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1개
-
세포생리학실험_cell culture, Genomic DNA Isolation_genomic DNA 추출, total RNA 추출, 전기영동2025.01.131. 세포 배양 HEK 293T 세포를 DMEM 배지와 FBS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세포는 처음에는 동글동글한 모양이었지만 점차 바닥에 붙어 자라나면서 별모양의 형태를 띠었다. 배지의 색이 점점 노란색으로 변하면서 세포가 죽기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세포가 일정 횟수의 분열을 한 후 노화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Genomic DNA 추출 HEK293T 세포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세포를 용해시킨 후 단백질과 RNA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순수한 DNA를 분리하였다. 전기영동 결과 DNA 밴드가 마커보다...2025.01.13
-
병원내 감염2025.01.141.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요로감염은 증상이 있는 경우와 무증상 요로감염으로 구분됩니다. 증상이 있는 경우는 발열, 요의 절박, 빈뇨, 배뇨곤란, 치골 상부 압통 중 한 증상과 소변배양에서 2종류 이하의 세균이 10^5/ml 이상 분리되는 경우로 진단합니다. 무증상 요로감염은 정체 도뇨관 처치를 받은 경우나 최소 두 번의 소변 배양검사에서 두 종류 이하의 미생물이 10^5/ml 이상의 균락을 형성하고 증상이 없는 경우로 진단합니다. 기타 요로감염은 신장, 요관, 요도 또는 신장 주위조직의 감염으로, ...2025.01.14
-
박테리아에서 DNA 분리2025.01.271. plasmid DNA 분리 실험 목적은 plasmid DNA 분리에 대해 이해하고, 그 과정 중 하나인 plasmid mini-preparation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plasmid DNA 분리법의 공통적인 세 단계는 overnight culture, mini preparation, 순수한 plasmid DNA 분리 과정이다. mini-prep은 plasmid DNA를 소량 분리하는 방법으로, 알칼리 조건에서 세포를 파괴시켜 DNA만을 분리하는 것이다. 2. plasmid DNA 분리 시약 실험에 사용된 시약은 LB 배지...2025.01.27
-
혈액 검사시 바틀의 종류2025.01.201. EDTA 튜브 EDTA 튜브는 보라색으로, 주요 검사로는 CBC 검사, RBC 형태 검사, 세포 면역 검사 등이 있다. EDTA가 칼슘과 결합하여 혈액 응고를 막는다. 검사는 2시간 이내에 이루어져야 하며, 즉시 검사가 어려울 경우 4°C에서 24시간까지 보관할 수 있다. 2. Sodium Citrate 튜브 Sodium Citrate 튜브는 대개 하늘색 또는 파란색이며, 주요 검사로는 PT, aPTT, FDP, Fibrinogen, D-dimer, Factor 검사 등이 있다. 항응고제와 혈액의 비율은 1:9이며, 채취 후 ...2025.01.20
-
TSI 배지를 이용한 균 확인 시험2025.01.121. 선별배지 선별배지란 특정 미생물 이외의 다른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고 특정 미생물을 다른 미생물과 분별할 수 있게 하여 원하는 미생물을 선택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배지로 분리배양에 이용된다. EMB 배지, XLD 배지, MacConkey 배지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었다. 2. 균 동정 및 확인 방법 균을 동정 및 확인하는 방법은 크게 culture based technology와 culture-independent technology로 나뉘며, culture based technology에는 gram staining, mobili...2025.01.12
-
식품미생물학 미생물의 검출 및 균수측정법2025.05.071. 균수측정법 총균계수법, 생균계수법, 표준평판계수법, 최확수법 등 다양한 균수측정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방법의 원리, 장단점, 실험방법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2. 선택배지와 분별배지 선택배지는 특정 미생물의 성장을 돕거나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특정 미생물만 자랄 수 있는 배지입니다. 분별배지는 특정 미생물과 다른 미생물의 콜로니를 구별할 수 있는 배지입니다. 3. 종균배양기술 미생물의 존재 확인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1차 증균배양과 2차 선택적 증균배양을 통해 선택배지...2025.05.07
-
식품미생물실험 실험보고서 배지제조, 식품미생물 실험, 배지제조실험 A+2025.01.291. 배지 제조 배지란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해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과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물질을 넣어 혼합한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굳힌 상태에 따라 평판배지, 사면배지, 고층배지를 제조하였다. 배지를 제조할 때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물질과 실험목적에 부합하는 물질을 제외한 다른 물질이나 미생물 등이 존재할 경우 정확한 실험결과를 얻기 어려우므로, autoclave 처리를 통해 미생물을 사멸시키고 알코올을 이용하여 무균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식품미생물 실험 식품미생물 실험에서는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배지 제...2025.01.29
-
[식품미생물공학실험] 토양 미생물의 분리 및 식별2025.01.291.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niger는 토양에 풍부하고 실내 환경에서 흔히 발견되는 곰팡이이다. 식품의 일반적인 오염물질인 식물 병원성 곰팡이지만, 셀룰로오스, 펙틴 등의 식물 바이오매스 다당류를 탄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로 이화시키는 효소 활성을 가진다. 더불어 인간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유기산이자 식품, 제약 산업에 널리 사용되는 구연산의 주요 산업 동력원인 산업 미생물로 사용된다. 최근 식물 병원성 곰팡이의 식물 숙주 감염에 대한 식물 백신 연구의 모델 균주로 활용되기도 한다. 2. Ba...2025.01.29
-
[일반생물학실험]Lycopene 배양 및 추출2025.05.031. 발효와 부패의 차이 발효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어 사람에게 유용한 물질이 생성되는 현상이다. 특정한 조건(온도, 시간, 무산소상태)에서만 발효가 일어나며, 발효균은 초산과 젖산, 알코올 등 좋은 효소를 분비하여 유해균을 무력화시킨다. 부패는 생물의 유해나 배설물 등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물질이 혐기성 세균에 의해 불완전하게 분해되는 현상이다. 혐기성 세균에 의해 유기물질이 펩톤, 아미노산 등으로 분해되면서 아민, 황화수소가스, 암모니아가스, 메탄이 형성되어 악취가 풍기고 유해한 독성 물질이 발생한다. 2. 발효기...2025.05.03
-
플라스미드 미니 준비 발표2025.01.061. 플라스미드 플라스미드는 박테리아가 가진 염색체 이외의 DNA 분자입니다. 1952년 미국의 유전학자 J. 레더버그가 최초로 플라스미드를 발견했으며, 이는 박테리아가 독자적으로 증식할 수 있는 DNA 분자라는 의미로 명명되었습니다. 플라스미드는 유전공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플라스미드 준비는 플라스미드 DNA를 추출하고 정제하는 과정입니다. 2. 플라스미드 미니 준비 플라스미드 미니 준비는 박테리아로부터 소량의 플라스미드 DNA를 추출하고 정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많은 후보를 빠른 시간 내에 분석할 수 있게 해줍니다....202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