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84개
-
응급중환자실 실습_ 좌심부전으로 인한 폐부종 케이스스터디_가스교환장애2025.01.171. 좌심부전 이 환자는 85세 여성으로 고혈압, 당뇨, 치매 등의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최근 고관절 수술과 손목 골절 등의 병력이 있었습니다. 내원 4일 전부터 호흡곤란이 있었고, 내원 당일 증상이 악화되어 응급실로 왔습니다. 응급실 초기 사정 시 폐음에서 수포음과 천명음이 있었고, 하지부종이 관찰되었으며, 의식수준이 혼미한 상태였습니다. 심전도 검사와 흉부 CT 결과 좌심실 확장과 관상동맥 질환, 폐울혈 소견이 있어 좌심부전으로 인한 폐부종으로 진단되었습니다. 2. 폐부종 이 환자는 좌심부전으로 인해 폐부종이 발생한 것으로 보입...2025.01.17
-
심장순환계 및 소화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보고서2025.04.301. 혈액과 혈관 혈액은 선홍색(동맥혈) 또는 암적색(정맥혈)의 유동체로 스스로 재생하는 결합조직이다. 혈액의 기능은 호흡가스의 운반, 영양소 운반, 노폐물 운반, 신체방어, 전해질 및 수분조절, 호르몬 운반, 혈액응고, 체온조절이다. 혈액은 혈장과 유형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된다. 적혈구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고, 백혈구는 면역반응을 통해 병원균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며, 혈소판은 혈관 손상 시 혈액 응고를 돕는다. 2.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4개의 공간(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으로 구성되어 있다...2025.04.30
-
승모판폐쇄부전증 CASE STUDY(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2025.01.041. Mitral (valve) insufficiency 승모판 부전이 있는 경우, 좌심실이 수축할 때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되어 심박출량이 감소되고, 좌심방에서 좌심실로의 혈액 유입이 증가함으로써, 용적과부하가 온다. 좌심실은 대동맥과 좌심방 양쪽으로 혈액을 보내게 되어 후부하가 감소되며, 박출률이 증가하여 유효 심박출량은 정상을 유지한다. 한편 좌심방은 역류 혈량에 적응하여 확대되어 좌심방압도 떨어져 심한 활동에도 호흡곤란을 느끼지 않고 증상 없이 지낼 수 있다. 그러나 보상상태가 지속되다가 좌심실수축력이 감소되면 궁극적으로 심...2025.01.04
-
심부전 Heart Failure2025.01.111. 심부전 병리생리 심부전의 병리생리는 심장 기능 저하로 인한 심박출량 감소, 이에 따른 체내 보상 기전 활성화(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 교감신경계 등), 그리고 이로 인한 체액 저류와 말초혈관 저항 증가 등의 과정으로 설명된다. 우심실 부전의 경우 우심실의 후부하 증가에 따른 좌심실 압박과 충만 저하가 특징적이다. 또한 나트륨뇨펩티드는 심부전에 대한 내인성 보상 기전으로 작용한다. 2. 심부전 분류 심부전은 좌심실 수축기능 저하형(HFrEF)과 이완기 기능 저하형(HFpEF)으로 구분된다. 또한 NYHA 기능 분류에 따라 ...2025.01.11
-
91세 남성의 좌심부전 사례2025.01.031. 좌심부전 좌심부전은 좌심실의 수축력 저하로 인해 전신으로 충분한 혈액을 보내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로 인해 폐정맥압이 상승하여 폐부종이 발생하고, 주요 장기로의 혈류 감소로 신기능 저하, 배뇨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를 위해 이뇨제, 혈압강하제 등의 약물 투여와 함께 수분 및 전해질 관리, 산소 공급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2. 흉막삼출 흉막삼출은 흉막강 내 체액이 과다 축적되는 상태로, 좌심부전으로 인한 모세혈관압 상승이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흉부 X-ray 검사로 진단하며, 지속적인 배액을 위해 흉관 ...2025.01.03
-
A+)진단 3개 심부전 heart failure case 케이스스터디2025.01.191. 심부전(heart failure) 심부전이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충만 기능이나 짜내는 박출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좌심실의 충만 이상으로 인해 폐에 물이 차면 호흡곤란이 생기고, 좌심실 박출 장애로 인해 피로, 쇠약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우심실의 충만 장애는 다리 부종, 복수, 흉수로 인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좌심부전은 우심부전보다 훨씬 많이 발생합니다. 1. 심부전(heart failure) ...2025.01.19
-
심부전의 증상과 징후2025.01.151. 심부전의 임상적 분류 심부전은 심장에서 신체의 대사요구에 따른 혈액량을 박출하지 못하는 경우로, 원인에 따라 급성, 만성 심부전과 심박출량에 따른 고박출성, 저박출성 심부전, 손상 부위에 따른 우심, 좌심부전, 심장주기에 따른 수축기성, 확장기성 심부전, 혈류의 울혈상태에 따른 전향, 후향성 심부전 등으로 분류된다. 2. 급성심부전 급성 심부전은 심근이 갑자기 펌프기능을 상실할 때 일어나며, 쇼크, 심정지, 실신, 돌연사 등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을 야기한다. 주요 원인은 급속한 혈액량 감소로 오는 쇼크나 심한 순환혈액량...2025.01.15
-
심부전 임상적 분류, 증상, 징후2025.04.281. 좌심부전 좌심실이 펌프기능장애로 인하여 전신 혈관 속으로 동맥혈을 충분히 박출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원인으로는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심근염, 선천성 심질환 등이 있습니다. 좌심부전 증상과 징후로는 심박출량 감소와 폐정맥압 상승으로 인한 폐울혈, 불규칙한 심장 리듬, 폐에서 거품소리와 쌕쌕거림, 불안과 우울, 피로, 호흡곤란, 기침과 혈담, 신장 기능 저하와 부종, 체중 증가 등이 있습니다. 2. 우심부전 우심실의 펌프기능장애로 폐순환계 속으로 정맥혈을 충분히 박출하지 못하는 상태로서 전신 정맥계에 울혈을 초래합니다. 원...2025.04.28
-
승모판막폐쇄부전증 질병보고서 및 수술과정2025.01.171. 승모판막폐쇄부전증(mitral regurgitation) 승모판막의 이상으로 인해 수축 시 판막이 잘 닫히지 않아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혈액이 역류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다양한 선천성, 후천적 원인으로 인해 승모판막에 손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승모판막이 심실 수축기에 완전 폐쇄가 안 되어 혈액이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역류한다. 이러한 현상은 심장의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심박출량을 줄인다. 2. 수술 과정 환자의 승모판막폐쇄부전증과 삼첨판막폐쇄부전증, 심방중격결손을 치료하기 위해 승모판막치환술, 삼첨판륜성형술, 심방중격결손 ...2025.01.17
-
[성인간호학실습]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CASE STUDY2025.01.221.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승모판막이 수축 시 잘 닫히지 않아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혈액이 역류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과정의 지속에 따라 좌심실이 확장되고, 좌심실의 기능이 감소되며, 좌심방의 확장으로 인해 심방세동 등의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다. 승모판막을 손상시키는 모든 질환이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가장 주된 원인은 노화로 인한 퇴행과 감염성 심내막염이다. 증상은 주로 증가된 혈류량에 대한 좌심실의 기능부전이 발생될 때 야기되며, 심박출량 감소의 결과로 대부분의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환자들은 피로감, ...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