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전자공학실험 3장 정전압 회로와 리미터 A+ 예비보고서2025.01.131. 전압 레귤레이터 전압 레귤레이터는 입력 전압이나 부하 전류의 변화에도 출력 전압의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회로이다. PN 접합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는 다이오드의 특성을 이용하여 교류 입력 전압이 레귤레이터를 통과하였을 때 출력 전압이 거의 DC와 같이 일정하도록 한다.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는 제너 다이오드의 특성을 이용하여 교류 입력 전압이 레귤레이터를 통과하였을 때 출력 전압이 거의 DC와 같이 일정하도록 한다. 이 때 제너 다이오드가 켜졌을 때 양단 사이의 전압 강하가 PN 접합에 비해 크...2025.01.13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자회로실습 CH4. 다이오드 클리퍼 클램프 실험보고서2025.05.051. 클리퍼 회로 클리퍼 회로는 신호를 전송할 때 어떤 값 이상 또는 이하의 신호전압을 제거하는 회로이며, 리미터(limiter), 슬라이서(slicer)라고도 부른다. 정현파를 구현파로 전환하거나 입력신호의 일부 혹은 전부, 양(+) 또는 음(-)의 파형을 잘라 낸 파형을 보내는 정류작용도 한다. 2. 클램프 회로 클램프 회로는 입력파형의 모양은 변화시키지 않고 다른 직류레벨(DC level)에 고정시키는 회로이다. 회로의 시정수 τ=RC가 주기 T에 비하여 충분히 크면 리플전압이 작아져 한 주기동안 커패시터의 양단전압이 계속 유...2025.05.05
-
[일반화학실험] 반응열 측정 및 계산 결과 보고서2025.01.171. 반응열 측정 및 계산 실험을 통해 MgO와 Mg의 반응열을 계산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용액이 흡수한 열을 구하는 공식 q=Cm△t와 반응에서 방출된 열량을 구하는 공식 -q를 활용하여 MgO 1몰당 반응열 128.22 kJ/mol, Mg 1몰당 반응열 -305.68 kJ/mol을 계산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1학년 1학기에 배운 0.5 M HCl 용액 제조 실험을 복습하여 이번 실험에 사용한 1.0 M HCl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헤스의 법칙은 아직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1. 반응열 측...2025.01.17
-
서강대학교 일반물리실험1 실험11 열의 일당량 측정 결과 레포트2025.01.031. 열의 일당량 측정 이 실험에서는 전기 에너지와 전류의 열 작용으로 발생된 열량을 측정하여 열의 일당량을 측정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열량계의 물당량을 구하고, 열량계에 가해진 전압, 전류, 시간 등의 값을 이용하여 열의 일당량을 계산할 수 있었습니다. 실험 결과 열의 일당량은 3.86 J/cal로 측정되었으며, 실제 값인 4.186 J/cal과 약 7.79%의 오차가 있었습니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열량계 뚜껑의 완전한 밀폐 실패, 물의 증발 등이 고려되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실험을 반복하여 평균값을 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2025.01.03
-
일반물리학실험1 고체의 비열 측정2025.01.241. 비열 측정 실험의 목적은 비열의 정의, 비열과 열량, 온도, 질량의 관계를 이해하고, 열량계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고체의 비열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실험 이론에서는 열의 정의, 비열의 정의와 계산 방법, 열평형 상태에서의 비열 계산 방법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열량계 실험에서는 열량계를 이용하여 고체의 비열을 측정합니다. 열량계는 두 계(system) 사이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두 계의 온도차에 의해 에너지가 흐르는 장치입니다. 3. 고체의 비열 실험에서는 여러 가지 고체의 비열을 측정합니다. 비열은 온도 1K...2025.01.24
-
공기중의 음속 측정 및 열의 일당량 실험2025.01.031. 공기중의 음속 측정 이 실험에서는 공기 중의 음속을 측정하였습니다. 실험 결과를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5.19의 편차와 1.57%의 오차를 보였습니다. 오차가 발생한 원인으로는 공명 소리의 크기 판단, 공명 현상 발생 지점 표시 등의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전반적으로 안정된 결과를 얻었지만, 실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것 같습니다. 2. 열의 일당량 실험 이 실험에서는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한 열량을 측정하여 열의 일당량을 구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실험 방법은 열량계의 물당량 측정과...2025.01.03
-
기초실험2 결과보고서2025.01.291. 저항소자 및 써미스터 소자의 특성 실험을 통해 저항소자와 써미스터 소자의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저항소자는 10 kΩ의 저항값을 갖도록 제작되어 있으며, 실제 측정값도 이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써미스터 소자의 경우 10 kΩ에서 많이 벗어난 저항값이 측정되었는데, 이는 써미스터의 온도 의존성 때문이다. 온도계로 측정한 주변 온도를 참고하면 써미스터의 저항값 변화를 이해할 수 있다. 2. 저항소자와 써미스터 소자의 전압-전류 특성 저항소자와 써미스터 소자는 동일한 10 kΩ의 저항값을 갖지만, 열을 가했을 때 전압-전류 특성이 다...2025.01.29
-
정전압 회로와 리미터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021.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PN 접합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는 출력 전압이 높을 때 다이오드의 여러 단을 직렬로 연결해야 하므로, 소자의 개수가 많아지는 문제가 생깁니다. 반면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의 경우 제너다이오드가 켜졌을 때 양단 사이의 전압 강하가 상대적으로 PN접합에 비해 크기 때문에 소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2. 전압 레귤레이터의 특성 전압 레귤레이터의 라인 레귤레이션 특성을 개선하려면 저항값을 높이거나 다이오드의 개수를 줄여야 합니다. 부하 레귤레이션 특성을 개선하려면 내부 저항...2025.01.02
-
쉽게풀어쓰는 C언어 연습문제 3장2025.05.131. C 프로그래밍 기초 C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와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C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함수를 가져야 하며, main() 함수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변수 선언, 문장 끝의 세미콜론 사용 등 C 프로그래밍의 기본적인 문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2. 주석 처리 C 프로그래밍에서 주석 처리 방법과 주석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석은 컴파일 과정에서 무시되며, 주석이 많아지면 실행 파일의 크기가 커지지 않습니다. 주석은 /*로 시작하여 */로 끝나거나, //를 사용하여 현재 위치부터 줄의 끝까지 주석 ...2025.05.13
-
실험 03_정전압 회로와 리미터 예비 보고서2025.04.271. PN 접합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 PN 접합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는 부하 저항과 병렬로 PN 접합 다이오드를 연결하여 입력 전압의 변화나 출력 부하의 변화가 생기더라도 출력 전압은 작게 변화하도록 하는 회로이다. 입력 전압 V_in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V_out의 변화는 라인 레귤레이션 특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부하 전류 I_L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V_out의 변화는 부하 레귤레이션 특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PSpice 모의실험을 통해 입력 전압 변화와 부하 전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의...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