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개
-
물리학실험- 옴의 법칙2025.05.011. 옴의 법칙 이번 실험을 통해, 전자회로에 쓰이는 탄소저항이 옴의 법칙을 만족하는가를 확인하고 옴의 법칙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었다. 다이오드에 대하여 옴의 법칙이 성립하는가를 확인하고, 옴의 법칙을 확인하기 위한 측정조건을 검토하였다. 2. 탄소 저항 탄소 저항기에서 저항 값을 표시할 때는 색깔 코드를 사용한다. 네 줄로 이루어져 있는데, 왼쪽부터 A~D라 한다. A는 1째 자리에 올 유효숫자, B는 2째 자리에 올 유효숫자, C는 앞의 두 자리숫자 뒤에 붙일 0의 수이고, 마지막으로 D는 허용 오차를 의미한다. 3. 다이오드...2025.05.01
-
CH3NH3PbI3 Perovskite Nano Quantum Dots 실험보고서2025.05.061. Perovskite 구조 Perovskite 구조는 A: 무기 양이온, B: 금속 양이온, C: 할로겐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화학식 ABX3를 따르는 결정 구조를 가진 물질이다. 이상적인 구조는 음이온 팔면체에 둘러싸인 6중배위의 B양이온과, 12중 육팔면체 배위의 A 양이온을 갖는다. 여기서 전이금속 양이온은 전자 전도성을 가지게 한다. 다양한 양이온이 이 구조에 들어갈 수 있어서 다양한 재료 공학 물질로의 개발이 가능하다. 2. Quantum Dots Quantum Dots은 10nm 미만 크기의 반도체 결정체 입자를 말한다...2025.05.06
-
원적외선 어원, 정의, 발견, 이론, 사용방법, 분광분석법, 군사목적, 의료용, 보안 및 각종 센서, 효능, 주의점2025.04.291. 원적외선 어원 및 정의 원적외선은 20나노미터 이상의 파장을 가진 적외선을 말한다.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어 열작용이 크며, 근적외선은 파장이 짧은 적외선을 의미한다. 원적외선은 물질에 잘 흡수되며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 및 공명 작용이 강하다. 2. 원적외선 발견 1800년 2월 11일 허셜은 프리즘을 통해 햇빛을 관찰하다 가시광선 영역 이상의 부분에서 온도 상승을 발견하여 적외선의 존재를 밝혀냈다. 3. 원적외선 이론 원적외선은 태양광선 중 가장 순수하고 높은 열 효율을 가지며, 인체에 유익한 파장대(5.7~...2025.04.29
-
화학실험기법2_ Synthesis of Electrocatalysts for Lithium-Air Batteries2025.01.111. 리튬-산소 배터리 리튬-산소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고 있지만, 재충전 과정에서 상당히 큰 과전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금 나노 입자를 Ketjen Black에 도입하여 plasmonic materials의 광학적 상호작용의 특성인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LSPR)를 일으키고, 빛 흡수를 촉진하여 충전 과정에서의 과전압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 2. 금 나노 입자 금 나노 입자를 Ketjen Black에 도입하여 plasmonic materials의 특...2025.01.11
-
식물분자생물학실험 Histochemical GUS assay 결과보고서2025.01.181. GUS assay GUS assay는 Escherichia coli β-glucuronidase gene uidA (GUS)를 식물에서 reporter gene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형광 측정, 분광 광도 측정 또는 조직화학적 기술을 통해 목적 유전자의 발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GUS assay는 높은 감도, 효소 안정성, 단순성으로 인해 자주 활용되며, 특히 histochemical staining을 통해 endogenous promoter activity를 관찰하는데 유용하다. 2. GUS 염색 원리 GUS assa...2025.01.18
-
나노결정 태양전지의 제작 예비2025.05.091. 반도체 태양전지 반도체 태양전지는 태양열(가시광선)의 흡수, 즉 에너지에 의해 p형 반도체에서는 정공이 발생하고, n형 반도체에서는 전자가 발생하는 반응을 이용한다. p-n 접합에 의해 발생한 정공과 전자는 반도체를 통해서 서로 이동하며 전류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반도체 태양전지의 경우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반도체 단결정(single crystalline) 태양전지와 반도체 다결정(polycrystalline) 태양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단결정 태양전지는 고체의 실리콘이 모두 균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20% 이상의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