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40개
-
Rat 적출 회장에서 Atropine 투여 전후 Acetylcholine 농도에 따른 장력 변화 관찰 및 Rat에서 Acetylcholine 투여에 따른 혈압 변화 관찰2025.01.161. Acetylcholine의 작용 기전 Acetylcholine은 소화관 평활근과 혈관에서 모두 동일한 Muscarinic Receptor에 작용한다. 그러나 소화관 평활근과 혈관에서 동일한 방향의 수축 또는 이완을 일으키지 않는다. 혈관에서의 작용은 평활근에 직접 작용하는게 아니라 우선적으로 혈관내피세포에 있는 Receptor에 작용하여 NO를 방출시키게 되고 NO가 혈관 평활근으로 가서 신호전달을 야기하여 혈관 평활근 이완을 유발하게 된다. 장관 평활근을 수축시키는 기전은 Muscarinic Receptor에 작용하여 세포내...2025.01.16
-
안면근육, 저작근, 목근육의 분류2025.01.031. 안면근육 얼굴의 근육에는 뼈에서 뼈, 뼈에서 피부, 피부에서 피부에 붙는 근육이 있다. 이 중 피부에 붙은 근육을 표정근이라 하며, 이 근육은 횡문근으로 자신의 의사로 움직인다. 표정근에는 전두근, 미간근, 후두근, 안륜근, 추미근, 비근, 협근, 이근, 구륜근, 소근, 관골근 등이 있다. 2. 저작근 저작근은 음식을 씹을 수 있도록 강한 수축력을 가진 근육으로, 한쪽은 머리뼈에, 다른 한쪽은 아래턱에 붙어서 아래턱을 움직여 입을 움직이도록 한다. 저작근에는 관자근, 교근, 내측익돌기, 외측익돌기 등이 있다. 3. 목근육 목은...2025.01.03
-
피부, 근육, 신경의 구조 및 기능2025.04.301. 피부의 구조 및 기능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표피는 배아층, 가시층, 과립층, 각질층으로 구성되며, 진피는 유두부와 망상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피부는 체온 조절, 보호, 감각, 분비 및 흡수, 비타민 D 합성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합니다. 2. 근육의 구조 및 기능 근육은 골격근, 심장근, 민무늬근으로 구분됩니다. 골격근은 수의근이며 가로무늬를 나타내고, 심장근은 심장을 박동하게 하는 수축 세포입니다. 민무늬근은 불수의근이며 혈관, 내장 등에 분포하여 다양한 기능을 합니다. 3. 신경의 구조 및 ...2025.04.30
-
<현역의대생> 운동생리학_탐구보고서_의학(세특)2025.01.121. 운동생리학 운동생리학은 단시간 혹은 장시간의 운동자극에 대한 인체 반응 및 적응 과정을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운동과 에너지 대사, 움직임의 기초인 근육, 운동과 호흡, 운동과 심장순환계, 운동과 호르몬 등이 있습니다. 2. 에너지 대사 인체는 섭취한 음식물을 호흡으로 얻어진 산소에 의해 분해시켜 에너지를 얻습니다. 이 에너지는 ATP의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며, ATP를 생산하는 방법은 무산소성 과정과 유산소성 과정으로 구분됩니다. 운동 유형에 따라 에너지 생성 과정이 달라집니다. 3. 근육 수축 근육은 화학적 에...2025.01.12
-
웨이트 트레이닝의 장단점 및 바른 운동법2025.01.251. 등척성 운동(아이소메트릭), 등장성 운동(아이소토닉), 등속성 운동(아이소키네틱)의 특징, 장점, 단점 등척성 운동은 근육의 길이와 관절의 각도가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길이가 일정한 근수축으로, 공간적인 제약이 없고 관절 움직임 없이 안정성이 확보되어 관절의 부담이 적어 재활 운동에 적합하다. 하지만 특정 근육만을 사용하고 있어 다양한 근육을 사용한 신체 발달을 위해 다른 종류의 운동과의 병행이 필요하다. 등장성 운동은 근육의 수축 시에도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공간적인 제약이 없어 대중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지만 ...2025.01.25
-
