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4개
-
5. 성인간호학_내분비샘의 구조와 기능 뇌하수체 장애 뇌하수체 전엽과 후엽의 장애2025.05.131. 외분비선 외분비선은 관을 따라 분비되며, 침샘, 기름샘, 간, 위, 췌장, 젖샘, 눈문샘 등이 포함됩니다. 2. 내분비선 내분비선은 소량의 호르몬을 분비하여 몸 전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계통입니다. 혈액 내로 분비되어 직접 표적 세포에 운반됩니다. 뇌하수체(전엽,후엽), 갑상샘, 부갑상샘, 부신(수질,피질), 췌장의 Langerhans 섬, 성샘(난소고환), 송과체, 흉선 등이 포함됩니다. 3. 시상하부 시상하부는 ADH와 Oxytocin을 생산하며 호르몬 조절 기능을 합니다. 4. 뇌하수체 뇌하수체는 전엽에서 ACTH, TS...2025.05.13
-
신경과학-자율신경계2025.01.161. 자율신경계 자율신경계는 말초신경계의 한 부분으로, 항상성과 생식 기능을 담당합니다. 자율신경계는 감각 수용기, 들신경로, 내장기능의 중추 조절, 날신경로, 교감신경계, 부교감신경계로 구성됩니다. 감각 수용기에는 기계적, 화학적, 유해 수용기가 있으며, 들신경로는 뒤뿌리와 뇌신경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내장기능의 중추 조절은 고립로핵, 척수, 숨뇌, 다리뇌, 시상, 시상하부, 둘레계에서 이루어집니다. 날신경로는 몸신경계와 차이가 있으며,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가 서로 반대되는 기능을 합니다. 임상적으로는 호너 증후군, 척수 손상...2025.01.16
-
뇌 구조와 기능2025.05.031. 중추신경계 중추신경계는 뇌와 수의적 운동을 조절하는 관련신경과 말단기관을 연결하는 척수로 구성되어 있다. 대뇌, 대상회, 변연계, 뇌량, 소뇌, 뇌간, 망상체활성화계와 추체외로계가 있다. 2. 대뇌반구 대뇌는 뇌량으로 연결된 두 개의 반구로 나뉘며, 언어, 추상적 사고, 인지, 기억 등을 담당한다.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 측두엽 등 각 부위가 담당하는 기능이 있다. 3. 변연계 변연계는 대상회, 해마, 시상, 시상하부, 편도를 포함하며, 정서반응과 동기, 학습, 기억에 관여한다. 변연계의 손상은 치매, 기억상실, 우울 등을...2025.05.03
-
모성간호학 요약정리2025.01.281. 무월경 (아 메노리아 / amenorrhea) 무월경에는 시상하부성, 뇌하수체성, 난소성, 자궁성, 질성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 시상하부성은 생식선자극호르몬 분비 부전이 원인이며, 뇌하수체성은 FSH, LH 분비 부전이 원인이다. 난소성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분비 부전이 원인이며, 자궁성은 자궁적출, 자궁강의 유착, 자궁 내막염이 원인이다. 질성은 2차적인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의 장애가 원인이다. 2. 비정상 자궁출혈 월경과다는 정의, 원인, 치료 및 간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월경과다의 정의는 주기는 규칙적이지만 ...2025.01.28
-
CVA 사례연구보고서(간호진단3개)2025.05.011. 대뇌 대뇌는 머리뼈에 둘러싸여 보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뇌 전체 중량의 80%를 차지하는 곳이다. 대뇌의 바깥층은 대뇌겉질이라고 하며 회색질의 얇은 층이고, 대뇌의 안쪽층은 대뇌백색질로 말이집과 민말이집 축삭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뇌반구의 깊은곳에 신경핵 덩어리가 있는데 이것을 바닥핵이라고 하고, 대뇌반구의 안쪽과 가쪽 뇌실 둘레에 위치하는 여러 겉질과 겉질밑구조로 이루어진 둘레계통을 포함한다. 2. 대뇌겉질 대뇌겉질은 많은 주름이 잡혀 있는 연한 조직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이랑, 들어간 부분을 고랑 혹은 틈새라고 부르며, 깊...2025.05.01
-
