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72개
-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2025.01.26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에게 있어서 인간다운 인간은 이성이라는 영혼의 부분이 기개와 욕망이라는 영혼의 부분을 잘 조절하는 존재이다. 욕망을 잘 조절할 때에 갈등이 사라지며 영혼이 조화를 이룬다는 것이다. 플라톤은 인간을 자신이 본 것을 탐구할 수 있는 존재라고 여겼으며, 인간에게는 대상을 객관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태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플라톤은 인간의 진정한 주체는 영혼이며, 영혼의 핵심적인 부분은 이성이라고 주장하였다. 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의 인간관은 이데아론에 기반하고 있다. 플라...2025.01.26
-
책을 통한 영혼의 수혈과 자아 발견2025.01.281. 책을 통한 영혼의 수혈 첫 번째 인용문은 책을 통해 영혼의 영양을 공급받으며 나이가 들어도 마음의 젊음을 유지할 수 있다는 중요한 깨달음을 선사한다. 젊음이란 단순히 육체적 상태가 아닌, 마음의 상태임을 알게 해주는 구절이다. 우리는 책을 통해 끝없이 성장하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는 힘을 얻게 된다. 이는 단순히 독서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책은 마치 영혼에 수혈을 하듯 삶의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한다. 2. 한국적 미에 대한 깊은 이해 예술적 아름다움에 대한 최순우의 고귀한 겸손함은 한국적 미에 대한 깊...2025.01.28
-
철학의 이해(기말) - 플라톤 '파이돈' 감상문2025.01.241. 철학자의 죽음에 대한 관점 플라톤은 철학자가 죽음을 기다리지만, 자살은 옳지 않다고 보았다. 그는 인간의 생명이 신에게 귀속되므로 자살은 수치스러운 행위라고 규정했다. 하지만 예외적인 경우, 예를 들어 판결에 의한 자살이나 절망적인 상황에서의 자살은 용서받을 수 있다고 보았다. 2. 영혼의 불멸성 플라톤은 영혼이 불멸하고 영원하다고 믿었다. 그는 영혼이 육체와 분리되어 온전히 존재한다고 보았으며, 상기설을 통해 영혼의 불멸성을 증명하고자 했다. 또한 영혼이 변화하지 않는 것에 가깝다는 점에서 육체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했다. ...2025.01.24
-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2025.01.26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은 인간을 자신이 본 것을 탐구할 수 있는 자로 규정하였으며, 이는 대상을 객관화하면서 여러 사태들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감각은 많은 경우 우리를 속이지만, 인간 본연의 임무는 지식을 추구하는 것이다. 플라톤에게 있어 인간다운 인간이란 감각에 속지 않는 인간이며, 이성이 기개와 욕망을 잘 조절했을 때 갈등은 사라지고 영혼이 조화를 이루게 된다. 즉 인간은 육체의 혼란을 극복함과 동시에 이성과 질서로 나아가야 하며, 인간다운 인간이란 영혼이 이성의 통제에 의해 잘...2025.01.26
-
철학의 이해(기말)_플라톤 파이돈 전헌상 옮김. 아카넷. 2020_감상문 (5)2025.01.241. 소크라테스의 죽음 파이돈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였고, 소크라테스가 죽고 난 후 고향인 엘리스로 귀향하게 된다.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에 소크라테스가 알고 지냈던 에케크라테스를 만나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해준다. 소크라테스의 제자들이 찾아오자 간수는 소크라테스의 손발을 묶었던 쇠사슬을 풀어주었고, 이에 소크라테스는 고통과 쾌감을 동시에 느꼈다. 소크라테스는 이 상황에서 아이소포스의 우화에 운율을 섞어 시를 만들었고, 아폴론 신에게 감사의 의미를 전했다. 2. 영혼의 불멸성 소크라테스는 제자들과 영혼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며...2025.01.24
-
철학의 이해(기말)_플라톤 파이돈 전헌상 옮김. 아카넷. 2020_감상문 (1)2025.01.241. 플라톤의 저서 '파이돈' 이 책은 플라톤이 소크라테스가 했던 대화들을 엮어 낸 저서로써 소크라테스가 사형을 받는 날이 배경으로 되어있다. 소크라테스는 사형을 받는 그 날 저녁까지 두 사람과 대화를 나누었는데 그 때의 대화를 파이돈이 에케크라테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으로 전개된다. 이 책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철학 사상이 잘 드러나는데, 그는 죽음에 다가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하고 영혼을 가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영혼은 불사하며 육체와 분리되어 존재한다고 설명한다. 2.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대한 태도 소크라테스는 ...2025.01.24
-
철학의 이해2025.01.251. 플라톤 '파이돈'의 요약문과 감상문 '파이돈'은 소크라테스와 시미아스 케베스, 파이돈 등과 함께 소크라테스가 죽던 날 그 하루 동안 죽음과 죽음 이후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는 장면을 이야기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철학자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죽음에 대해 기뻐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는 영혼의 불멸성을 증명하려 노력하지만 시미아스와 케베스의 반론에 직면합니다. 결국 소크라테스는 영혼의 불멸성을 주장하며 자신의 죽음을 맞이합니다. '파이돈'은 소크라테스의 죽음과 영혼에 대한 논의를 다루며, 플라톤...2025.01.25
-
플라톤의 인간관: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2025.01.26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은 인간을 '자기가 본 것을 탐구할 수 있는 자'로 설명하며, 이는 대상을 객관화하고 여러 사태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플라톤은 사물의 참된 본성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현상세계를 전부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플라톤은 인간의 진정한 주체는 영혼이며, 영혼의 핵심적인 부분은 이성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현실의 인간들이 육체만 돌보고 영혼을 돌보지 않는 데 대한 반작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의 인간관은 이데아론에 기반하고...2025.01.26
-
철학의 이해(기말) - 플라톤 '파이돈' 감상문2025.01.241. 플라톤의 '파이돈' 파이돈은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대화를 다룬 작품으로, 소크라테스가 죽음을 앞두고 영혼의 불멸성에 대해 논증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소크라테스는 육체와 영혼의 분리, 영혼의 선재성과 불멸성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며,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철학자의 자세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인간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영혼에 대한 관점을 엿볼 수 있다. 1. 플라톤의 '파이돈' 플라톤의 '파이돈'은 소크라테스의 죽음과 그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다루는 대화편이다. 이 작품에서 플라톤은 영혼의 불멸성과 이데아 세계에...2025.01.24
-
플로티노스 좋음의 빛 요약문2025.05.091. 플로티노스의 철학 플로티노스는 플라톤의 중요한 정신적 계승자로, 플라톤이 생각해내지 못한 새로운 전통을 정초한 인물이다. 그의 저작 <엔네아데스>는 서양 형이상학과 미학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플로티노스는 감각적 아름다움의 원인을 형상으로 보았으며, 영혼의 아름다움은 정신에 도달한 순수한 영혼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예술작품의 아름다움과 자연물의 아름다움이 동일한 근원을 갖는다고 보았다. 2. 플로티노스의 존재론 플로티노스는 하나를 존재와 사유의 절대적 원리로 보았다. 하나는 복합적 사물을 구성하지만 그 자체는 존...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