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34개
-
기본간호학 해부생리요약 _ 심장 보고서_ 심장의 해부생리2025.01.141. 심장의 기능 심장, 혈관과 혈액은 함께 심장혈관계통(심혈관계, cardiovascular system)을 형성한다. 건강한 성인의 심장은 1분당 5L의 혈액을 뿜어낸다. 심장은 실제 두 개의 펌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른쪽 심장은 혈액을 허파로 보냈다가 왼쪽 심장까지 보내는 허파순환(폐순환, pulmonary circulation)을 담당하고, 왼쪽 심장은 혈액을 온몸에 있는 조직으로 보냈다가 오른쪽 심장까지 보내는 전신순환(체순환, systemic circulation)을 담당한다. 2. 심장의 크기, 모양과 위치 정상 성인...2025.01.14
-
심근의 형태와 기능, 특징, 전도과정, 활동전압 발생과정, 스탈링 심장법칙2025.01.161. 심근의 형태와 기능 심근의 형태적 특성으로는 골격근과 심장근이 공통적으로 횡문근(가로무늬 근육, striated muscle)이며, 심근섬유 사이에 개재판(사이원반, intercalated disk)이라는 구조가 있고 심근섬유와 심근섬유의 세포막이 간극연접(gap junction)을 이루고 있다. 이를 통해 심장근의 기능적 세포결체(functional syncytium)가 형성되어 심근 전체가 마치 하나의 세포처럼 동시에 수축할 수 있다. 2. 심근의 기능적 특성 심근의 기능적 특성으로는 율동성, 전도성, 흥분성, 수축성, 불...2025.01.16
-
성인간호학 심근증, 순환기계 보고서2025.04.28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좌측 제 3~5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며, 크기는 약 12cm, 무게는 약 300g이다. 심장은 심내막, 심근, 심외막 등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낭 속에 보호되어 있다. 심장 내부는 심장 중격을 중심으로 좌우 심장으로 나뉘고, 이는 다시 혈액이 유입되는 좌,우심방과 혈액을 유출시키는 좌,우심실의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의 자극 전도계는 심근을 흥분시키는 전기적 자극을 발생, 이 자극을 심장 전체에 전달하여 자율적으로 율동하고 수축하는 특수한 신경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2. ...2025.04.28
-
심장, 심폐소생술 관련 레포트 A+2025.01.231. 심장의 정의 및 구조 심장은 보통 자기 주먹보다 약간 크고, 근육으로 이루어진 장기로 1분에 60~80회 정도 수축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혈액을 온몸에 흐르게 한다. 심장은 크게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으로 나뉘며, 각 부분에는 심방과 심실이 있고 이들 사이에는 판막이 있다. 왼쪽 부분은 신선한 혈액을 뿜어내고, 오른쪽 부분은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실은 혈액을 폐로 보낸다. 2. 심장의 기능 심장의 기능은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켜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다.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액이 한 방향으로 순환하게 된다. 왼쪽 ...2025.01.23
-
심장순환계 및 소화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보고서2025.04.301. 혈액과 혈관 혈액은 선홍색(동맥혈) 또는 암적색(정맥혈)의 유동체로 스스로 재생하는 결합조직이다. 혈액의 기능은 호흡가스의 운반, 영양소 운반, 노폐물 운반, 신체방어, 전해질 및 수분조절, 호르몬 운반, 혈액응고, 체온조절이다. 혈액은 혈장과 유형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된다. 적혈구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고, 백혈구는 면역반응을 통해 병원균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며, 혈소판은 혈관 손상 시 혈액 응고를 돕는다. 2.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4개의 공간(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으로 구성되어 있다...2025.04.30
-
인체구조와기능 심장(심장주기, 심음, 심박출량, 프랭크-스탈링의 법칙, 자율신경의 작용)2025.05.071. 심장주기 심장은 심방이 먼저 수축하고 심실이 이완이 되어야만 한 번이 끝남. 심실이 이완되고 나면 다시 심방 수축이 되는데 이것처럼 심방수축의 개시에서 다음 심방수축 개시까지를 심장주기라고 한다. 정상적인 사람의 심장주기는 0.8초이며, 심방수축기(0.11초) → 심실수축기(0.27초) → 심실확장기(0.42초)로 구성된다. 2. 심음 심장에서 나는 소리로, 주로 판막이 닫힐 때 발생한다. 제1 심음(S1)은 방실판막이 닫힘에 의해 발생하며, 제2 심음(S2)은 반월판막이 닫힘에 의해 발생한다. 제1 심음이 제2 심음보다 크게...2025.05.07
-
심방세동 CASE STUDY2025.01.1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무게가 약 250~300그램으로 양쪽 폐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 기관으로 2/3가 좌측으로 치우쳐 있으며, 횡경막 위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3개의 층(심외막, 심근, 심내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벽의 심낭(pericardium)으로 둘러싸여 있다. 심장은 중격(septum)에 의해 우심과 좌심으로 구분되며, 다시 위 아래의 심방, 심실로 나뉜다. 우심방은 신체를 돌고 온 정맥혈을 받으며, 우심실은 심실의 이완기 동안 우심방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들여 폐동맥을 통해 폐로 보낸다. 1...2025.01.11
-
심장 초음파 실험 레포트2025.01.031. 심장 초음파 검사 심초음파 검사는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의 움직임, 구조, 혈류의 흐름, 판막의 이상 유무, 심장 내 종양, 혈전 등을 영상화하고 분석하여 심장 질환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심장과 대동맥에 비침습적으로 모든 방향에서 심장의 절단된 단면을 관찰할 수 있어 심장의 구조 및 기능을 파악하는데 용이합니다. 2. 심초음파 검사 종류 심초음파 검사에는 M-mode 심장 초음파검사, 이면성 심장 초음파검사, 도플러 심장 초음파검사, 부하 심장 초음파검사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심장 내 초음파 검사와 혈관 내...2025.01.03
-
협심증 케이스2025.01.031. 심장의 구조 심장은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cm 정도이며 보통 성인의 주먹크기만 하다. 심장은 종격동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 아래쪽에 위치하며 좌우 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다. 심장은 심낭에 둘러싸여 있으며 장측심막과 벽측심막 사이인 심낭강에는 약 10~20mL의 심낭액이 있다. 심장 조직은 심외막, 심근, 심내막의 3개 층으로 구성된다. 2. 관상동맥 관상동맥은 대동맥 시작 부위인 대동맥판막 바로 위에서 나오며 왼쪽과 오른쪽, 2개의 가지로 나뉜다. ...2025.01.03
-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 (Hypoplastic right heart syndrome)에 대한 이론적 고찰2025.01.171.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은 오른쪽 심장의 발달이 미숙한 상태로, 폐동맥판막의 폐쇄증이나 부재, 작은 우심실, 작은 삼첨판, 우심실 형성부전, 삼첨판의 형성 부전 또는 폐쇄 등의 특징이 있다. 이 중 가장 큰 문제는 폐동맥판막 폐쇄증이다. 심실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이 실패하며 심실 근육 구조가 미흡해지고, 심장이 혈액을 폐로 보내기 위해 폐동맥판막을 밀어내는 데에도 문제가 생긴다. 우심방의 혈액 공급 양은 충분하지 못하고 이러한 이유로 폐로도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다. 또한 관상동맥으로의 혈류도 충분치 ...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