모성간호학 시험대비 요약정리2025.01.281. 무월경 (amenorrhea) 무월경은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 난소축의 문제로 인해 배란이 되지 않거나 월경이 나타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월경기에 뇌하수체에서 여포자극호르몬(FSH)이 분비되면 여포와 난자가 성숙하고, 성숙한 여포에서 나온 에스트로겐이 자궁내벽을 두껍게 하고 황체형성호르몬(LH) 분비를 촉진하여 배란이 일어난다. 배란된 난자가 수정되지 않으면 황체가 퇴화하고 프로게스테론이 감소하여 자궁내벽이 허물어져 월경이 일어난다. 무월경의 원인으로는 시상하부성, 뇌하수체성, 난소성, 자궁성, 질성 등이 있다. 1. 무월...2025.01.28
-
DES가 female mouse의 reproductive organs에 미치는 영향 관찰2025.05.101. DES의 내분비 교란 작용 DES는 estrogen receptor α와 β에 대한 결합 친화성이 estradiol보다 더 높은 강력한 estrogen agonist으로 내분비 교란을 유도한다. 이로 인해 여성 생식기관, 유선, 시상하부, pituitary hormone binding globulin(SHBG)과 혈장 단백질 합성이 증가되고, 시상하부에서의 follicle-stimulating hormone(FSH) release를 억제한다. DES은 progestin과 함께 시상하부-뇌하수체 system을 억제하여 gonad...2025.05.10
-
배고픔의 내적 및 외적 조절 원리와 건강한 식이요법 방법2025.01.191. 배고픔의 내적 조절 원리 배고픔의 내적 조절은 당질평형 가설, 지방평형 가설, 고정점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당질평형 가설은 간이 혈당부족을 감지하고 외측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오렉신펩티아드의 영향을 받아 음식을 섭취하게 되며, 간이 혈당 수준을 모니터링하여 복내측 시상하부가 이를 인지하면 절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지방평형 가설은 지방의 향상성 불균형으로 그렐린 호르몬이 분비되어 배고픔이 촉진되고, 지방의 향상성 균형이 이상으로 올라오면 랩틴 호르몬이 분비되어 포만감이 촉진된다고 보는 것이다. 고정점 이론은 사람들이 생물학적...2025.01.19
-
일상생활 속에서 작동하는 신경화학물질(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 3가지 이상을 소개하고 이러한 신경화학물질들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 만드는 생활 속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제시하시오2025.05.101. 뇌하수체, 송과선, 시상하부 뇌하수체는 뇌 중앙부 아래쪽에 위치하며 호르몬 분비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내분비기관이다. 성장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성선자극호르몬, 옥시토신, 바소프레신 등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한다. 송과선은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하는데, 밤에는 잠을 잘 자게 하고 낮에는 햇빛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시상하부는 체온조절, 식욕 및 음식물 섭취, 수분대사, 수면주기, 감정상태 등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여러 가지 일들을 관장한다. 2.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남성...2025.05.10
-
아동간호학 고체온 아동 케이스 스터디 A+ 자료(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2개)2025.01.191. 원인불명열 원인불명열이란 적어도 세 차례 이상 체온이 38.3℃ 이상으로 올라가는 발열 증상이 3주 이상 지속되고, 1주일 이상 입원해 있는 동안 진단을 위해 여러 가지 검사를 해도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발열은 체온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로 직장 체온 38℃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나 측정 부위, 측정 방법 및 측정 시간에 따라서 그 정상치가 달라질 수 있다. 2. 발열의 원인 및 증상 불명열의 원인으로 보고된 질환은 수백여 가지에 이르지만 가장 대표적인 원인 질환 세 가지는 감염질환, 종양질환, 결체조직 질환이...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