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1개
-
인체 계통별 약물군의 약물의 작용기전, 종류와 작용(효능), 부작용투여 시 주의사항(A+ 보장)2025.01.101. 자율신경계 약물 자율신경계 약물에는 아드레날린 작용제가 있습니다. 아드레날린 작용제는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투쟁 또는 도피 반응의 증상들을 유도하며, 저혈압과 쇼크 치료제로 사용됩니다. 작용기전에 따라 직접, 간접, 혼합 작용제로 구분됩니다. 직접 작용제는 α, β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교감신경 흥분과 부신수질 호르몬 분비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며, 간접 작용제는 신경의 소포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방출을 증가시키거나 연접공간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차단하여 효과를 나타냅니다. 혼합 작용제는 α, β 수용체의 직접 흥분과 신경...2025.01.10
-
성인간호학 혈우병 case study (간호진단 3가지-낙상, 출혈, 불안)2025.01.131. 혈우병의 원인과 병태생리 혈우병은 응고인자의 결함이나 결핍으로 발생되는 유전적 출혈 장애로, 혈우병 A, 혈우병 B, 혈우병 C, 본빌레브란드병 질환 등이 포함된다. 혈우병 A와 B는 임상적으로 거의 구분할 수 없으나 검사치로 구별이 가능하다. 혈우병 A는 응고인자 VIII의 결핍, 혈우병 B는 응고인자 IX의 결핍으로 인한 출혈 장애이다. 2. 혈우병의 증상 혈우병의 주요 증상으로는 관절 내 출혈, 연부 조직 출혈, 근육 내 출혈 등 심부 조직의 출혈이 있다. 출혈은 가벼운 상처를 입은 후에 나타날 수 있으며 저절로 발생하기...2025.01.13
-
약리학 정리 표 (항응고제, 천식 치료제, 위장관 장애 치료제, 통증조절제)2025.01.231. 지혈, 응고 치료제 지혈과 응고 치료제에는 혈소판 응집 억제제, 비경구용 항응고제, 경구용 항응고제, 혈전 용해제, 지혈제 등이 있다. 혈소판 응집 억제제에는 아스피린, ADP 수용체 차단제, GP 2a/3b 수용체 억제제 등이 있다. 비경구용 항응고제에는 헤파린, LMWH, Xa 억제제, 직접 트롬빈 억제제 등이 있으며, 경구용 항응고제에는 와파린,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 등이 있다. 혈전 용해제에는 알테플라제, 테네텍테플라제 등이 있고, 지혈제에는 트라넥사민산, 보트로파제 등이 있다. 2. 면역 조절제 면역 조절제에는 면역 ...2025.01.23
-
뇌내출혈(ICH)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2025.01.181. 뇌내출혈(ICH, Intracerebral hemorrhage) 뇌실질 내에 일어나는 출혈을 말하며, 출혈 부위에 따라 기저핵 출혈, 시상출혈, 대뇌출혈, 소뇌출혈, 뇌교 및 연수 출혈 등이 있다. 출혈 자체는 2~3시간에서 수 시간 이내에 정지하지만, 출혈량이 큰 경우 brain herniation을 일으켜 사망할 수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외상, 고혈압, 혈관 기형, 혈액학적 장애, 뇌종양 등이 있다. 임상증상으로는 국소 신경학적 증상의 갑작스런 발생, 의식 수준의 저하, 두개내압의 증가 등이 나타난다. 치료는 혈압 조절,...2025.01.18
-
DVT(Deep Vein Thrombosis) 환자 간호 사례 연구2025.01.091. DVT(Deep Vein Thrombosis) DVT(심부정맥 혈전증)은 정맥에 혈전이 형성되는 질환입니다. 혈전과 염증이 동반되어 혈전성 정맥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DVT는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이나 정맥염 후 증후군의 위험이 높습니다. 정맥과 판막이 DVT에 의해 영구적으로 손상되어 추후 DVT 재발과 정맥 정체성 궤양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2. DVT의 원인 DVT의 주요 원인은 정맥정체, 과응고력, 정맥벽의 손상입니다. 정맥정체는 장딴지 근육의 펌프 기능 저하, 수술이나 비만, 임신, 울혈성 심부전 등으로 발생합...2025.01.09
