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2개
-
2024년도 보험심사관리자(보험심사간호사) 문제 정리(4) - 바뀐 법 적용2025.01.211. 상대가치점수(RBRVS) 상대가치점수(RBRVS)는 의료서비스 생산에 투입된 자원 즉, 투입요소에 따라 진료행위를 각각 점수화 한 것입니다. 투입요소에 해당하는 항목은 의사업무량 상대가치, 진료비용 상대가치, 의료사고위험도 상대가치, 간호비용 상대가치입니다. 2. 요양기관 종별 가산율 적용 요양기관 종별 가산율을 적용하는 항목은 응급의료관리료, 난관 성형술 등이며, 연성신요관경하 결석제거술 등은 요양기관 종별가산율 적용 예외항목입니다. 3. 의료급여 외래 명세서 작성 상급종합병원 의료급여 1종 외래 명세서에서 요양급여비용 총액...2025.01.21
-
변화된 보건의료정책과 의료인 폭행 예방2025.01.031. 의료인 폭행 현황 최근 10년간 의료기관 내 폭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응급실과 간호사에 대한 폭행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2010년 대한 응급의학회 조사에 따르면 응급실 근무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80.7%가 폭언을, 50%가 폭행을 경험했으며 39.1%가 생명의 위협을 느꼈다고 응답했다. 이에 따라 의료인 보호를 위한 법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2. 의료인 폭행 관련 법 개정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어 2012년부터 응급의료종사자에 대한 폭행, 협박, 위계, 위력 등의 방법으로 응급환자 구조, 이송, 응급처치 또는...2025.01.03
-
의료계에 관심있는 중학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의학용어 수업지도안2025.04.281. 의학용어의 개념 및 사용 이유 의학용어는 의학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로, 의료인의 소통 수단이 되며 그리스어와 라틴어에서 기원한다. 의학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언어의 발전에 영향을 받지 않아 용어 변경으로 인한 혼란을 줄이고, 의료진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통일된 용어를 사용하며, 간단한 용어에 많은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 응급상황에서 빠른 의사전달과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 의학용어의 구성요소 의학용어는 어근, 접두사, 접미사, 결합형으로 구성된다. 어근에는 arthr-, hepat-, ven-, oste-가 있고...2025.04.28
-
응급재난간호 정신응급(조현병) 시나리오 및 처치 관련 레포트2025.01.131. 정신응급 61세 여성 김00씨는 조현병을 앓고 있으며, 최근에 남이 자신을 죽이려고 한다는 망상을 하거나 누군가가 사람을 죽이라고 명령하는 환청을 듣는 등 증상이 점점 심해지고 있었다. 어느 날 거실 소파에 앉아있던 00씨는 갑자기 일어나서 귀를 막고 소리를 지르며 부엌으로 달려가 과도를 들고 나왔다. 가족들이 놀라서 과도를 뺏으려 하자 00씨는 칼을 휘두르며 소리를 질러댔다. 난동을 피우던 중 과도가 00씨의 팔에 스쳐서 피가 흘렀고, 놀란 대동씨는 그대로 바닥에 주저앉았다. 00씨의 남편은 아내가 또다시 난동을 피울 것 같...2025.01.13
-
CPR, 응급간호 컨퍼런스 자료 PPT 파일입니다. 병원에서 발표후 극찬을 받은 자세한 정리 자료입니다.2025.01.121. 급성 환자 관리 급성 흉통 환자 관리에 대해 설명합니다. 흉통의 원인과 응급처치 방법인 MONA (모르핀, 산소, 니트로글리세린, 아스피린)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이송 방법과 주의사항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2. CPR 소생술 심폐소생술의 순서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의식 확인, 기도 유지, 호흡 확인, 순환 확인, 제세동 등 ABCD 순서에 따른 응급처치 절차를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3. 기관내 삽관 기관내 삽관의 목적, 적응증, 준비물품, 삽관 방법 등을 자세히 설명...2025.01.12
-
성인간호학 ER 실습 의학용어,약어2025.05.051. 의학용어 및 약어 성인간호학 ER 실습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의학용어와 약어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용어들은 응급실 및 병원 환경에서 자주 사용되는 것들로, 간호사들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습니다. 1. 의학용어 및 약어 의학용어와 약어는 의료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의사와 환자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와 약어는 일반인들에게는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 종사자들은 환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2025.05.05
-
A+ 성인간호학실습 CPR 자료 정리2025.01.181. 심폐소생술(CPR) 심폐소생술(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입니다. 심정지 발생 후 4~6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시작하여 제세동과 병원 치료가 이루어질 때까지 중단 없이 계속하면 생존율을 3배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의 방법에는 반응 확인, 119 신고, 호흡 확인, 가슴압박 30회, 인공호흡 2회 등이 포함됩니다. 전문소생술(ACLS)은 기본 소생술과 전문심장소생술 술기, 심전도 리듬 판독, 약물 투여 등...2025.01.18
-
실전 임상영어2025.05.031. 임상영어 임상영어 관련 용어와 표현을 정리하였습니다. 수술이 지연되는 경우 클리닉에 연락하여 알려주고, 수술 전 항생제 처방이 없는 경우, 수술 후 퇴원 환자의 입원 준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어 표현을 제공하였습니다. 2. 의료용어 MRSA, Hepatitis B/C, SNF, LTAC 등 의료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약어와 용어를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환자 상태 표현, 투약, 검사 등과 관련된 용어도 함께 다루었습니다. 3. 의사소통 환자, 보호자, 동료 간 의사소통에 필요한 다양한 표현을 정리하였습니다. ...2025.05.03
-
환자 확인을 통한 환자 안전 확보2025.01.131. 환자 확인의 중요성 환자 확인은 의료 행위 과정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단계이며, 환자 안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의료진의 업무 과중, 환자와 보호자의 인식 부족 등으로 인해 환자 확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의료진과 환자/보호자에 대한 교육, 캠페인 활동, 안내문 부착 등 다양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2. 환자 확인 오류의 문제점 환자 확인 오류는 진단, 치료, 투약 등 모든 의료 행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의료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2025.01.13
-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자/처리자 교육2025.05.041.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규칙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규칙 개정에 따른 Q&A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의료기관세탁물의 정의, 오염세탁물과 기타세탁물의 구분, 세탁물의 보관 및 운반 기준, 세탁물의 처리 방법, 세탁금지 세탁물, 감염예방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2. 세탁물 처리 종사자 감염예방교육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규칙 제8조에 따라 세탁물 처리 업무에 종사하는 자는 연 4시간 이상 감염예방에 관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교육 내용에는 손 위생 방법, 개인보호장비 사용방법, 세탁물 취급 시 주의사항, 소독약품 사용 시 ...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