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1개
-
단백질 정제2025.01.231. 재조합 단백질 발현 재조합 단백질 기법은 정제하려고 하는 단백질의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벡터에 삽입한 후, 이 플라스미드 벡터를 다시 세포에 도입하면 그 세포가 도입된 외부 유전자를 마치 원래 자기가 가지고 있던 유전자인 것처럼 발현을 하는 방법이다. 이번 단백질 정제실험에서 사용하는 플라스미드인 pET28a Vector는 kanamycin이라는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는 유전자인 KanR을 갖고 있어, 배양액에 kanamycin 항생제를 넣어놓고 그곳에 대장균을 넣으면 KanR을 갖고 있는 플라스미드인 pET28a Vec...2025.01.23
-
[기기분석실험 A+]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정량 분석2025.01.171. 분광분석 분광분석은 빛을 분리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며, 분자의 전자구조적 성질을 알아내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다. 화합물이 흡수 또는 방출하는 전자기 복사선(빛)의 파장과 흡수 또는 방출의 정도를 측정하여 화합물의 농도를 알아낸다. 분자가 일정한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용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화합물의 농도를 알아내는 목적으로 활용한다. 2. 분광광도계 분광광도계는 보통 광원, cell, monochromator, detector, 신호 처리기로 구성되어 있다. 광원은 빛을 발생하는 장치, cell은 시료를 담는 그...2025.01.17
-
분광광도법에 의한 화학 평형상수 측정2025.04.281. 분광광도법 분광광도법은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용액 내 화학종의 농도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이 실험에서는 약산인 메틸 레드의 해리상수를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한다. 메틸 레드의 산성 형태(HMR)와 염기 형태(MR-)의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Lambert-Beer 법칙을 이용하여 각 형태의 몰흡광도계수를 구한다. 이를 통해 메틸 레드의 해리상수 Kc를 계산할 수 있다. 2. Lambert-Beer 법칙 Lambert-Beer 법칙은 용액의 농도와 흡광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으로, A = abc = ε bc 형태로 표...2025.04.28
-
동국대학교 화학과 물리화학실험 가시광선 분광기를 이용한 약산의 해리상수 결정 레포트2025.01.231. 분광광도법 분광광도법은 시료가 흡수하는 빛의 양, 즉 흡광도로 시료의 농도, 종류, 구조 등을 결정할 수 있는 분석법이다. 자외선 가시광선은 에너지로 환산할 경우, 전자 에너지에 해당하므로 자외선 가시광선 흡수는 분자 내의 전자가 전이를 일으킨다. 이 전자전이는 분자내의 전자 구조 등의 특징에 따라 frequency, intensity가 다르게 나타난다. 2. 분광기의 원리 티몰 블루와 물질이 해리된 상태가 흡수하는 파장의 범위가 다르다는 점을 이용하여 산,염기, 완충 용액 상태서의 흡광도를 이용해 농도 및 해리상수를 구할 수...2025.01.23
-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항생제 및 헴철 정량2025.05.071. 분광광도법 분광광도법은 빛과 물질의 관계를 이용한 전자 스펙트럼에 대한 정량적 연구방법으로,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영역의 복사선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석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자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인 200nm~700nm의 파장을 사용하여 Tar 색소, 항생제 Oxytetracycline, 헴철을 분석하였다. 2. Tar 색소 Tar 색소인 Allura red, Sunset yellow, Indigo carmine은 인공적인 식용색소로 식품이나 약품에 색을 넣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들 색소의 분자구조와 흡광 스펙트럼...2025.05.07
-
[만점보고서]Plasmid DNA 추출과 DNA 정량 실험보고서2025.01.171. Plasmid DNA 추출 Plasmid DNA는 세균의 세포 내에서 염색체와 별개로 존재하는 자가복제 DNA이다. Plasmid DNA 추출을 위해 Alkaline Lysis 법을 사용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plasmid DNA를 염색체 DNA와 분리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buffer를 사용하여 pH 변화를 조절하고 불순물을 제거한다. 2. DNA 정량 Nanodrop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추출한 plasmid DNA의 농도와 순도를 측정한다. 260nm 흡광도로 DNA 농도를 측정하고, 260nm/280nm 및 260n...2025.01.17
-
세포생리학실험_광합성 효율 측정_FvFm값, Yield값, NPQ값 비교2025.01.131. 광합성 효율 측정 식물은 광합성(photosynthesis)이라는 과정을 통해 직접적, 간접적으로 유기물의 합성을 유발시킨다. 광합성은 빛 에너지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탄수화물로 환원시키는 과정이다. 빛을 흡수한 엽록소의 전자는 바닥상태에서 들뜬상태로 전이되는데, 들뜬상태의 전자는 불안정해 에너지를 방출하고 바닥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특성이 있다. 이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여분의 에너지는 열로 방출되거나, 흡수한 빛을 다시 방출하기도 하는데, 이때의 잔광을 형광이라고 한다. 따라서, 광합성 효율을 형광 세기의 변화를 통해 간...2025.01.13
-
지시약의 pka2025.01.151. 분광광도법 분광광도법은 액상의 시료가 빛을 흡수하는 정도를 파장의 함수로 나타낸 측정방법으로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 영역의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정량적 측정방법입니다. 빛이 물체에 닿으면 보통 그 빛은 물체에 의해 반사되거나, 물체에 흡수되거나, 혹은 그 물체를 통과하여 지나가게 됩니다. 어떤 물체가 액상에 존재할 때, 이 물체에 의해 흡수되는 빛의 양은 물체의 농도 및 파장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러한 액상의 물체에 대한 빛의 흡수 정도를 파장에 따라 측정하여 나타내는 방법을 분광광도법이라 합니다. 분광...2025.01.15
-
시감도를 기준으로 측정된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측광량의 종류와 주요 특징2025.01.101. 측광량의 개념과 중요성 측광량은 광학적인 장비의 사용 및 조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측광량을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업 분야에서는 적정한 측광량을 유지함으로써 작물의 생장과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학 분야에서는 적정한 측광량을 유지함으로써 광학적 장비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측광량은 환경 모니터링, 의료 분야 및 산업 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 측광량의 종류 측광량의 종류에는 룩스, 칸델라, 녹스, 스타...2025.01.10
-
흡광광도법을 이용한 미생물 증식 측정2025.01.121. 미생물의 생장 이론 미생물의 생장은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생장상태는 유도기, 가속기, 로그기, 감속기, 정상기, 그리고 사멸기로 구분된다. 배지로 도말된 세균들은 배지 속의 영양분을 흡수하고 분열을 시작하며, 영양분이 고갈되면 죽은 세균이 방출하는 영양분을 흡수하며 유지하다가 일정한 비율로 사멸하게 된다. 2. 흡광광도법의 원리 흡광은 물질의 광학적 성질 중 하나로, 물질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특정 파장의 빛을 받은 전자는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낮은 전자궤도에서 높은 전자궤도로 이동하...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