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09개
-
분석화학실험 - 산염기 직접적정2025.05.161. 전위차법(potentiometry) 전위차법은 지시 전극(indicator electrode)과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전기 화학 분석법입니다. 지시전극은 분석물질의 농도에 따라 전위가 변하는 전극이며, 기준전극은 일정한 전위를 유지하는 전극입니다. 전위차법 측정은 용액 전체적으로 모든 화학종의 농도가 균일한 화학 평형 상태에서 수행합니다. 전위차를 이용한 분석방법으로 '전위차 적정법(potentiometric titration)'이 있는데, 이 방법은 전위차에 변화가 일어나는...2025.05.16
-
일반화학실험(2) 실험 18 산-염기 적정 예비2025.05.091. 산-염기 적정 이번 실험에서는 물질에 대한 정량분석의 예시로, 식용 식초와 아스피린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식용 식초는 5%의 acetic acid(아세트산)를 포함하고, 아스피린 알약은 acetylsalicylic acid를 포함한다. acetic acid와 acetylsalicylic acid는 모두 산이므로 염기인 NaOH(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는 산-염기 적정을 통해 산의 농도를 결정할 것이다. 2. 브뢴스테드-로우리 이론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에 의하여 산은 수소 이온(H+), 즉 양성자를 내놓는 물질을 의미하고, 염...2025.05.09
-
생활 속의 산-염기 분석 예비 + 결과 레포트2025.05.041. 산-염기 중화 반응 산과 염기는 서로 대립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고, 산과 염기가 함께 혼합되면 물과 염이 생성되는 중화 반응이 일어난다. 중화 반응을 이용해서 수용액 속에 녹아있는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 이러한 실험을 산-염기 적정이라고 부른다. 2. pH 측정 용액의 pH는 유리전극을 이용하여 용액 중의 수소 이온의 농도를 직접 알아내는 pH 미터를 사용해서 측정할 수 있다. pH 미터가 없을 경우에는 수용액의 pH에 따라서 색이 변하는 지시약을 사용하는 방법도 많이 사용된다. 3. 식초 분석 식초 ...2025.05.04
-
표준 산-염기 조제 및 표정 결과 레포트2025.01.031. 산-염기 표준용액 제조 및 표정 이 실험의 목적은 산, 염기 표준용액을 만들고 정확한 농도로 만들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표정하는 것입니다. 실험 방법으로는 KHCO3와 NaOH 용액을 제조하고 미지의 HCl 용액을 사용하여 3회 반복 적정을 진행했습니다. 실험 결과, KHCO3를 이용한 HCl 표정에서는 4%의 오차율이, NaOH를 이용한 HCl 표정에서는 2.5%의 오차율이 나왔습니다. 이러한 오차 원인으로는 정확한 색 변화 구분의 어려움과 뷰렛 세척 과정에서 발생한 시약 농도 변화 등이 고려되었습니다. 1. 산-염기 표준용...2025.01.03
-
분석화학실험 A+ ( 결과 레포트 ) 산염기 적정곡선의 분석 - Gran plot2025.05.141. Gran plot Gran plot은 산-염기 적정 실험에서 사용되는 분석 방법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KHP(potassium hydrogen phthalate)와 NaOH(sodium hydroxide)를 사용하여 산-염기 적정 곡선을 작성하고, Gran plot을 통해 당량점을 분석합니다. Gran plot은 적정 곡선의 선형 부분을 이용하여 당량점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2. 산-염기 적정 산-염기 적정은 산과 염기 사이의 반응을 이용하여 미지 시료 중 산 또는 염기의 농도를 결정하는 실험입니다. 이 실험...2025.05.14
-
표준 산-염기 용액의 조제 및 표정 결과 레포트2025.01.051. 표준 산-염기 용액 조제 및 표정 이번 실험에서는 표준 산-염기 용액을 조제하고 이를 표정하는 과정을 다루었습니다. A실험에서는 KHCO3 용액을, B실험에서는 NaOH 용액을 사용하여 표정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A실험에서는 7%의 오차율을, B실험에서는 6.5%의 오차율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적정 과정에서의 색상 변화 관찰 및 용액 부피 확인의 부정확성, 뷰렛 사용 시 힘 조절의 어려움 등이 지적되었습니다. 이번 실험을 통해 노르말농도와 몰농도의 차이, 메틸오렌지 지시약의 pH에 따른 색상 변화 등을 ...2025.01.05
-
[건국대 분석화학실험 A+]예비_실험5_산-염기 적정곡선의 분석-Gran plot2025.05.031. Gran plot Gran plot은 산-염기 적정 시에 종말점에 이르는 당량의 80~90%를 진행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종말점을 구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이다.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는 경우에 약산의 산-해리평형과 평형상수를 이용하여 Gran plot을 작성하고 종말점과 산해리 상수를 구할 수 있다. 2. 활동도 활동도는 실제 용액에서 화학종의 '유효한 농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이상 용액의 농도와 실제 농도의 차이를 고려한다. 활동도 계수는 이상 용액의 농도와 실제 농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3. 이온세기 이온세기는 용...2025.05.03
-
pH 변화 관찰 실험(KHP, Gran plot)을 통한 산-염기 적정 분석2025.01.291. 산-염기 적정 산-염기 적정 실험에서 pH meter를 사용하여 용액의 pH 변화를 관찰하면 end point를 결정할 수 있다. Gran plot은 end point 이전의 결과만을 사용하여 end point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약산 HA의 적정 시 pH electrode는 H+ ion의 활동도에 감응하므로 활동도 계수를 고려해야 한다. 2. pH 측정 pH meter를 사용하여 용액의 pH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pH 측정 시 H+ ion의 활동도에 따라 pH 값이 결정되므로 활동도 계수를 고려해야 한다. 3. end ...2025.01.29
-
정성분석실험: 침전반응과 산-염기 반응을 통한 미지 시료 분석2025.01.081. 정성 화학 분석 정성 화학 분석은 물질에 포함된 특정 성분의 유무를 확인하는 분석법입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화학 반응을 통한 침전과 산염기 반응으로 인해 변화하는 미지용액을 정성 분석하여 미지 시료에 포함되어있는 물질을 확인합니다. 2. 침전 반응 침전은 액체에 있는 현탁한 물질이 중력에 따라 침강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수용액 속 녹아있던 용질이 과포화 상태에 이르렀을 때 불용성 고체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약을 추가해주거나 온도에 변화를 주었을 때 그리고 화학 반응에 의해 일어난...2025.01.08
-
분석화학실험 A+ ( 예비 레포트 ) 산염기 적정곡선의 분석 - Gran plot2025.05.141. 산-염기 적정 산-염기 적정에서 종말점을 알아내는 방법 중 하나인 Gran plot 법에 대해 이해하고,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는 실험에 대해 Gran plot을 이용하여 종말점을 찾아내고 약산의 산해리 상수를 구한다. 2. Gran plot Gran plot은 산-염기 적정 시 종말점에 이르는 당량의 80~90%를 진행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종말점을 구하는 방법이다.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는 경우 약산의 산-해리평형과 평형상수를 이용하여 Gran plot을 작성하고 기울기와 x절편을 구하여 산해리 상수를 계산한다. 3. pH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