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2개
-
응급안전교육, 심폐소생술교육, 안전교육, 심폐소생2025.05.101. 응급안전교육 이 프레젠테이션은 123의 종사자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교육의 목적은 응급상황 발생 시 현장에서의 대응능력을 높이고 심폐소생술 능력을 향상시켜 이용자와 종사자 간의 안전한 시설 운영을 도모하는 것입니다. 교육 목표로는 종사자 70% 이상의 교육 참여, 교육 가능한 이용자 10명, 교육 참여 종사자의 80% 이상 만족도 등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2. 심폐소생술교육 이 프레젠테이션에서는 심폐소생술 교육의 내용과 일정, 참여자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교육은 2...2025.05.10
-
사전학습보고서(응급실, A+)2025.01.291.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 및 응급간호의 원칙 응급실 간호사는 사정, 분석, 진단, 계획, 중재수행, 결과 확인 등의 역할을 하며, 모든 연령군에서 각 개인의 반응들을 평가합니다. 응급간호의 원칙은 기도 개방, 적절한 환기 제공, 출혈 조절, 쇼크 예방 및 치료, 신속한 초기 신체검진 등입니다. 2. 응급실 중증도 분류 체계 응급실에 도착한 대상자의 부상, 질병 정도를 파악하여 치료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Triage 분류 체계가 있습니다. 한국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기준(KTAS)에 따라 Level 1(소생), Level 2(긴급)...2025.01.29
-
[성인간호학] 심폐소생술(CPR) 정리2025.01.041. 심폐소생술(CPR) 심폐소생술은 심장 마비가 발생했을 때 혈액 순환과 호흡을 돕는 응급 치료법입니다. 심정지 발생 후 4분 이내에 기본 심폐소생술을, 8분 이내에 전문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높은 소생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의 주요 단계는 반응 확인, 응급의료체계 신고, 호흡과 맥박 확인, 가슴 압박, 인공 호흡, 자동 제세동기 사용, 그리고 지속적인 환자 재평가입니다. 이러한 단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이 심정지 환자의 생존에 매우 중요합니다. 1. 심폐소생술(CPR) 심폐소생술(CPR)은 심장이 멈추거나...2025.01.04
-
응급간호학 실습 개별 실습 일지 느낀점 5회분2025.01.281. 응급실 실습 응급실이라는 이름에서부터 급박하고 정신없다는 느낌이 많이 들어서 처음에는 걱정도 되었지만 기대도 많이 되었었다. 처음 응급실에 들어갔을 때는 생각보다 공간도 좁고, 옆에서는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인데다 학생들도 많이 들어가다 보니 정신이 많이 없었다. 그러나 갑자기 환자의 심장에 이상이 생기고 응급구조사와 의사, 간호사들이 달려와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모습을 보며 생명을 살리는 간호사로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후 실습을 통해 응급실의 분위기와 상황을 어느 정도 알게 되었고, 바쁜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일을 ...2025.01.28
-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2025.04.291. Emergency Cart 약물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들의 적응증, 용량 및 주의사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에피네프린, 아데노코, 아미오다론, 도파민, 도부타민,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베라파밀, 노르에피네프린, 아트로핀, 리도카인, 황산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 칼슘 등의 약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장비와 기구들의 목적, 작동 원리, 관리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모니터, 제세동기, 산소 공급기, Ambu ...2025.04.29
-
A++ 받은 비후성 심근증 case study 입니다. 문헌고찰에 질병보고서 요약 되어있습니다. 간호진단 5개 내리고 우선순위 1, 2 중점으로 간호중재 세웠습니다.2025.01.161. 비후성 심근증 비후성 심근증은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심장질환으로, 전체 인구 500명당 1명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형태의 좌심실 비후 소견이 관찰된다. 가장 흔한 증상은 운동 시 호흡곤란, 피로감, 기좌호흡, 말단부종, 심계항진, 현기증, 실신 등이며, 협심증과 유사한 흉통도 동반될 수 있다. 치료로는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 disopyramide, amiodarone 등의 약물 치료와 심근절제술, 알코올을 이용한 심실중격 색전술, 삽입형 제세동기 등이 있다. 2. 간호중재 비후성 심근증 환자의 간호중재로는 침습적 검사 전후...2025.01.16
-
전문심장소생술(ACLS)2025.01.131. 전문심장소생술(ACLS) 전문심장소생술(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ACLS)은 심정지 환자의 심박동을 회복시킨 후 혈압을 유지하고 뇌 소생을 위한 치료를 하며 심정지의 원인을 규명하고 심정지의 재발을 방지하는 소생술입니다. 기본심폐소생술에 심전도 감시 및 분석 결과에 따른 전기적 제세동, 약물 투여, 기관내 삽관 등 전문기도유지술에 의한 기도확보, 산소투여, 양압 인공호흡을 포함한 호흡 보조 및 호흡 상태의 평가, 심정지의 원인의 규명 등이 포함됩니다. 첫 번째 목표는 순환회복이며 최종...2025.01.13
-
응급실 주요 장비 및 기구 보고서2025.01.091. Airway 기도유지기 구강인두관, 비강인두관, 기관내관, 기관절개관 등 4가지 유형의 인공기도가 있으며, 의식이 없거나 자발호흡이 없는 대상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구강인두관은 구강부터 인두 후방까지 위치시키고, 비강인두관은 비공에서 귓불까지의 길이로 삽입합니다. 기관내관은 구강(또는 비강)에서 기관분기부 3cm 위까지 삽입하며, 기관절개관은 후두 바로 밑 기관을 외과적으로 절개하여 삽입합니다. 2. Ambu bag (소생백) 호흡이 없거나 불충분한 사람, 스스로 호흡하기 어려운 사람에게 약 10L의 고농도 산...2025.01.09
-
루카스 LUCAS 심폐소생술 흉부압박기계 사용 메뉴얼2025.01.121. LUCAS 흉부압박시스템 LUCAS(The Lund University Cardiopulmonary Assist System) 흉부압박시스템은 자발적인 호흡과 맥박이 없고 의식이 없는 것으로 정의되는 급성 순환정지가 있는 성인환자에게 외부심장압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 효과적인 수동심폐소생술이 불가능할 때 수동 심폐소생술의 보조장치로 사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 장비는 심폐소생술 중 가슴압박을 강하고 빠르게 중단없이 시행하여 뇌와 심장에 지속적으로 혈류를 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LUCAS 사용 방법 LUCAS...2025.01.12
-
심정지 후 소생 케이스스터디2025.05.071. 심정지의 정의 심정지란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여 발생하며 모든 생체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고 조직의 기능이 정지된다. 최근 들어 급성심질환 및 순환계질환이 사망 및 장애의 중요한 요인으로 차지하게 되었으며 사망원인 통계결과 암에 이어 뇌혈관질환과 심혈관질환이 2,3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심정지는 심질환과 순환계질환의 심한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고, 심정지가 3분 이상 지속되면 뇌의 심한 손상이 야기되고 5분 이상 지속되면 사망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의료인이라면 심정지에 대한 대처방안은 필수적으...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