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75개
-
Faraday의 얼음통 실험 결과보고서2025.05.071. 마찰전기의 특성 실험 1을 통해 마찰에 의하여 유도된 정전기의 양과 극성을 측정하고 마찰전기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대전된 마찰판을 얼음통에 접촉시키지 않을 때에는 얼음통에 전하가 유도되어 마찰판이 띄는 전하와 크기가 같은 반대 전하를 측정할 수 있었다. 대전된 마찰판을 얼음통에 접촉시킬 때에는 마찰판의 전하가 얼음통으로 이동하여 마찰판을 빼내어도 얼음통이 마찰판을 넣었을 때와 비슷한 전하량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2. 정전기 서열 실험 2를 통해 알루미늄 증명판에 흰색과 푸른색의 마찰판을 문지른 후 각각의 극성과 전하...2025.05.07
-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2 A+ 실험2 축전기와 전기용량2025.01.221. 축전기의 전하, 전압 및 전기용량의 관계 실험을 통해 전하량 Q와 전압 V가 비례하는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용량 C= epsilon_{0} {A} over {d} 식이 측정한 거리 d의 범위에서 잘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축전기의 전기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2. 평행판 축전기 내부의 전하밀도 분포 실험 2를 통해 평행판 축전기 내부의 전하밀도 분포를 관찰하였다. 이론적으로 균일한 전하밀도를 예상했지만, 실험 결과 가장자리 부분에서 전하밀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장자리 효과로...2025.01.22
-
패러데이의 얼음통 실험2025.01.231. 마찰전기 실험을 통해 마찰에 의해 대전된 대전체를 이용해 접촉 없이 유도하였을 때와 접촉하였을 때의 얼음통의 내부의 전압을 측정하여 비교해보았다. 유도와 접촉에 따른 전하 이동의 특징을 알아볼 수 있었다. 대전체와의 가까운 거리 내에서 순간적인 전하 분포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2. 정전기 유도 마찰판을 얼음통에 접촉시켰을 때 전하가 직접 얼음통으로 이동하고 이를 통해 마찰판을 얼음통에서 꺼냈을 때의 전압이 마찰판을 넣었을 때의 전압과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찰판에서 정전기가 완전히 방출되지 않아 남은 ...2025.01.23
-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2 축전기와 전기용량(A+)2025.01.231. 축전기와 전기용량 실험을 통해 축전기의 전하, 전압, 전기용량 간의 관계를 관찰하고 평행판 축전기 내부에 균일한 전기장이 형성되는지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전하량과 전압이 정비례하는 관계를 확인하였고, 극판 내부의 전하밀도 분포와 극판 간격 변화에 따른 전압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의 원인으로 주변 전기장의 간섭, 공기층의 영향, 누설전류 등을 분석하였다. 1. 축전기와 전기용량 축전기는 전기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기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방출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다양한 전자 기기에...2025.01.23
-
전기장과 전기력 실험 예비레포트2025.05.041. 전하 분포 두 개의 도체판에 전위차를 가하면 (+)극과 연결된 도체판에는 (+)전하, (-)극과 연결된 도체판에는 (-)전하가 분포하게 된다. 이는 전자의 흐름이 전류의 반대 방향이기 때문이다. 2. 전기장 형성 전기장은 (+)극에서 (-)쪽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극과 연결된 도체판에서 (-)극과 연결된 도체판 쪽으로 전기장이 형성된다. 3. 도체판 간 인력 두 개의 도체판에 서로 다른 전하가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두 도체판에 전위차를 가하면 인력에 의해서 두 도체판은 서로 가까워진다. 4. 전하량 보존 법칙 전하는 새로 ...2025.05.04
-
물리학실험 정전기전하 결과레포트2025.05.151. 정전기 유도 정전기 유도(靜電氣 誘導, electrostatic induction)는 물체에 대전체를 가까이 했을 때, 자유 전자가 이동하여 대전체와 가까운 쪽에는 대전체와 다른 전하, 먼 쪽에는 같은 전하가 유도되는 현상이다. 정전기 유도는 영국인 과학자 존 캔턴이 1753년에, 스웨덴인 교수 요한 칼 빌케가 1762년에 발견했다. 윔셔스트 발전기, 밴더그래프 발전기, 전기쟁반 같은 정전기 발전기는 이 현상을 사용한다. 정전기 유도로 인해 전위(전압)은 물체의 어디서든지 일반적으로 일정하다. 2. 도체의 유도 정전기 유도는 ...2025.05.15
-
[A+]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 (Millikan's Oil Drop Experiment, 결과보고서)2025.05.011.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 밀리컨의 기름방울 실험은 대전된 기름방울을 균일한 전기장 속에서 운동시켜 관찰된 운동으로부터 기름방울의 전하를 직접 측정하는 실험이다. 실험 결과 대부분의 데이터에서 기름방울의 전하량이 기본전하량의 정수배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데이터에서 정수배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는 실험 환경과 시간 측정의 오차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1.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은 전자의 전하량을 측정하는 중요한 실험이었습니다. 이 실험을 통해 전자의 전하량이 일정하다는 것이 밝혀졌...2025.05.01
-
[연세대학교] 공학물리학및실험(2) A+ 족보 _ 1.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 결과보고서2025.01.131.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 실험 1.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 결과보고서에서는 대전된 기름방울이 전기장의 영향을 받을 때의 운동을 관찰하여 물질의 기본 전하량을 구하는 활동을 하였다. 실험에서 기름방울의 낙하속도와 상승속도를 측정하여 기름방울의 전하량을 계산하였고, 이를 통해 기본 전하량의 실험값을 도출하였다.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한 결과, 오차율이 2.00%로 매우 작아 실험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기름방울의 종단속도 측정, 공기의 점도 계산, 기름방울의 수직 운동 등에서 오차 요인이 있었음을 분석하고, ...2025.01.13
-
홀 효과(Hall effect) 측정 실험 레포트2025.05.081. 홀 효과 홀 효과 측정 실험을 통해 금속이나 반도체와 같이 전도성이 있는 소재의 전기적 물성을 측정할 수 있다. 홀 효과의 원리는 자기장과 전류의 상호작용으로, 자기장 내에서 전류가 흐르면 로런츠 힘에 의해 전하 운반자가 특정 방향으로 쏠려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전하 운반자의 종류, 전하 밀도, 이동도 등을 구할 수 있다. 2. p-type 반도체 실험 결과 해당 시편은 정공이 주요 운반자인 p-type 반도체로 확인되었다. p-type 반도체는 n-type 반도체와 PN 접합을 형성하며, 태양 전지 등 광 전극...2025.05.08
-
Faraday의 얼음통 실험 예비 + 결과 보고서2025.04.261. 마찰전기의 특성 이번 실험은 Faraday의 얼음통을 사용하여 유도된 정전기의 양과 극성을 측정해 보는 실험으로 이를 통해 마찰전기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유도된 전하량은 마찰판의 전하량과 그 크기가 같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백색과 청색 마찰판을 넣었을 때 전위차의 극성이 반대로 나타나는 것을 통해 유도된 정전기의 극성이 마찰판의 극성과 반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정전기 유도 현상 이번 실험에서는 두 개의 도체 구에서의 전하 분포를 살펴보는 실험을 통해 정전기 유도 현상을 이해할 수 있었...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