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인문학의 이해2025.04.291. 인문학의 출발점과 목표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자기 안에 있는 본능적인 것과 현실 사이의 거리를 경험하며 성장을 함으로써 자의식과 자아가 형성되어 이성적인 사고와 현실 사이의 거리를 또한 경험하게 됩니다. 본능적인 것과 이성적인 사고는 항상 일치되지 않으며 이때 인간은 불만족 즉 불행을 느끼게 됩니다. 인문학의 출발점과 목표는 삶 속에서 경험되는 사고와 현실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는 것입니다. 2. 인문학의 시작 인문학 자체가 인간 삶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시작된 것으로 인문학의 기원과 역사적인 발전과정을 거슬러 올라가 본다면...2025.04.29
-
행복에 이르는 지혜_기말_스토아학파+에피크로스+스피노자+아도르노의 행복론2025.04.261. 스토아학파의 행복론 스토아 철학자들은 자기보존을 본성으로 관찰하였고, 이를 오이케이오시스(oikeiosis)라고 하였다. 자기화의 과정을 통해 낯선 타인마저 자기 자신처럼 아끼고 보존하게 되는 것이 스토아학파의 목표였다. 현자는 신의 섭리에 동화된 사람으로, 이성이 최고조로 발현된 상태인 덕을 추구한다. 정념에서 해방된 상태인 아파테이아를 누리는 것이 행복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에게 달려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분별하고, 잘못된 판단을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다. 2. 에피쿠로스의 행복론 에피쿠로스는 유물론자이자 원자론자로,...2025.04.26
-
고대 그리스 철학을 중심으로 보는 현대 사회에서의 좋은 삶의 구체화2025.01.241. 플라톤의 좋은 삶 플라톤은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두 가지 요소인 '부'와 '성적 욕망'을 잘 다스릴 수 있다면 좋은 삶을 살 수 있다고 전제한다. 그는 인간 영혼의 세 부분인 욕망, 기개, 이성 중에서 가장 강력한 부분이 '욕망'이며 가장 약한 부분이 '이성'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성이 욕망을 지배하고 통제하기 위해서는 많은 훈련이 필요하며, 이성이 욕망을 지배한 상태가 바로 '절제'이다. 플라톤은 절제를 행복의 필수 조건이라고 주장한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좋은 삶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삶을 세 종류...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