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실험설계] PL Spectrum을 이용한 PLQY 분석 용어 정리, 원리, 이론 총정리2025.01.241. 형광 (Fluorescence)과 인광(Phosphorescence) 유기물질이 빛을 흡수하면 이를 구성하는 물질의 전자는 들뜬 상태가 된다. 전자는 에너지를 받으면 들뜬 상태가 되었다가 에너지를 방출하면 바닥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는데, 이때 전자가 방출한 에너지는 빛으로 방출된다. 형광은 유기물질이 빛을 받은 후 같은 전자스핀 상태에서 S1 상태로 빠르게 전이를 하며 그 후 다시 원래의 기저상태로 돌아가면서 발광을 하는 것이다. 한편 유기물질에서 빛을 받은 후 전자의 궤도가 바뀌게 되므로 스핀이 바뀌어지는 것이 더 안정한 상...2025.01.24
-
건설시공학 7-8장2025.01.241. 숏크리트(Shotcrete) 숏크리트의 특징으로는 광범위한 토질에 적용할 수 있고, 거푸집이 필요 없어 급속 시공이 가능하며, 소규모 기계로 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시공 중 분진 발생이 많고 용수가 많은 곳의 시공이 곤란하다. 숏크리트의 내공 변위 측정은 천단 침하 측정기(Crown Levelmeter)를 사용하여 수준 측량으로 실시한다. 건식 및 습식 숏크리트의 특성으로는 작은 기계 시공 및 이동이 용이하고, 밀도가 낮으며, 작은 W/C 비로 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수밀성이 낮고, 숙련된 Nozzleman이 필요하며, 분...2025.01.24
-
누수발생 메카니즘에 대해 설명 & 누수하자의 원인과 방지대책을 설계적, 재료적, 시공적으로 구분하여 논함2025.01.151. 누수발생 메카니즘 누수는 세 가지 조건 즉, 물과 틈과 압력차가 합쳐졌을 때 발생하게 됩니다. 만약 세 가지 요인 중 한 가지만 없어도 누수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누수는 균열과 깊은 연관성을 가집니다. 그래프를 참고해 보자면 균열폭에 따라 누수량(균열 10mm 길이에 1초당 누수되는 양 cc)의 관계를 나타낸 표입니다. 누수량은 균열폭의 3 제곱에 비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붕층 콘크리트를 타설 시에는 가능한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처리하며 적절한 방수층을 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2. 설계적 원인과 방지대책 누수하자...2025.01.15
-
건축공학과 건축재료실험 레포트 3. 굵은골재시험2025.01.241.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은 골재의 입도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다. 골재의 입도는 체통과율, 굵은유율 등으로 표시되며, 골재의 크기는 체통과율에 따라 구분된다. 골재의 입도 분포 및 최대치수를 조사하여 콘크리트에 사용하기 적합한지 판단할 수 있다. 골재의 입도가 연속입자분포로 적절하게 분포되면 공극률이 축소되어 단위용적질량이 크고, 시멘트량이 절약되며, 강도가 커지고, 수밀성,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을 지닌 경제적인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2. 굵은골재의 단위용적중량 및 공극율 구하기 굵은골재의 단위용적...2025.01.24
-
월파대응 설계및 차수 설계2025.04.261. 관계 법령 건축법,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등 월파 및 침수 대응과 관련된 법령을 정리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건축물 침수 방지를 위한 필로티 구조 및 침수 방지시설 설치,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 및 종합방재실 설치 기준, 지하공간 침수 방지를 위한 수방기준 등이 포함되어 있다. 2. 관련 용어 월파, 자가치유 콘크리트, 조위, 침식, 파랑, 해양수치모형, 해일 등 월파 대응 및 침수 관련 주요 용어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기술 및 공법에...2025.04.26
-
인하대학교 건설재료실험 A+ 콘크리트 슬럼프 실험 보고서 (건설재료학)2025.05.021. 굳지 않은 콘크리트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콘크리트가 혼합된 직후로부터 점차 시간이 지나고, 수화반응에 의해 어느 정도의 강도를 나타내기까지의 콘크리트를 말한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워커빌리티, 유동성, 성형성, 연행공기 등 여러 성질을 가진다. 2. 물-시멘트 비 (W/C비) 물과 시멘트의 비(W/C비)가 커질수록 즉, 시멘트 대비 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압축강도는 재료가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최대 압축응력이다. 3. 굵은 골재 조건 일반적으로 최대 치수가 큰 굵은 골재를 사용하는 것...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