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6개
-
수변전실 발전기실 공사 주요 지적사례2025.04.281. 우수침입 방지 전기실 장비 반입구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물막이턱 등 대책 검토 2. 특고압 인입덕트 전기실 특고인입덕트에 "특고압 22,900V 위험" 표지판 부착 3. 안내사항 부착 1) 전기실 출입문 주변에 현황판(단상 결선도 및 운전요령서 및 유관기관 연락처 포함) 거치 2) 전기실, 발전기실 등 각실 명판 및 "관계자 외 출입금지" 명판 부착, 케이블 부하 명찰 부착 4. DS봉 전기실 변압기반 파워퓨즈 조작용 DS봉은 출입구 벽체 등 인지하기 쉬운 위치에 거치대를 설치하여 별도 비치 5. 발전기실 급기 · 배...2025.04.28
-
고압 및 특고압 전로의 절연내력시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25.05.121. 고압 및 특고압 전로의 절연내력시험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고압 및 특고압 전로의 절연내력시험은 전기설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중요한 시험이다. 이 시험은 전압이 높은 곳일수록 더 많은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절연내력시험은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2조에 따라 실시되며,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전선로에 사용하는 전선로의 도체 상호 간 및 금속제 외함 사이의 절연 저항치가 10MΩ 이상이어야 한다. 이때 절연저항치는 건조한 장소, 고온부, 습윤부, 충격전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2...2025.05.12
-
전기설비의 기능별 분류와 특징 설명2025.01.191. 전력부하설비 전력부하설비에는 조명설비, 동력설비, 전열설비가 있다. 조명설비는 건축물 내부의 밝기를 조절하고 공간을 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동력설비는 건물에 설치된 전동기를 구동하는 설비이며, 일반동력과 비상동력으로 구분된다. 전열설비는 전류의 발열 작용을 이용해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대표적으로 콘센트가 있다. 2. 전원설비 전원설비는 전기 에너지의 공급원 설비로, 수변전설비, 예비전원설비, 축전지설비로 구성된다. 수변전설비는 전력회사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의 전압을 조절하는 설비이며, 예비전원설비와 축전지설비는 정전 시 비상전...2025.01.19
-
폐쇄분전반 분류2025.05.091. 폐쇄배전반 정의 접지된 철판으로 된 외함 속에 배전반 기능에 필요한 모든 기기(차단기, CT, VT, 보호계전기, 측정용 계기 등)가 전부 취부되어 있고 이들 기기가 배선으로 결선되어 있어 외부 접속만 제외하고 완성되어 있는 상태의 금속 폐쇄물로 조립한 배전반 및 제어반 2. 사용전압에 따른 분류 폐쇄배전반은 사용전압에 따라 분류된다. 3. 보호등급에 따른 분류 폐쇄배전반은 보호등급에 따라 분류된다. 4. 차단기 부착방법에 따른 분류 폐쇄배전반은 차단기 부착방법에 따라 분류된다. 5. 차단기 쌓는 단수에 따른 분류 폐쇄배전반은...2025.05.09
-
고압 및 특고압 전로의 절연내력시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25.01.231. 절연내력시험 절연내력시험은 전기설비의 절연 성능을 검증하는 필수적인 과정으로, 전기설비가 실제 운용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압 스트레스를 견디는지를 평가하는 절차입니다. 이 시험은 단순한 전압 내성 평가에 그치지 않으며, 전기설비의 전반적인 안전성과 장기적인 신뢰성 확보를 위한 종합적인 진단 도구로 작용합니다. 2. 고압 전로의 절연내력시험 고압 전로의 절연내력시험은 초기 설치 시 뿐만 아니라 정기적인 유지보수 시에도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그 목적은 설비의 절연 성능을 점검하고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데 있습니다. 시...2025.01.23
-
태양광 설비의 화재사고와 예방대책2025.05.111. 태양광 설비 화재사고 원인 태양광발전 관련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는 전선 절연, 인버터 과열, 접속함 결함 등 설치단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관련 설비·부품에 기인한 사고가 78%(194건)로 대다수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ESS 화재는 '18년 9월 단기간에 3건이 발생해 당국을 긴장하게 하고 있으며, 화재 원인으로 폭염, 배터리 자체 결함, 특정 부품 결함 혹은 조립 과정에서 문제, 외부 충격 등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 태양광 설비 화재사고 예방대책 태양광설비와 연관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2025.05.11
-
분전반의 정의, 형식, 거터 스페이스, 브레이크식 분전반의 특징2025.05.141. 분전반의 정의와 용도 분전반은 전등이나 전열, 동력부하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각종 부하에 맞게 전력을 배분해 주는 장치입니다. 분전반은 전기를 안전하게, 그리고 그것의 용법대로 사용하기 위한 설비입니다. 분전반은 건물 안에서 사용하는 전기 장치에 전기가 효율적으로 배분되도록 해 주는 기계 장치입니다. 2. 분전반의 형식과 구조 분전반은 수지와 금속 캐비닛에 필요한 장비가 수납되어 있는 네모 형태가 일반적이며, 대개 벽면에 고정되어 있거나 벽면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습니다. 분전반의 내부에는 외부 전선에서 오는 인입선이나 배...2025.05.14
-
전통시장 화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명 피해 방지를 위한 대책2025.01.181. 전통시장의 화재 취약성 전통시장은 구조적 취약성, 노후한 건물과 시설, 불법 전기 설치와 관리 부실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화재에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좁은 골목과 밀집된 점포, 비정형적 건축 양식, 노후화된 건물과 시설, 불법 전기 배선 및 관리 부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화재 발생 시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2. 전통시장 화재의 문제점 전통시장 화재는 단순한 재산 피해를 넘어 상인들의 생계 위협, 시장 복구 비용 증가 등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또한 지역 사회에 큰 충격을 주며,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 능력에 ...2025.01.18
-
고압 및 특고압 전로의 절연내력시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25.01.081. 전기설비의 절연내력 시험 전기설비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 전도체와 절연체로 구성되며, 절연의 목적은 감전, 혼촉 등을 방지하고 전기적 충격이나 고장으로부터 설비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절연성능은 시간 경과에 따라 저하되므로 사용 전 시험 또는 정전 시험으로 절연내력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운전 중인 특고압 전로의 절연내력 시험방법은 KEC와 판단기준에 규정되어 있으며, 부분방전 측정, 절연유 분석 등의 방법으로 절연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전기설비의 절연내력 시험 전기설비의 절연내력 시험은...2025.01.08
-
전기감전사고 등 전기안전을 위한 보호의 주요개념과 보호의 종류2025.01.221. 전기감전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 개념 전기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전기 보호장비와 안전용구가 사용된다. 이러한 보호 장비들은 전기 충격, 화재, 폭발 등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여 전기 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주요 개념은 크게 절연과 접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절연은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보호 방식이며, 접지는 전기 장치의 불필요한 전류를 지면으로 흘려보내는 방법으로, 전기 충격을 방지하고 작업 환경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2. 전기안...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