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3개
-
옴의법칙 실험 결과레포트2025.05.041. 저항 저항은 전하의 흐름인 전류를 방해하는 성질이고 단위는 옴(Ω)이다. 저항은 값이 고정된 고정저항과 값을 조정할 수 있는 가변저항이 있다. 고정저항인 탄소피막저항에서는 네 줄의 색띠로 저항값과 허용오차를 나타낸다. 2. 전위차계 전위차계는 가변저항 가운데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단자가 세 개 달려있다. 맨 바깥에 있는 두 단자는 고정되어 있어 이 사이의 저항값은 일정하고 가운데 단자는 움직이는 접점과 연결되어 있어 저항값을 조정할 수 있다. 전위차계는 전기, 전자기기의 음량조절장치에 많이 쓰인다. 3. 저항 측정 실험에서는...2025.05.04
-
Non-Linear OP Amp (파형발생기)-결과보고서2025.05.071. OP Amp의 비선형 동작 특성 OP Amp의 비선형 동작 특성을 이용하는 적분기, 파형 발생기 등의 동작 특성을 이해하고 OP Amp를 이용하여 구형파 및 삼각파를 만들어 보는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실험 결과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가 유사하였으나 가변저항의 정확한 조절이 어려워 일부 오차가 발생했습니다. 저항과 커패시터 값을 변화시켜 주파수와 출력 크기를 조절하는 실험을 진행하였고, 대체로 시뮬레이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2. 구형파 및 삼각파 발생기 회로 OP Amp를 이용하여 구형파 및 삼각파를 발생...2025.05.07
-
[중앙대전전][전기회로설계실습][결과보고서]-10.RLC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 응답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2025.05.151.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 응답 이번 실험은 R,L,C 소자로 구성한 RLC 회로의 과도응답과 정상상태 응답을 확인하는 실험이다. 회로를 소자를 이용해 구성하고 과감쇠, 임계감쇠, 저감쇠들의 특성들과 특성이 나타나는 저항을 가변저항과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확인하였다. 저항 값을 DMM으로 측정 후 진동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값들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지만 대부분의 실험의 경우 5%이내의 오차율을 보여 만족스러운 실험이였다. 다만 인덕터의 저항 성분을 고려하지 않고 실험을 진행하여 오차가 발생한 점을 보완하면 오...2025.05.15
-
회로이론및실험1 5장 전류분배기와 전압분배기 A+ 결과보고서2025.01.131. 전압 분배기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전압 분배기 회로에서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압은 저항의 크기에 정비례하게 분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값과 예측값의 차이는 도선 저항, 멀티미터 오차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2. 전류 분배기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전류 분배기 회로에서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류는 저항의 크기에 반비례하게 분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변저항 값을 변화시키며 전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이를 뒷받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 전압 분배기 전압 분배기는 전기...2025.01.13
-
BJT 3-BJT Amplifier_결과레포트2025.01.121. Small Signal Parameters 분석 실험을 통해 BJT 단자의 전압에 따른 Common Emitter 회로의 출력을 이해하고, AC Signal을 인가했을 때 이론적으로 출력 파형을 예측하고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에서 구한 Small Signal Parameters를 비교한 결과, 10% 이내의 오차율을 보여 실험이 성공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가변저항을 정확히 맞추지 못한 것이 오차의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2. Common Emitter Amplifier 실험 1에서 구한 β와 실험 2에...2025.01.12
-
SMPS 결과보고서2025.04.271. PWM 제어회로 PWM 제어회로를 구성하고 톱니파형과 출력파형을 확인하였다. 설계목표인 출력전압 0V~10Vpp, 스위칭 주파수 12.5kHz(=주기 80us)를 만족하였다. 2. Buck Converter Buck Converter 회로를 구성하고 PWM 제어회로의 펄스파 출력을 MOSFET의 Gate에 연결하였다. 입력전압 5V를 인가하고 가변저항 값 변화에 따른 Duty cycle과 출력전압을 측정하였다. 3. Boost Converter Boost Converter 회로를 구성하고 PWM 제어회로의 펄스파 출력을 MOS...2025.04.27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 3주차2025.01.171. Wien bridge RC 발진기 Wien bridge RC 발진기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기를 설계, 제작, 측정하며 그 동작을 확인하는 것이 실습의 목적입니다. 실습에 사용된 부품은 Op amp, 다이오드, 가변저항, 커패시터 등이며, 신호 발생기 설계를 위해 Wien bridge 회로의 관계식을 도출하고 1.63 kHz에서 발진하도록 회로를 설계하였습니다. 시뮬레이션 결과 왜곡된 사인파가 출력되었으며,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출력을 안정화하는 회로를 설계하였으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했습니다. 다이오드는 Op amp의 gai...2025.01.17
-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중앙대 12025.05.021. 저항 측정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을 사용하여 고정저항과 가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2-wire 측정법은 리드선과 접촉저항에 의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지만, 4-wire 측정법은 이러한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병렬 연결된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과 가변저항의 특성을 설명합니다. 2. 전압 측정 DC 전원 공급 장치를 사용하여 회로에 전압을 인가하고, 디지털 멀티미터(DMM)를 이용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무부하 상태와 부하 상태에서의 전압 변화를 확인하고, 전원 공급 장치 사용...2025.05.02
-
래더와 브릿지 직병렬 회로2025.05.161. 래더 직병렬 회로 실험 1에서는 래더 직병렬 회로를 구성하고 전압과 전류를 이론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였습니다. 실험 2에서는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동일한 회로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였습니다. 전압과 전류 측정값은 이론값과 대체로 잘 일치하였습니다. 2. 브리지 직병렬 회로 실험 3에서는 브리지 직병렬 회로를 구성하고 전압을 이론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였습니다. 또한 가변저항 R을 조정하여 브리지 평형 조건을 만족시켜 R2의 값을 구하였습니다. 실험 4에서는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동일한 회로의 전압과 가변저항 R을 측정하였습니다. 브리지...2025.05.16
-
전류계 분류기 및 전압계 배율기 & 옴의 법칙 결과보고서2025.01.121. 전류계 분류기 및 전압계 배율기 이번 실험에서는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과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전류를 측정할 때는 멀티미터를 회로와 직렬로 연결해야 하고, 전압을 측정할 때는 멀티미터를 저항과 병렬로 연결해야 합니다. 실험을 통해 이를 이해하게 되었고, 오차율도 5% 미만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습니다. 2.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고정저항과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전압, 전류, 저항의 관계를 측정하였고, 실험값과 이론값이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전압이 증가하면 전류도 증가하고...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