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4개
-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핵심 요약본2025.01.171. 정의의 개념 정의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소개하고 있다. 고대의 정의론은 미덕에서 출발하지만 근현대의 정의론은 자유에서 출발한다. 정의에는 선택뿐 아니라 미덕도 포함된다는 생각이 깊이 뿌리박혀 있다. 정의를 이해하는 세 가지 방식으로 보편적 인권 존중, 행복 극대화, 자유 존중 등이 제시되고 있다. 2. 공리주의와 그 한계 공리주의는 행복 극대화를 추구하지만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모든 가치를 단일한 척도로 환산하려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리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개인의 권리와 다양한 가치 기준의 필...2025.01.17
-
사회복지정의론 2024년 2학기 출석수업대체과제2025.01.261. 사회복지정의론 1강에서 6강 가장 인상적인 두 장면 5강 칸트의 도덕적인 너무나 도덕적인 의지: 칸트의 정언명령은 우리에게 도덕적 행동의 두 가지 원칙을 제시한다. 첫째, 자신의 행동이 보편적인 기준에 부합하여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방식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인간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대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언명령은 때로는 비도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현실적으로 실천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이 장면은 도덕적 원칙이 일상적이고 복잡한 인간관계 속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예리하게 묘사한다. 6...2025.01.26
-
삶의 질 향상에 있어서의 문제와 그에 따른 해결책의 동기주의와 결과주의입장에서의 검토2025.01.131.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제와 해결책 발표자는 자신의 삶의 질을 낮추는 요인으로 사람들과의 관계 단절과 외로움을 꼽았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웃에 대한 사랑과 이웃을 위한 헌신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동기주의와 결과주의 관점에서 검토했는데, 전자의 관점에서는 전자가 정언명령에 부합하는 반면 후자는 수단적 성격이 강해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반면 결과주의 관점에서는 두 해결책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1.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제와 해결책 삶의 질 향상은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2025.01.13
-
영화 '버티칼 리미트'의 자일 절단 문제에 대한 윤리적 분석2025.01.291. 공리주의 공리주의는 선한 결과를 극대화하고 악한 결과를 극소화하려는 이상을 가지고 있다. 자일 절단 문제에 공리주의를 적용하면, 행위 공리주의 접근법과 규칙 공리주의 접근법을 이용할 수 있다. 행위 공리주의 접근법에 따르면 자일 절단이 더 큰 효용을 창출하므로 정당화될 수 있다. 규칙 공리주의 접근법에 따르면 '긴급 상황에서 일부를 희생시켜 다수를 구하는 선택은 정당화될 수 있다'는 규칙에 따라 자일 절단이 정당화될 수 있다. 2. 황금률 윤리 황금률 윤리는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규범이다. 자일 절단 문제에서 로...2025.01.29
-
철학의 이해 -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 삶2025.01.241. 인간의 본성 플라톤은 인간을 영혼과 육체로 구성된 복합적인 존재로 보았으며, 이성적 판단을 통한 도덕성 실현이 인간다운 삶이라고 주장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위해서는 이성적 활동과 탁월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칸트는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이며, 도덕적 기준에 따른 정언명령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홉스는 사회계약론을 통해 평화와 번영을 위한 인간의 본성적 사회성을 강조했다. 흄은 도덕성의 원천을 정념에서 찾았으며, 프로이트는 무의식의 의식화를 통해 도덕성 형성을 설명했다. 2. 유가 사상의 도덕적 삶 유가 사상에서 인간의...2025.01.24
-
철학의이해1 )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 유가와 도덕적 삶2025.01.241. 인간의 본성 플라톤은 인간을 '자기가 본 것을 탐구할 수 있는 자'로 보았는데, 이는 한꺼번에 여러 가지 문제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고 대상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의미이다. 플라톤은 사물이 본래 가지고 있는 성질을 되찾고 사물의 질서를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는 것을 중요한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므로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은 감각에 속지 않는 인간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다운 인간이 되려면 인간 본연의 능력을 사용해야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 자연은 인간이란 유기체를 자연의 목적에 맞게 맞들...2025.01.24
-
철학의 이해(중간)_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2. 교재와 강의 3장을 공부하고 교재 70페이지의 2번문제 (유가와 도덕적 삶)에 딸린 4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2)2025.01.24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은 인간을 육체와 영혼으로 구성된 존재로 보았다. 육체는 영혼의 진리 추구를 방해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인간은 이성, 기개, 욕망을 지니고 있는데 이성이 기개와 욕망을 잘 조절할 때 인간다운 인간이 된다. 그러나 인간은 육체를 소유하고 있어 완전한 자유로움을 누릴 수 없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다. 자신에 대한 사랑은 이성을 따른 결과로 형성되는 것이며, 인간은 본성에 알맞은 행위를 하는 것을 훈련해야 한다. 덕은 중용의 덕으로, ...2025.01.24
-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2025.01.251. 인간의 본성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홉스, 흄, 프로이트 등 다양한 철학자들의 관점에서 인간이 이성적 존재인지 욕망을 추구하는 존재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플라톤은 인간이 이성, 기개, 욕망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이성이 중요하다고 보았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칸트는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이며 정언명령을 따라야 한다고 보았고, 홉스는 사회계약을 통해 자유를 제한하지만 안전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흄은 도덕이 정념에 의해 성립된다고 보았으며, 프로이트는 도덕이 무의...2025.01.25
-
칸트의 의무윤리를 적용한 사형제 논의2025.01.201. 칸트의 의무 윤리 칸트는 의지의 자율에 따라 행해진 행위만을 선이라 보았으며, 도덕 법칙에 따른 자유의 사용을 윤리라고 정의했다. 그는 감정이나 욕망을 배제하고 오직 의무감으로 행한 행위만이 도덕적 행위라고 인정했으며, 이러한 의무감은 조건 없는 선한 의지인 선의지에 따른 행위라고 주장했다. 2. 칸트의 법철학과 사형제 칸트는 법을 '그 아래서 어떤 이의 의사가 자유의 보편적인 법칙에 따라 다른 이의 의사와 합일될 수 있는 조건들의 총체'라고 정의했다. 그는 윤리학만으로는 인간 사회에서 자유를 침해하는 것을 강제할 수 없기 때...2025.01.20
-
인간은 이성적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2025.01.261. 인간의 본성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등의 철학자들은 인간의 본성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했다. 플라톤은 인간을 이성적 존재로 보았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이성을 잘 발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칸트는 인간을 자연의 입법자이자 도덕의 입법자로 보았으며, 정언명령을 통해 도덕적 행위를 할 수 있는 존재라고 보았다. 한편 홉스는 인간을 욕망하는 존재로 보았고, 흄은 도덕이 사회적 관습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무의식이 의식을 결정한다고 보았다. 2. 유가 사상의 인본주의 유가 사상은 인간의 가치와 도덕적...202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