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응급실 케이스스터디 A+ 대동맥박리 (간호진단 과정 3개)2025.01.111. 대동맥 박리 대동맥 박리는 대동맥 벽의 내막이 찢어져 혈액이 중막으로 들어가 내막과 외막이 분리되는 것이다. 대동맥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동맥으로, 외막-중막-내막으로 구분된다. 대동맥 내막에 미세한 파열이 발생하면 높은 대동맥 압력으로 인해 대동맥의 중막이 장축으로(길이 방향으로) 찢어지면서 혈액이 찢어진 부분으로 들어가 대동맥이 진성 내강(true lumen, 원래 피가 흐르던 공간)과 가성 내강(false lumen, 박리로 인해 분리되어 새로이 생긴 공간)으로 분리된다. 2. 대동맥 박리의 원인 대동맥 박리의 가장 흔...2025.01.11
-
정상 신생아의 신체적, 생리적 특징2025.01.021.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으로는 머리둘레 33~35cm, 가슴둘레 30.5~33cm, 머리-발꿈치 길이 48~53cm, 출생체중 2,700~4,000g 등이 있습니다. 이상 증상으로는 머리둘레나 출생체중이 10백분위수 미만 또는 90백분위수 초과인 경우가 있습니다. 피부는 출생 시 밝은 붉은색이며 통통하고 매끄러운 편입니다. 태아기름막, 솜털, 패립종, 속립진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말단청색증, 할리퀸 색조변화, 몽고반점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머리의 경우 대천문과 소천문의 크기와 닫힘 시기, 머리조...2025.01.02
-
선천성심장질환 아동의 수술간호2025.04.281. 선천성심장질환이란? 선천성 심장질환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심장의 기형 및 기능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질환입니다. 태아 때 진단되기도 하고 출생 수년 뒤 진단되기도 하며, 유아기와 아동기에 수유 곤란, 호흡 곤란, 발육부전, 청색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선천성심장질환 아동의 수술 종류와 간호중재 선천성심장질환 아동에게 시행되는 다양한 수술 종류와 각 수술에 대한 간호중재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심방중격결손, 심실중격결손, 동맥관개존증, 방실중격결손, 대동맥축착, 대동맥판협착, 폐동맥판협착, 팔로네증후, 삼첨판막...2025.04.28
-
성인간호학 흉부외과 사전학습 보고서2025.01.161. 심음 청진 부위 대동맥 판막 : 오른쪽 두 번째 늑간, 폐동맥 판막 : 왼쪽 두 번째 늑간, Erb's point(흉쇄유 돌근의 바깥쪽에서 쇄골 상 2~3cm의 점) : 대동맥 판막 + 폐동맥 판막, 승모판 : 왼쪽 5번재 늑간, 삼첨판 : 중앙선 근처, 4-5번째 늑간 2. 부정맥의 종류와 특징 동방결절 부정맥, 심방 부정맥, 방실접합부 부정맥, 심실 부정맥, 심정지 등 다양한 부정맥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3. 선천성 심장질환 종류 및 치료 심실 중격 결손, 동맥관 개존증, 온전한 심실 중격을 가진 폐동맥 폐쇄...2025.01.16
-
아동간호학 시험 요약2025.01.181. 호흡기 장애 폐렴의 증상으로는 고열, 흉통, 흰색 가래의 마른기침, 호흡 잡음, 타진 시 둔탁음이 있다. 치료 및 간호로는 환기 최대화, 탈수 예방, 산소요법, 흉부 물리치료, 정맥 주입, 해열제 복용, 휴식, 폐렴이 침범된 쪽으로 눕기 등이 있다. 부비동염의 증상은 두통, 안면통, 압통이며 치료 및 간호로는 항생제, 진통제, 식염수 점적, 스프레이, 수분 섭취 증가, 가습 높게 등이 있다. 이물질 흡인의 증상은 기관지 폐색, 심한 기침, 구역, 천명음, 구토, 무호흡, 청색증이며 치료 및 간호로는 이물질 제거, 하임리히 요법...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