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8개
-
한국어교원2급 한국어문법론 보어 설정에 대한 자신의 찬반 견해2025.04.301. 보어 설정 문장이 성립하기 위한 필수적인 성분으로 서술어, 서술어의 주체인 주어, 동작 대상인 목적어 그리고 보어가 있다. 보어는 체언뿐만 아니라 명사구, 명사절을 비롯하여 체언 구실을 하는 말에 조사 '-이/가'가 붙어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동사 '되다'나 형용사 '아니다'가 서술어로 쓰일 때는 체언에 조사 '-이/가'가 붙은 보어를 반드시 요구한다. 그것은 '아니다, 되다'가 각각 두 자리 서술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을 모두 보어로 처리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 첫째, 이들을 다 보어로 처리하려면 '-(으)로, -...2025.04.30
-
관형사, 부사와 관형어, 부사어의 차이 설명2025.04.301. 관형사와 관형어 관형사는 보통 명사 앞에 놓여서 이들을 꾸며주는 말들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며, 뒤에 오는 명사가 나타내는 의미를 한정해 준다. 반면 관형어는 명사가 나타내는 성분 앞에 놓여 이를 수식해 주는 말로, 관형어가 없어도 문장은 성립하므로 필수 성분은 아니다. 관형사와 관형어의 차이는 전자가 품사의 한 종류이고 후자가 문장성분의 한 종류라는 점이다. 2. 부사와 부사어 부사는 주로 동사나 형용사, 부사, 문장 등의 앞에 위치하여 이들을 수식해 주는 말이다. 반면 부사어는 주로 서술어를 꾸미는 문장성분으로, 다른 부사...2025.04.30
-
격조사와 보조사의 차이를 설명하시오.2025.01.141. 격조사의 정의 한국어의 조사는 도와주는 말을 의미하며 체언 또는 부사, 어미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로써 기능한다. 한국어 조사는 격조사와 보조사, 접속조사로 구분되며 그 중에서도 격조사는 명사구가 문장 내에서 일정 자격을 갖도록 해 주는 조사이다. 격조사의 종류에는 주격 조사, 목적격 조사, 보격 조사, 관형격 조사, 호격 조사, 처소격 조사, 도구격 조사, 공동격 조사 등이 있다. 2. 보조사의 정의 보조사는 명사구 뒤에 붙어 특정 의미를 덧붙여 주는 조사를 의미하며 ...2025.01.14
-
관형사, 부사'와 '관형어, 부사어' 의 차이 설명2025.01.191. 관형사와 부사 관형사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앞에서 그 체언만을 꾸미는 반면, 부사는 용언(동사, 형용사) 앞 또는 문장 앞에서 뒤에 이어지는 용언 및 문장을 꾸민다. 관형사는 형태가 변하지 않지만 부사는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2. 관형어와 부사어 관형어는 체언(명사, 대명사)을 꾸며주는 문장 성분이고, 부사어는 용언(동사, 형용사)을 꾸며주거나 다른 부사어,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문장 성분이다. 관형어는 체언 앞에 위치하며 필수적이지 않은 부속 성분이지만, 부사어는 생략되면 어색한 문장이 된다. 1....2025.01.19
-
한국어문법론 과제_관형사, 부사와 관형어, 부사어의 차이2025.01.171. 품사 품사란 단어를 문법적인 성질의 공통성에 따라 나눈 것을 의미한다. 한국어에서 품사 분류의 기준은 세 가지로 상황에 따른 단어의 변화 여부를 따지는 '형태', 문장에서 단어가 갖는 역할인 '기능', 품사의 부류가 갖는 의미인 '의미'가 있다. 이 기준에 따라 총 9품사로 분류할 수 있다. 2. 관형사와 부사 관형사와 부사는 수식언을 의미에 따라 분류한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관형사와 부사는 문장 내에서 형태의 변화가 없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관형사는 체언을 꾸미고, 부사는 용언, 관형사, 부사 등을 꾸민다는 점...2025.01.17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론-관형사, 부사와 관형어, 부사어의 차이를 설명하시오2025.05.011. 관형사와 부사의 차이 관형사는 주로 명사 앞에 놓여서 이를 꾸며주는 말이며, 부사는 동사나 형용사 등의 문장을 꾸며주는 말이다. 관형사는 성상관형사, 지시관형사, 수관형사로 나뉘며, 부사는 성분 부사와 문장 부사로 나뉜다. 부사의 범위가 관형사보다 더 넓다. 2. 관형어와 부사어의 차이 관형어와 부사어는 문장 성분에 따라 나뉘었을 때 주어, 서술어 등의 주 성분 외에 주성분을 자세하게 꾸며주는 부속성분에 속한다. 관형어는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등을 꾸며주며, 부사어는 부사뿐만 아니라 부사격 조사가 붙은 말, 형용사 어...2025.05.01
-
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 영어문장구조의이해2025.01.251. 구성소 판별법 멀티미디어 강의에서 제시된 구성소 판별법(독립성, 대체, 이동, 등위구조, 생략)을 각 문장에 적용하여 밑줄 친 요소들이 구성소인지 판별하였다. (a) 문장에서 'book in'은 구성소가 아니지만, (b) 문장에서 'a person wearing a red coat'은 구성소로 판단되었다. 2. 성분통어 성분통어(c-command) 개념을 사용하여 (a) 문장 'Tom's mother cleaned herself'는 문법적이지만, (b) 문장 'He joined Dan's soccer team'은 의미적으로 문...2025.01.25
-
영어문장구조의이해 1. 멀티미디어 강의에서 제시된 모든 구성소 판별법을 각 문장에 적용하여 밑줄 친 요소들이 각 문장에서 구성소인지 판별하시오.2025.01.251. 구성소의 판별법 구성소는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으며, 대형태(proform)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구성소는 이동이 가능하며, 등위접속사 and, but, or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 가지 기준을 모두 만족할 필요는 없으며, 단 한 가지만 만족해도 구성소라고 볼 수 있다. 2. 문장 (a) 구성소 판별 문장 (a) 'Eric will write a book in English'에서 밑줄 친 요소 'book in'은 독립성, 대체성, 이동성, 등위성 중 어느 것도 만족하지 않으므로 구성소가 아니다. 반면 'a pers...2025.01.25
-
영어문장구조의 이해2025.01.251. 구성소 판별법 멀티미디어 강의에서 제시된 모든 구성소 판별법을 각 문장에 적용하여 밑줄 친 요소들이 각 문장에서 구성소인지 판별하였습니다. (a) 문장에서 'book in'은 독립적인 구성소가 아니며, (b) 문장에서 'a person wearing a red coat'는 하나의 구성소입니다. 2. 성분통어(c-command) (a) 문장은 성분통어 개념에 따라 문법적이며, (b) 문장은 성분통어와 큰 관련이 없고 대명사와 선행사 간의 관계를 고려해 볼 때 문법적이지 않습니다. 3. 교차분지제약 문장 'They will soo...2025.01.25
-
한국어 문법 분석: 이방인 첫 부분 문장 성분 분석2025.05.011. 한국어 문법 분석 이 과제에서는 알베르 카뮈의 소설 '이방인'의 첫 부분 문장을 활용하여 각 문장 성분의 품사를 분석하였다. 체언, 용언, 수식언 등 다양한 품사를 구분하고 그 특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분류가 어려운 문장 성분들도 자세히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2. 한국어 문화와 관심 최근 한국 문화콘텐츠의 열풍으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세계 공용어인 영어 외에 한국어를 배우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한국어라는 문화유산을 소중히 여기는 자세로 이...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