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3개
-
[민법총칙] 자연인의 권리능력 파트 요약2025.05.101. 권리능력 평등의 원칙 권리능력 평등의 원칙이란 그 사람이 사람이기만 하면 성별·연령·계급·장애 유무 등과는 관계없이 누구나 평등하게 권리능력을 가진다는 것을 뜻한다. 2. 권리능력의 시기 민법 제3조에 의거 사람은 생존한 동안 즉, 출생시부터 사망시까지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인정된다. 따라서 사람이 권리능력을 취득하게 되는 것은 출생 후 한 순간이라도 살아있는 시점부터이며, 출생신고나 사망신고의 여부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다. 따라서 태아는 예외적으로만 권리능력이 인정된다. 3. 태아의 권리능력 태아는 수태 후 사람의 체내에서 ...2025.05.10
-
[민법총칙] 제한능력자의 상대방의 보호2025.05.101. 제한능력자의 상대방 보호 민법은 제한능력자의 보호로 인해 희생되는 상대방을 위해 확답촉구권, 철회권·거절권, 취소권 배제 등의 제도를 규정하고 있다. 확답촉구권은 상대방이 제한능력자에게 취소 가능한 행위에 대한 추인 여부를 확답하도록 촉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철회권과 거절권은 각각 계약과 단독행위에서 상대방이 제한능력자의 추인 전에 의사표시를 철회하거나 거절할 수 있는 권리이다. 취소권 배제는 제한능력자가 상대방을 능력자로 믿게 하려고 했고 상대방이 그렇게 믿었던 경우 제한능력자 측에서 취소할 수 없도록 하는 제도이다. 1....2025.05.10
-
(A학점)(민법총칙)태아의 권리능력에 대해 논하시오2025.01.271. 태아의 권리능력과 관련된 주요 학설 국내에서 태아의 권리능력과 관련한 학설은 크게 정지조건설과 해제조건설로 나뉩니다. 정지조건설은 태아가 기본적으로 권리능력이 부재하다고 보지만, 출생이라는 조건을 충족하면 권리능력을 인정받게 된다고 주장합니다. 해제조건설은 태아 상태에서부터 권리를 부여받는다고 보며, 필요하다면 대리인을 선임하여 태아의 의사표현도 대신할 수 있다고 봅니다. 국내에서는 대체적으로 정지조건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예외적으로 손해배상청구권 등 일부 권리에 대해서는 태아의 권리능력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2. 태아의...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