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6개
-
상부 발광형 OLED(Top-emitting OLED) 특성 분석2025.05.121. 상부 발광형 OLED 소자 구조 상부 발광형 OLED 소자는 투명 금속 물질인 ITO를 애노드로 사용하고, 반사막인 MgAg 합금을 캐소드로 사용한다. 유기물층 구조는 HIL, HTL, EML, ETL 등으로 구성되며, 이때 유기물층의 두께 조절을 통해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를 고려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 상부 발광형 OLED 소자에서 EML층에서 발생한 빛은 다양한 계면에서 투과와 반사가 일어나게 되며, 이때 복잡한 간섭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를 고려하여 유기물층의 두...2025.05.12
-
생물발광의 이용2025.01.291. 의료 분야의 생물발광 활용 의료 분야에서 생물발광은 방사성 원소나 자기장을 이용한 분자영상기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발광영상이나 형광영상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발광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외부 반응을 빠르게 탐지하고 암세포의 분포도와 전이 방법을 알아볼 수 있다. 2. 환경 분야의 생물발광 활용 발광 박테리아로 에너지 전환 효율이 낮은 백열 전구를 대체할 수 있고 LED의 빛 공해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친환경 램프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발광 박테리아로 토양이나 수질의 오염도를 검사할 수 있다. 3. 형광영상...2025.01.29
-
[부산대 이학전자실험] OP-AMP (3)2025.05.041. Comparator Comparator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전압을 비교할 수 있는 장치이다. Op Amp의 높은 전압 이득을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무한대로 가깝게 증폭해준다. Comparator는 입력되는 두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두 입력 값 중 가장 큰 것을 결정해준다. 실험 결과 입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크면 출력전압이 (+)로, 작으면 (-)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회로의 내부저항으로 인해 출력전압이 공급전압보다 약간 낮게 나왔다. 2. 다이오드 다이오드는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소자이다...2025.05.04
-
화실기_Exp 4. Synthesis, Electrochemistry and Luminescence of [Ru(bpy)3]2+보고서2025.01.181. [Ru(bpy)3]2+의 합성 및 특성 [Ru(bpy)3]2+는 가시광 영역의 빛을 흡수해 들뜬 상태로 될 수 있고, 들뜬 상태의 수명이 상당히 길어 감광제(photosensitizer)로 사용된다. 본 실험에서는 약한 환원제인 ascorbic acid를 이용해 [Ru(bpy)3]2+를 합성했다. 합성한 [Ru(bpy)3]2+의 UV-VIS 흡광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 최대 흡광 파장이 455nm로 문헌값과 거의 일치했다. 2. [Ru(bpy)3]2+의 형광 소광(quenching) 메커니즘 [Ru(bpy)3]2+의 형광은 소...2025.01.18
-
1-3 AMOLED Full Device - Small Molecule report (A+)2025.05.121. AMOLED 소자 및 공정 실험 AMOLED 소자 제작 및 특성 평가를 위한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저분자 기반 OLED 소자를 제작하고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했습니다. 실험에 사용된 주요 재료로는 PEDOT:PSS, NPBTCTA, CBP, Ir(ppy)3, TPBI 등이 있습니다. 실험 방법으로는 ITO 전극 패터닝, 기판 세척, 유기물 증착, 금속 증착 등의 공정을 거쳤습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전류-전압, 휘도-전압, 효율 특성 등을 확인했으며, 저분자 OLED와 고분자 OLED의 성능을 비교 분석했습니다. 2. 유...2025.05.12
-
전자공학 ) 1. 광도전 효과, 황화 카드뮴, 광기전 효과, 루미네선스에 대한 설명2025.01.281. 광도전 효과(Photo-Conductivity Effect) 광도전 효과(Photo-Conductivity Effect)는 특정 물질, 특히 반도체에서 빛을 흡수했을 때 전기 전도도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빛을 받으면 물질 내부의 전자들이 에너지를 흡수하여 원래 속박된 상태에서 자유 전자로 전이하게 된다. 이 자유 전자들이 전기장을 통해 이동함으로써 전기 전도성이 증가한다. 이는 빛의 강도에 따라 물질의 전기적 성질이 변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광센서나 광전 소자에서 사용된다. 2. 황화 카드뮴(CdS) 황화 카드뮴(CdS)은...2025.01.28
-
페로브스카이트 LED 제작과 성능 측정 post-report2025.05.161. ITO 기판 ITO는 인듐/주석 산화물로 이루어진 투명한 전극이며 전기를 잘 흘려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ITO와 silver가 겹쳐지면 빛이 나게 된다. 2. PEDOT:PSS PEDOT:PSS는 전도성 고분자로, ITO와 비슷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면서 가시광 영역에서 투과도가 우수하고 용액공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ITO에서는 hole이 움직이고 silver에서는 전자가 움직여 hole과 전자가 페로브스카이트 층에서 만나 빛을 내게 한다. 3. 페로브스카이트 LED 제작 과정 ITO 유리기판을 세척하고 UV-Ozon 처...2025.05.16
-
광섬유의 의류 활용사례를 통한 신소재로써 광섬유의 전망2025.05.081. 광섬유의 역사 광섬유는 빛의 전달 시 여러 번 반사해도 내부반사로 에너지 손실이 없으므로 먼 곳까지 빛을 보낼 수 있다. 19세기 J.틴들이 자유낙하하는 물줄기 속에서 빛이 빠져나가지 않고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는데, 이것이 광섬유에 대한 원리가 공식적으로 발표된 최초이다. 그후 20세기 초반(1930년대)에 이르러 유리로 된 광섬유가 나타났지만, 그 당시의 광섬유는 손실이 무려 1,000dB/km에 달하였으므로, 장거리용으로 사용하기는 불가능했다. 다만 짧은 길이의 광섬유 다발로 만들어, 그것의 한쪽 끝에 맺힌 영상을 ...2025.05.08
-
Reading Explorer4 Unit 2~62025.01.221. 생체발광 일부 종의 빛을 창조하는 능력인 생체발광은 마법적이면서도 아주 흔한 현상이다. 육지에서는 반딧불이가 가장 익숙한 사례이지만, 노래기, 개똥벌레, 균류 등 다양한 생물체가 빛을 낸다. 바다에서는 더 많은 생물체가 빛을 내는데, 오스트라코드와 같은 일부는 짝을 유혹하기 위해 빛을 깜박인다. 또한 발광 박테리아와 발광 물고기, 오징어, 해파리 등이 있다. 2. 빛을 이용한 생존 바다 상층부에서 생물체는 포식자들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주변 환경과 잘 어우러져야 한다. 일부 생물체는 낮 동안 빛이 있는 구역을 피하고, 해파리와 ...2025.01.22
-
[A+ 보장] LED의 특성 분석2025.05.111. LED의 전류-전압 특성 LED의 전류-전압 특성 그래프를 통해 소자별 문턱전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파장이 짧을수록 문턱전압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전류-전압의 log scale 그래프에서는 쇼클리 방정식을 통해 1차 함수로 근사되지만, 실제 실험 그래프에서는 1차 함수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2. LED의 광출력-전류 특성 인가 전류 대비 출력 전류의 그래프에서는 일반적으로 선형영역에서 인가 전류대비 출력 전류를 확인할 수 있었고, 555nm에서는 선형영역을 넘어 포화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이 일부 확...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