호흡의 기전과 호흡조절의 기전2024.12.311. 호흡 기전 호흡 기전은 크게 흡기(들숨)와 호기(날숨)로 나뉩니다. 흡기 시 외늑간근 수축, 내늑간근 이완으로 늑골이 상승하고 횡격막이 수축하여 흉강 내 압력이 낮아져 외부 공기가 폐포 내로 유입됩니다. 호기 시에는 그 반대로 외늑간근 이완, 내늑간근 수축으로 늑골이 하강하고 횡격막이 이완하여 흉강 내 압력이 높아져 공기가 폐포 밖으로 배출됩니다. 2. 호흡 조절 기전 호흡 조절은 중추신경계와 화학적 요인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중추신경계의 지속흡식중추와 호흡 조정중추가 호흡 주기와 패턴을 조절하며,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2024.12.31
-
유방과 항문의 해부학적 기능과 구성2025.05.071. 유방의 해부학적 기능과 구성 유방은 제 2~3 늑골에서 제 7~8 늑골까지, 흉골 외측연에서 전액화선(anterior axillary line)까지의 범위 내에 위치하며, 대흉근(pectoralis major muscle)의 외측부분을 따라 겨드랑이에까지 뻗혀 있다. 유방의 해부학적 구성은 젖무리, 유두, 유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두는 예민한 발기조직이며, 15-20개의 젖샘관이 개구되어 있다. 유선은 각각 15-20개의 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즙은 선방세포에서 분비되어 젖샘소엽 - 젖샘엽 - 젖샘관으로 유출되고, 젖샘관...2025.05.07
-
근육 및 신경생리에 관한 조사 -기초간호과학과 간호학의 기능적 통합에 대하여-2025.05.081. 신경생리 신경계는 생명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인식하고 해석하여 이에 대한 명령과 수행이 이루어진다. 신경계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는 뉴런이라 불리는 신경세포이며,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뉜다. 신경조직은 신경세포와 아교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경세포는 전기적, 화학적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신경계는 감각, 운동 및 정신작용을 할 수 있는 특유의 계통이다. 2. 근육생리 근육은 수축성이 있는 모든 조직을 말하며, 뼈대근육, 심장근육, 민무늬근육으로 분류된다. 뼈대근육은 뼈에 부착되어 몸 운동을 조절하며, 심장근육은...2025.05.08
-
뼈와 근육 -뼈대계통과 근육계-2025.01.041. 뼈대계통 뼈의 기능은 지지, 운동, 보호, 무기물 저장, 지방 저장, 혈액세포 형성입니다. 뼈는 치밀뼈와 해면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살아있는 조직입니다. 뼈는 배아기부터 성인기까지 발생과 재형성 과정을 거칩니다. 몸통뼈대는 머리뼈, 척주, 가슴우리로 구성되며, 팔다리뼈대는 팔이음뼈와 다리이음뼈로 구성됩니다. 관절에는 섬유관절, 연골관절, 윤활관절이 있으며 관절의 손상과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근육계 근육에는 골격근육, 심장근, 민무늬근이 있으며 근육의 특징은 흥분, 수축, 이완, 탄력성입니다. 대부분의 근육은 쌍으로...2025.01.04
-
운동상해 트리거포인트의 정의, 원인, 승모근의 트리거포인트와 치료방법2025.01.041. 트리거 포인트 트리거 포인트는 근육 내의 작고 과민한 부분으로, 자발적이거나 외부 압박으로 연관통의 영역이라고 알려진 다른 근육 부위까지 통증이 동반되는 병변을 지칭한다. 트리거 포인트는 연축 반응이라고 불리는 근육의 반응을 보이며, 압박이나 주사침으로 자극하면 해당 근섬유의 방향에 대해 횡 방향의 갑작스러운 상태의 수축이 발현한다. 2. 승모근의 트리거 포인트 현대 사회의 사무직 업무 형태로 인해 상지에 작업이 집중되면서 상부 승모근에 피로가 쉽게 발생하고, 스트레스 축적으로 근육 긴장이 유발되어 두통, 요통 등이 나타난다....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