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7개
-
물리학실험 정전기전하 결과레포트2025.05.151. 정전기 유도 정전기 유도(靜電氣 誘導, electrostatic induction)는 물체에 대전체를 가까이 했을 때, 자유 전자가 이동하여 대전체와 가까운 쪽에는 대전체와 다른 전하, 먼 쪽에는 같은 전하가 유도되는 현상이다. 정전기 유도는 영국인 과학자 존 캔턴이 1753년에, 스웨덴인 교수 요한 칼 빌케가 1762년에 발견했다. 윔셔스트 발전기, 밴더그래프 발전기, 전기쟁반 같은 정전기 발전기는 이 현상을 사용한다. 정전기 유도로 인해 전위(전압)은 물체의 어디서든지 일반적으로 일정하다. 2. 도체의 유도 정전기 유도는 ...2025.05.15
-
전기력선의 성질에 대해서 3가지만 서술하시오2025.01.281. 전기력선의 성질 전기력선은 전하 주변의 전기장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전기력선의 성질에 대해서 3가지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력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항상 평행하다. 둘째, 동일한 전하 사이에서 서로 평행하게 뻗어나간다. 셋째, 전기력선은 도체 표면에 수직으로 시작하거나 끝난다. 1. 전기력선의 성질 전기력선은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으로, 전기장의 특성을 잘 보여줍니다. 전기력선은 항상 전하로부터 시작하여 반대 부호의 전하로 향하며, 전하 주변에서 밀집되어 있습니다. 전기력선의 밀도는...2025.01.28
-
전기장과 전기력 실험 예비레포트2025.05.041. 전하 분포 두 개의 도체판에 전위차를 가하면 (+)극과 연결된 도체판에는 (+)전하, (-)극과 연결된 도체판에는 (-)전하가 분포하게 된다. 이는 전자의 흐름이 전류의 반대 방향이기 때문이다. 2. 전기장 형성 전기장은 (+)극에서 (-)쪽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극과 연결된 도체판에서 (-)극과 연결된 도체판 쪽으로 전기장이 형성된다. 3. 도체판 간 인력 두 개의 도체판에 서로 다른 전하가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두 도체판에 전위차를 가하면 인력에 의해서 두 도체판은 서로 가까워진다. 4. 전하량 보존 법칙 전하는 새로 ...2025.05.04
-
전기장과 전기력 실험 예비 리포트2025.01.111. 전위와 전기장 이 실험에서는 전위와 전기장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전기력을 예측할 수 있다. 전위는 전하로 인한 전기장 내의 한 점에서의 전위 에너지를 의미하며, 전기장은 전하로 인한 전기력이 미치는 공간을 나타낸다. 전기장의 세기는 전위의 기울기로 표현된다. 2. 도체판의 전하 분포 두 개의 도체판에 전위차를 가하면 전하가 균일하게 분포하게 된다. 두 도체판 사이에는 균일한 전기장이 형성되며, 두 도체판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3. 전기장과 전기력 도체판 근처의 전위 분포를 파악하...2025.01.11
-
[아주대] 물리학실험- Faraday의 얼음통 실험2025.05.011. 마찰전기 실험을 통해 마찰에 의하여 유도된 정전기의 양과 극성을 Faraday의 얼음통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마찰전기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마찰시킨 마찰판을 얼음통에 넣으면 전위가 발생하고, 꺼내면 내부 전하의 분포가 바뀌어 0V로 측정된다. 정전기 유도 현상에 의해 얼음통 내부 금속통에서는 마찰판과 반대인 전하가 유도된다. 2. 정전기 유도 도체들의 전위와 배치에 따라 도체 표면에 분포하는 표면 전하의 밀도를 Faraday의 얼음통으로 측정하여 정전기 유도 현상을 이해해보았다. 마찰판과 금속통의 접촉이 없어 전하가 이동...2025.05.01
-
패러데이의 얼음통 실험2025.01.231. 마찰전기 실험을 통해 마찰에 의해 대전된 대전체를 이용해 접촉 없이 유도하였을 때와 접촉하였을 때의 얼음통의 내부의 전압을 측정하여 비교해보았다. 유도와 접촉에 따른 전하 이동의 특징을 알아볼 수 있었다. 대전체와의 가까운 거리 내에서 순간적인 전하 분포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2. 정전기 유도 마찰판을 얼음통에 접촉시켰을 때 전하가 직접 얼음통으로 이동하고 이를 통해 마찰판을 얼음통에서 꺼냈을 때의 전압이 마찰판을 넣었을 때의 전압과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찰판에서 정전기가 완전히 방출되지 않아 남은 ...2025.01.23
-
일반물리실험2 < 전기장과 전위 > A+ 레포트2025.05.011. 쿨롱의 법칙과 전기력 쿨롱의 법칙은 두 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의 크기를 계산하는 식으로, 전기력의 크기는 전하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두 전하의 전하량 부호가 다르면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를 향한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두 전하의 전하량 부호가 다르면 반발력이 작용하여 서로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2. 전기장 전기장은 벡터장이며, 양(+)의 시험 전하 q0를 전기장 안에 놓았을 때 작용하는 전기력이 F = q0E로 구할 수 있다. 전기장의 방향은 양(+)의 시험전자가 받는 힘의 방향과 동...2025.05.01
-
전하측정 예비보고서2025.01.121. 대전 물체가 전자의 이동으로 전기를 띠게 되는 현상. 서로 다른 두 물체의 마찰 결과로 나타난 전기를 마찰 전기라 하며, 마찰 도중 어느 한쪽으로 전자가 이동해 전기적 중성 상태가 깨져 전기를 띠게 된다. 2. 전하 물체가 띠고 있는 정전기의 양으로 모든 전기현상의 근원이 되는 실체이다. 양전하와 음전하가 있고, 전하가 이동하는 것이 전류이다. 3. 접지 대전된 도체를 용량이 아주 큰 다른 도체(지구)에 연결하는 것. 4. 대전열 물체가 서로 접촉되거나 마찰될 때 양(+)으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을 앞에 두고, 음(-)으로 대전...2025.01.12
-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2 A+ 실험3 등전위선2025.01.221. 등전위선 이번 실험은 여러 형태의 전극 사이에서 형성되는 등전위선을 구해보고 여러점에서의 전기장을 측정해 전위와 전기장의 관계를 관찰하는 실험이었다. 등전위선을 측정하는 실험에서는 탄소 종이를 이용해 전압을 측정하고 나서 용지에 적으며 같은 전위에 있는 점들을 찾아내 그 점들을 이어 등전위선을 알아보았다. 전기장을 측정하는 실험에서는 탄소 종이에 그려지는 등전위선 위의 각점들을 탐침을 이용해 V/cm 단위로 측정해서 전기장의 크기를 알아보았다. 실험을 통해 전기장의 방향이 곧 전기력선의 방향이며, 전기장의 세기는 등전위선이 조...2025.01.22
-
등전위선 측정 및 전기장 분석2025.04.261. 등전위선 실험을 통해 원형 도체 내부와 외부의 등전위선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도체 내부와 표면의 모든 점이 등전위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등전위선의 간격과 전기장의 크기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 전기장 등전위선 위에서 전기장의 크기와 방향을 측정하였다. 전기장의 방향은 등전위선에 수직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전기장의 크기와 등전위선의 간격 사이의 관계는 완전히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실험 오차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1. 등전위선 등전위선은 전기장 내에서 전위가 일정한 선을 의미합니다. 이 선은 전하가 움직일 때 받는 전...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