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1개
-
응용전기전자실험 안전교육 및 장비 사용법2025.11.141.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오실로스코프는 전자 신호를 시각화하는 측정 장비입니다. 전원 인가 후 프로브를 테스트 단자에 연결하여 파형을 관측합니다. 수평축은 시간, 수직축은 전압을 나타내며, 트리거 기능을 통해 특정 조건의 파형을 안정적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주기, 주파수 등의 신호 정보를 분석하고 기록할 수 있습니다. 2. 전원공급기(Power Supply) - CC/CV 모드 전원공급기는 두 가지 주요 모드를 제공합니다. CC(정전류) 모드는 사용자가 설정한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부하 저항에 따라 전압이 ...2025.11.14
-
NE555 타이머 발진회로 제어 및 동작원리2025.11.141. 단안정 발진(Monostable Oscillation) 단안정 발진은 한 가지의 안정 상태를 가지며 외부 트리거 신호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태가 변했다가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동작입니다. NE555 타이머에서 외부 단자에 저항과 커패시터를 연결하고 트리거 입력이 Vcc/3이 되면 플립플롭이 리셋되어 커패시터가 충전됩니다. 커패시터가 2/3Vcc에 도달하면 플립플롭이 셋되어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합니다. RC시정수가 충전속도와 출력펄스의 폭을 결정하며, 출력전압이 Vcc를 유지하는 시간은 약 1.1RC입니다. 2. ...2025.11.14
-
오실로스코프 및 함수발생기 동작 실험2025.11.171.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오실로스코프는 공학도의 필수 장비로, 전압파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계측기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AUTOSET 기능(초기화), 수직제어기(Vertical), 수평제어기(Horizontal), 트리거 제어기 등이 있다. 수직제어기는 채널 디스플레이와 커서 위치를 조정하고, 수평제어기는 시간축 배율을 설정한다. 트리거 제어기는 신호 획득을 위한 진폭 레벨을 설정한다.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전압의 직류·교류 성분, 주기, 주파수, 위상차 등을 측정할 수 있다. 2. 함수발생기(Function Ge...2025.11.17
-
오실로스코프를 활용한 측정 보고서-고퀄2025.05.031. 오실로스코프 측정 방법 오실로스코프 전원을 켜고 채널 2개를 설정한 후 DC를 제거한다. GND 신호를 원점에 맞추고 측정 대상의 전압을 확인한다. 프로브를 OUT PUT과 GND에 연결하고 SEC/DIV를 조정하여 신호를 확인한다. 트리거를 상승 엣지로 설정하고 SINGLE 모드로 신호를 측정한다. 2. 함수발생기 설정 함수발생기를 1KHz, 1V, P-P로 설정한다. 3. 측정 결과 분석 전압을 1V로 설정했을 때 채널1과 채널2의 위상차는 29도, 주기는 채널1 250μs, 채널2 270μs, 주파수는 채널1 4kHz, ...2025.05.03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5_Oscilloscope와 Function Generator 사용법(보고서 1등)2025.05.101. Oscilloscope 사용법 Oscilloscope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4.2 - 8번 문항에서는 저항값에 따른 Vpp 값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4.3 - 4번 문항에서는 51Ω, 510Ω, 1kΩ, 10kΩ 저항에 대한 Vpp 값을 측정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4.5 - 5번 문항에서는 trigger level을 2V 이상으로 조정하면 교점이 없어져 파형이 사라지고, 그 이하에서는 trigger level을 줄이면 파형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2. Function Generat...2025.05.10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9차 예비보고서2025.04.271. LPF 설계 C=10nF인 커패시터와 R을 직렬 연결하여 cutoff frequency가 15.92kHz인 LPF를 설계하였습니다. 회로도를 그리고 R의 크기를 구하였습니다. 또한 LPF 전달함수의 크기와 위상을 0~100kHz까지 linear(H)-log(주파수) 그래프로 그렸습니다. 10kHz, 1V 정현파를 인가했을 때 입력파형과 출력파형, 출력의 크기와 입력에 대한 위상을 구하였습니다. 2. HPF 설계 L=10mH인 인덕터와 R을 직렬연결하여 cutoff frequency가 15.92kHz인 HPF를 설계하였습니다. ...2025.04.27
-
전기회로설계실습 실습9 예비보고서2025.01.201. LPF 설계 C=10nF인 커패시터와 R을 직렬 연결하여 cutoff frequency가 15.92kHz인 LPF를 설계하였다. 회로도를 그리고 R의 크기를 구하였다. 또한 LPF의 전달함수(H)의 크기와 위상을 0~100kHz까지 linear(H)-log(주파수) 그래프로 그렸다. 2. LPF 실험 LPF에 주파수가 10kHz이고 크기가 1V인 정현파를 인가하였다. 입력파형과 출력파형을 하나의 그래프에 그리고 출력의 크기와 입력에 대한 위상(각도와 시간)을 구하였다. 3. HPF 설계 L=10mH인 인덕터와 R을 직렬 연결하...2025.01.20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52025.01.171. Oscilloscope 사용법 오실로스코프의 동작원리와 사용방법을 익혔습니다.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사인파, 삼각파, 사각파 등 다양한 파형을 관찰하고 주파수, 주기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 Function Generator 사용법 Function Generator의 동작원리와 사용방법을 익혔습니다. Function Generator의 출력 저항이 50Ω이기 때문에 부하 저항에 따라 실제 출력 전압이 달라짐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Trigger 모드와 Level 조절을 통해 파형을 안정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습...2025.01.17
-
슈미트 트리거 회로 특성 분석 및 정궤환 회로 실험2025.11.131. 슈미트 트리거 회로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정궤환 회로로 구성된 슈미트 트리거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는 비선형 회로이다. 입력 전압이 상한 임계값(V_TH)을 넘으면 출력이 +V_sat으로 스위칭하고, 하한 임계값(V_TL)을 넘으면 -V_sat으로 스위칭한다. 이러한 히스테리시스 특성으로 인해 노이즈가 포함된 입력 신호에서도 출력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저항값을 조절하여 히스테리시스 간격을 제어할 수 있으며, V_TH와 V_TL은 저항값에 비례한다. 2. 연산증폭기의 출력 스윙 범위 실제 OP-AMP 소자의 출력 스윙 ...2025.11.13
-
서울시립대_물리학및실험2_멀티미터및오실로스코프작동법_예비레포트&결과레포트_A+2025.04.271. 멀티미터 및 오실로스코프 작동법 이 실험에서는 전자기학 실험에 사용되는 측정 장비인 함수발생기, 오실로스코프, 멀티미터의 사용법과 측정 방법을 익히는 것이 목적이다.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정현파와 구형파의 특성을 관찰하고, 오실로스코프와 멀티미터로 측정한 전압 값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오실로스코프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전기회로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 멀티미터 및 오실로스코프 작동법 멀티미터와 오실로스코프는 전자 회로 분석과 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멀티미터는 전압, 전...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