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03개
-
건설사업의 이해(건설사업 신기술 동향)2025.05.161. 건축설계와 BIM 활용 건축설계에서는 기존의 2D와 CAD 시스템에서 벗어나 BIM을 활용하는 것이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BIM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평면도를 스스로 학습하고 배치할 수 있게 하며, 설계안부터 설계비까지 1분도 채 되지 않는 시간에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하우빌드 스케치, 플레시티, 텐일레븐 등이 있다. 2. 모듈러 건축 기존의 현장 중심 건설방식에서 벗어나 공장에서 미리 만든 공간 모듈을 쌓아 올려 짓는 모듈러 공법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건설 인력 부족과 인건비 상승, 주택 수요 다양화에...2025.05.16
-
RaaS, 로보틱스 4.02025.05.081. RaaS RaaS란 Robot as a Service로서 로봇 전 생애주기에 걸쳐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독형 서비스로서의 로봇이다. RaaS모델의 등장은 로봇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주고 이를 통하여 기업은 더 많은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로봇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기업은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RaaS를 주목하고 있다. 2. 로보틱스 4.0 시대 로보틱스 4.0 시대에 돌입하기 위해서는 5G, AI, IoT, 자율주행 등의 자동화가 중요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해...2025.05.08
-
기업의 클라우드 개발 필요성과 타당성2025.01.041. 클라우드 개발의 필요성 클라우드는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서버와 이러한 서버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합니다. 클라우드 개발의 주요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언제 어디서나 데이터 접근이 가능하여 4차 산업혁명 및 유비쿼터스 시대에 적합한 서비스, 2) 자체 인프라 구축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데이터 저장 및 활용이 가능하여 핵심 업무에 더 투자할 수 있음, 3) 보안 관리 및 유지보수의 부담 감소, 4) 지리적 제약 없이 협업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함. 2. 클라우드 개발의 타당성 ...2025.01.04
-
기업들이 클라우드를 개발해야 하는 이유와 타당성2025.04.271.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등의 IT 자원을 필요한 만큼 대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자체 서버를 관리할 필요 없이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네트워크 장애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기업이 직접 대처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2. On-premise 방식 On-premise 방식은 기업이 자체적으로 서버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보안성이...2025.04.27
-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중 제품(product) 평가와 프로세스(process) 평가의 차이점2025.01.121.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는 제품(product) 평가와 프로세스(process) 평가로 구분할 수 있다. 제품 평가는 완성된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평가하는 것으로, 기능성, 신뢰성, 효율성, 사용성 등의 특성을 평가한다. 프로세스 평가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유지보수 과정 자체의 품질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프로세스 평가에서는 개발 프로세스의 효율성, 일관성, 생산성, 팀 협업 등을 평가하고 프로세스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2.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모델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모델로는 IS...2025.01.12
-
모듈러, OSC 기반 건설생산시스템2025.01.031. 모듈러 OSC 기술의 도입 원인 모듈러, OSC 기술이 활발하게 도입된 4가지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숙련된 기능공 부족 현상과 노동 생산성 저하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둘째, 고객들의 품질에 대한 수준과 기대가 높아져 성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셋째, 도심인구 급증으로 인한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빠른 공급이 필요했습니다. 넷째, 스마트 건설 기술의 고도화로 BIM, 3D 프린터, IoT, 센싱, AR/VR 등의 발전이 모듈러, OSC 기술 확산에 기여했습니다. 2. 모듈러, O...2025.01.03
-
스마트 관광을 통한 모텔 운영 개선 방안2025.01.031. 정보격차 해소 모텔 고객에게 주변 관광 명소, 식당, 액티비티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고객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체크인/체크아웃 솔루션을 제공하여 고객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2. 개발 및 유지 비용 절감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을 활용하여 예약, 고객 관리, 청소 일정 관리 등의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 룸 기능을 활용하여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수집 및 보안 강화 고객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강화하고, 데이터 수집 및 저장 방법에 대한 명확한 커뮤니케이...2025.01.03
-
지중 전선로의 장단점과 시공방식 특징2025.01.151. 지중 송전 선로 케이블 지중 송전 선로에 사용되는 전력 케이블은 도체로부터 외부로 전류가 절대 유출되지 않도록 여러 층의 절연을 통해 도체와 외부를 차단하여 안전성을 높인 것이다. 대표적인 케이블로는 동심 중성선 케이블(CNCV Cable)과 MI 케이블이 있다. 2. 지중 송전 선로의 종류와 장단점 지중 송전 선로는 케이블 매설 방식에 따라 방사상 방식, 수지상 방식, 유닛 방식, 루프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각 방식은 변전소 설비, 사고 시 정전 범위, 건설비 등의 측면에서 장단점이 있다. 3. 지중 송전 선로 시공방식별 ...2025.01.15
-
BIM의 정의와 BIM을 도입하였을 때 장점(설계, 시공단계) 구분 설명2025.05.111. BIM의 정의 BIM은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약자로, 보다 효율적으로 계획, 설계, 시공 및 관리할 수 있는 통찰력과 도구를 제공하는 지능형 3D 모델 기반 프로세스입니다. 기존의 CAD 등을 이용한 평면도면 설계에 3D 가상공간을 이용하여 전 건설분야의 시설물 생애주기의 설계, 시공 및 운영에 필요한 정보와 모델을 작성하는 3차원 설계와 빅데이터의 융복합 기술입니다. BIM의 목적은 디자인 정보를 명확히 하여 설계를 빠른 시간 내에 이해, 평가해 신속한 의사결정을 유도하는 것입니다. 2. B...2025.05.11
-
BIM의 정의와 BIM을 도입했을 때 장점2025.01.191. BIM의 정의 BIM은 디지털 방식으로 건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확한 가상 모델을 생성하는 디지털 표현 기술입니다. 이는 건설 프로젝트의 설계, 시공 및 운영 단계의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포괄적인 프로세스입니다. 이를 통해 3D 디지털 공간에서 건축 시설물의 생애주기 동안의 필요한 정보를 모두 작성하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BIM 도입 시 설계 단계의 장점 실제 시공 전, 정보와 수치를 입력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렌더링 결과값을 토대로 의도한대로 건축물이 디자인되고 기능하는지, 실제 건축물의 수명이 기댓값...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