 A에 대한 염기서열 옆에 epitope tag인 V5 폴리펩타이드에 대한 염기서열을 같이 붙여서 플라스미드 DNA를 세포 내에 넣어준다. 그러면 플라스미드가 핵내에 들어가서 DNA 역할을 할 수 있고, 이후 벡터 DNA가 mRNA로 전사되어 V5가 붙은 단백질 A가 발현된다. 2. Immunopre...2025.01.23
-
골수유래대식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 및 대식작용 실험 보고서2025.05.141. 선천면역작용 모든 동물에는 병원체가 전에 침입했던 경험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감염이 일어난 즉시 방어반응을 나타내는 선천성 면역(innate immunity) 시스템이 존재한다. 소수의 수용체군을 이용하여 특정 병원균의 그룹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특징을 인식하며, 신속하게 반응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2. 염증성 cytokine 사이토카인은 면역 과정에서 세포간 신호 전달 과정에 관여하는 물질이다. 인터류킨, 인터페론, 모노카인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염증반응(inflammatory response)이 나타나는 것은 상처나 ...2025.05.14
-
약리학 항암제정리2025.05.121. 항암제 약리 대부분의 항암 화학요법제(항암제)는 유전자의 본체인 핵산의 합성을 억제하거나 헥산의 기능을 저해함으로써 세포분열이 왕성한 악성종양 세포에 강하게 작용하여 항암효과를 발현한다. 항암제의 병용요법은 항암제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암세포들이 항암제에 대해 나타내는 내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작용기전을 가진 항암제를 병용하는 방법이다. 항암제에 대한 암세포의 내성 발현 및 그 기전에는 1차 내성과 2차 내성이 있다. 2. 알킬화제 알킬화제는 DNA와 쉽게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DNA의 정상적 합성 및 복제를 방해함으로...2025.05.12
-
Barr body 관찰 및 PTC 미맹 테스트2025.01.041. Barr body 관찰 이번 실험에서는 구강상피세포를 채취하여 aceto-orcein 시약으로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Barr body의 구조와 특성을 확인했습니다. Barr body는 핵 내에서 핵막에 붙어 있는 응축된 X염색체로, 여성의 체세포에서 한 개의 X염색체가 불활성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실험 결과 대부분의 세포에서 Barr body가 관찰되었으며, 일부 세포에서는 2개 이상의 Barr body가 관찰되기도 했습니다. 이는 세포 분열 과정에서의 이상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2. PTC 미맹 테스...2025.01.04
-
코로나19 백신의 모든 것2025.05.111. 전통적 백신의 작용 원리 인체의 면역계는 병원체에 대응하여 항체를 만든다. 한번 항체가 형성되면 같은 병원체에 대해서는 면역이 형성되게 한다. 백신은 독성을 약화시킨 병원체를 체내에 주입해 항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항체가 형성되면 실제 독성을 지닌 병원체가 침입했을 때 빠르고 효율적으로 면역체계가 이에 반응할 수 있게 된다. 2. 전통적 백신 플랫폼 전통적 백신 플랫폼은 생백신과 사백신이다. 생백신은 독성이 약한 병원체를 직접 주입하여 면역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만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사백신...2025.05.11
-
고려대 일반생물학실험II 레포트 Exp.6 혈구와 혈액형 관찰2025.01.231. 항원-항체 반응 실험 목적은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혈구를 관찰하고 혈액형을 판정하는 것입니다. Wright 염색약을 사용하여 세포 내 특정 구조를 식별하기 위해 염색을 하며, 에오신은 세포질의 염기성 단백질을, 메틸렌 블루는 동물 핵산과 산성단백질을 염색합니다. anti-A 혈청과 응집원 A, anti-B 혈청과 응집원 B가 일종의 항원-항체 반응인 응집반응을 하여 미지의 혈액형을 알 수 있습니다. 2. 혈구 관찰 실험 방법 중 혈구 관찰 부분에서는 손가락을 알코올 솜으로 닦은 후 자동 란셋으로 혈액을 채취하고, 혈액을 슬라...2025.01.23
-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with 대상포진 CASE 간호진단과 간호과정 4개2025.05.101.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만성림프구백혈병은 성숙한 림프구가 과도하게 증식되는 골수 종양이다. 림프구의 종류에 따라 B세포성과 T세포성으로 구분된다. 만성림프구백혈병은 소아에게 발생하는 경우는 적고, 50대 이후의 중년 남성에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질환의 발생률은 연간 10만 명당 1~3명 정도로,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에서는 림프구라고 불리는 백혈구가 성장하면서 종양으로 변하고, 그에 따라 골수 내에 과도하게 증식되어 정상적인 혈액 세포의 생산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면 정상 백...2025.05.10
-
DNA, RNA 백신2025.01.181. DNA, RNA 백신의 작용 메커니즘 DNA와 RNA 백신은 세포 내로 도입되어 단백질로 번역되는 과정을 거치며, 이를 통해 MHC-I 및 MHC-II 경로를 활성화하여 CD8+ T 세포와 CD4+ T 세포를 자극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DNA 백신의 경우 DNA가 mRNA로 전사되고 단백질로 번역되는 과정을 거치며, RNA 백신은 ORF, 5'/3'-UTR, cap 구조, polyA tail 등을 포함하여 효율적인 단백질 생산을 도모한다. 2. 핵산 기반 백신의 장단점 핵산 기반 백신의 장점은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하며, ...2025.01.18
-
간염 문헌고찰(간략)2025.01.131. 간염 간염은 간에 생긴 염증을 말하며,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보유자 상태, 무증상 감염, 급성 간염, 만성 간염, 전격성 간염 등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HBV)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로, 한국인의 7%인 350만 명이 보균자이며 이 중 50만 명이 B형 간염 환자로 파악된다. HBV는 혈액과 체액을 통해 주로 전파되며, 혈청학적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와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간세포 손상은 면역학적 기전에 의해 발생하며, 유전적 요인, 항체 반응, T세포 활성화 등의 영향을 받는다. ...2025.01.13
-
[생명공학] CD34+ HSC isolation from umbilical cord blood, mixed lymphocyte reaction2025.05.031. CD34+ HSC isolation from Umbilical Cord Blood HSC(Hematopoietic Stem Cell)는 인체 내에 존재하는 모든 혈액 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줄기세포입니다. CD34 gene은 HSC부터 어느정도 분화가 이루어진 progenitor level에서까지 발현되기 때문에 이를 CD34+ cell들을 세포막에 붙어있는 CD34 protein의 특징을 이용해서 정제할 수 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MACS microbead sorting 방법을 이용하여 항원항체반응을 통해 CD34+ HSC를...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