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5개
-
서해대교 29중 추돌사고_보건/간호학적 측면2025.05.061. 서해대교 추돌사고 발생 사례 및 원인 2006년 10월 3일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서해안고속도로 서해대교 상행선에서 생존 4명이고, 12명이 사망하고 49명이 중경상을 입고 40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교통사고 및 화재사고이다. 사고 원인은 짙은 안개로 인한 시야 확보 어려움과 과속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재난에 대한 대응의 문제점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차량 밖으로 탈출한 사람들이 갓길에서 차에 치이거나, 달려오는 차에 깔리고, 방화벽 사이에 몸이 끼인 채로 희생되었다. 또한 갓길을 막은 차량으로 인해 구조대의 접근이...2025.05.06
-
자연재난이 인재가 되는 원인의 분석: 오송 지하차도 참사와 하인리히 법칙을 중심으로2025.01.211. 재난의 개념과 종류 우리나라에서는 대형 재난을 자연재난, 사회재난, 이들 재난이 연계되어 있는 복합재난으로 구분한다. 자연재난은 태풍, 홍수, 호우, 강풍, 풍랑, 해일, 조수, 대설 등이 있으며, 가뭄, 황사, 벼락 등 기후 이상으로 발생하는 것도 자연재난이다. 또한 지각 변동으로 인한 화산 활동이나 지진, 지진해일(쓰나미)도 대표적인 자연재난이다. 2. 자연재난 현황 우리나라에서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동안 거의 매년 호우, 태풍, 대설 등의 자연재난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연 평균 인명피해는 25명이며, 재산...2025.01.21
-
자연재해(천재)와 인위재해(인재)로 인한 심각한 피해와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2025.01.041. 재난 상황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 재난 상황에서 식료품, 생필품 제공이 시급하며, 심리적 피해를 극복하게 할 전문 상담인력의 파견과 부상자 치료를 위한 인력 및 장비 투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재난민들의 기본적인 생활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2. 사회복지적 위기 개입을 위한 예방과 대책 재난 상황에 대비하여 미리 예산을 확보하고, 전문성을 갖춘 상담사들을 확보하며, 부상자 치료를 위한 병원 리스트를 확보하는 등의 예방 및 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이다....2025.01.04
-
지역사회간호학 국내외 재난 보건의료정책2025.01.231. 국내 재난 보건의료정책과 정책의 변화 국내에서는 재난 발생 시 기본적인 대응 및 수습관리 등에 관련법령 및 주요내용이 있으며, 재난 유형에 따라 소관부처별에 따른 관련법령으로 관리 및 대응이 추진되고 있다. 2014년 9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시행령이 개정되었고, 세월호 이후 국민안전처가 신설되어 각 부처에 분산될 안전관리 조직을 통폐합하고 지위체계를 일원화하여 모든 국가 재난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2. 국외 재난 보건의료정책과 정책의 변화 미국은 연방재난관리청(FEMA)을 중심으로 단일화되고 체계...2025.01.23
-
재난관리 행위주체 중 정부부문의 상설 재난관리 기구의 종류와 역할2025.01.251. 재난관리체계의 변천과정 현대조직이론의 분화와 통합은 수레의 두바퀴 처럼 병진되고 있다. 분화 위에 통합이 추진되고 통합의 노력이 진행되는 가운데 다시 분화가 촉진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중앙정부의 재난관리조직은 소방방재청의 개청으로 완전통합형 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하였고, 광역자치단체는 분산형, 부분통합형, 완전통합형 재난관리체계로 유지되고 있다. 2. 재난 및 재난관리체계의 특성 재난관리는 공공재적 성격을 지니며, 경계성 및 가외성 원리를 지닌다. 재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시장에 의해 통제되기 어려워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2025.01.25
-
재난 간호와 중증도 분류 보고서2025.01.131. Triage 분류 Triage는 프랑스어로 '선별'을 뜻하며, 재난상황에서 재난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Triage 분류는 제한된 의료인력으로 많은 환자를 구조하고 치료하기 위해 시행되며,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 환자를 신속히 분류하고 이송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Triage 유형에는 일상 중증도 분류, 사고 중증도 분류, 재난중증도 분류, 군대 중증도 분류, 특수상황 중증도 분류 등이 있습니다. 2. 재난관리 재난관리란 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를 위한 모든 활동을 의미합니다. 재난은 인위재난과 ...2025.01.13
-
재난 상황으로 인한 주민들의 정신건강 문제와 예방 및 치료 방안2025.05.011. 재난 상황으로 인한 주민들의 정신건강 문제 최근 코로나19, 화재, 지진, 홍수 등 잦은 재난 상황으로 인해 주민들에게는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급성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재난으로 인한 충격, 불안, 회피, 과각성 등의 증상이 특징이며, 이로 인해 사회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2. 재난 상황으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 예방 및 치료 방안(정책적 관점) 정책적 관점에서는 재난 시 정신적·심리적 지원을 담당할 별도의 기관 설립이 필요하며, 기존 정신보...2025.05.01
-
국내외 재난 보건의료정책 비교2025.01.161. 재난의 정의와 유형 재난이란 날씨 등 자연현상의 변화, 또는 인위적 사고로 인한 인명이나 재산의 피해를 말한다. 재난의 유형은 자연재난, 사회재난, 해외재난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정의와 예시가 제시되어 있다.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 고령화 등으로 인해 예측 불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재난 발생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체계적인 재난 보건의료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2. 국내 재난 보건의료정책 국내에서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재난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주요 정책으로는 예방 중심의 재난 안전관...2025.01.16
-
지역사회 재난 상황으로 인한 주민들의 정신건강 문제와 예방 및 치료 방안2025.05.031. 지역사회 재난 상황이 주민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에서 일어나는 재난 상황은 화재, 산불, 붕괴, 폭발, 교통사고, 환경오염사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재난 상황을 겪는 주민들은 감정적 어려움, 복잡한 감정과 행동 등의 스트레스 반응을 보일 수 있다. 일부 주민들의 경우 재난 후 오랫동안 지속되는 스트레스로 인해 정신적 질환이 발생하거나 자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2. 재난 상황에 대한 정책적 대응 방안 우리나라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근거하여 재난 발생 시 국민들의 정신심리적 충격을...2025.05.03
-
응급재난간호보고서 - 재난상황에서 간호사의 역할2025.01.191. 재난 상황에서 간호사의 역할 간호사는 보건의료시스템의 재난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인적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돌봄의 역할과 더불어 감염관리, 의기상황 관리, 재난계획 수립 등 재난단계 전반에 걸쳐 다양한 역할을 맡고 있다. 간호사는 보건인력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직군으로 간호사의 재난간호 역량의 수준에 따라 재난관리 수준이 달라진다. 즉 간호사의 수준 높은 재난간호 역량은 재난의 회복 탄력성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재난관리를 이끌 수 있다. 2. 재난 상황에서 간호사의 역할 - 중증도 분류 및 응급처치 DMAT팀으로...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