-
신규 간호사 약물 정리 리스트2025.01.161. 갑상선 기능 저하증 씨지록신정 50μg은 갑상선 기능 저하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 분비가 부족한 상태로, 피로감, 체중 증가, 우울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씨지록신정 50μg은 합성 갑상선 호르몬을 공급하여 갑상선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2. 당뇨병 다이아벡스정 500mg은 2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거나 인슐린 분비가 부족한 상태로 발생하며, 다이아벡스정 500mg은 혈당 조절을 도와줍니다. 이 약물은 간에서 포도당 ...2025.01.16
-
혈소판감소증 간호과정 케이스 3개2025.01.041. 혈소판감소증 혈소판 감소증은 혈액의 응고와 지혈을 담당하는 혈액 내 성분인 혈소판의 수가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정상적으로 혈액 내에는 1㎕(microliter)당 150,000~400,000개의 혈소판이 존재하며, 이보다 혈소판 수치가 감소한 경우를 혈소판 감소증이라고 합니다. 골수에서 혈소판의 형성이 감소하거나, 비장 같은 특정 기관에 혈소판이 포획되거나, 또는 혈소판의 파괴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발생하게 됩니다. 경증의 경우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정도가 심해질수록 출혈 경향이 증가하여 양치질할 때 잇몸에서 출혈이 발생하거...2025.01.04
-
와파린(Wafarin) 복약 지도2025.01.241. 와파린 와파린은 항응고약물로, 환자의 몸 안에 불필요한 혈전이 생성되는 것을 감소시켜 줍니다. 혈전이 혈관을 막으면 뇌졸중 등의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와파린은 의사나 약사의 지시에 따라 정확한 용량을 매일 일정 시간에 복용해야 하며, 프로트롬빈 시간 시험(PT Test)을 통해 INR 수치를 확인하여 복용량을 결정합니다. 와파린 복용 시 음식과 다른 약물의 영향을 주의해야 하며, 외상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2. 프로트롬빈 시간 시험(PT Test) 프로트롬빈 시간 시험(PT Test)은 와파린 복용 시작 후 매일 또...2025.01.24
-
SCL 검체 용기 및 주요 검사 항목, 간호학과 자료2025.05.081. SCL 검체 용기 SCL 검체 용기에는 EDTA tube, SST tube, NaF tube, Transport medium, Sodium citrate tube, 결핵균 특이항원 자극 IFN-γ tube 등이 있습니다. 각 용기에는 첨가제와 주요 검사 항목이 다르므로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채취량, 보관 방법, 주의사항 등을 확인하여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2. EDTA tube EDTA tube는 K2 EDTA가 첨가되어 있으며, CBC, RBC morphology 등 혈구 계산, 혈구 형...2025.05.08
-
약리학 핵심정리 요약본 (A+ 자료)2025.01.141. 뼈대계통 인체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 약 200개의 뼈(골, bone)가 있으며, 이것이 조합하여 인체의 뼈대(골격, skeleton)를 이루어 근육을 지지하고 중요한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함. 뼈대는 크게 머리를 포함하는 몸통 뼈대 & 팔다리 뼈대로 나뉨. 뼈와 뼈는 가동성을 가진 관절에 의해 연결되며, 관절만으로는 구조가 유지되지 못하므로 관절주머니나 인대 등이 주위를 보강함. 뼈의 기능에는 지지작용, 보호작용, 운동작용, 조혈작용, 전해질 저장 작용이 있음. 뼈영성증(골다공증) 치료제로는 칼슘제제, 활성형 비타민 ...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