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66개
-
간호용어 근골격계 용어 정리2025.01.101. 근골격계 증상용어 lumbago, low back pain(LBP) 허리통증, ostealgia, osteodynia 뼈통, arthralgia 관절통, ankylosis 관절굳음증, 관절강직, hemarthrosis 혈관절증, hydrarthrosis 물관절증, 관절수종, spasm 경련, 연축, 긴장성 경련, contracture 오그라듦, 구축, tremor 떨림, 진전, claudication 절뚝거림, 파행 2. 근골격계 진단용어 - 뼈 감염, 염증질환 osteomyelitis 뼈속질염, 골수염, ankylosing ...2025.01.10
-
성인 근골격계 사정2025.01.041. 근골격계 사정 근골격계 사정은 주로 시진과 촉진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사정 순서는 머리에서부터 목, 상지, 하지 순으로 진행됩니다. 근육의 대칭성, 압통, 불수의적인 움직임, 근력, 근육의 강도 등을 사정하며, 관절운동범위, 다리 길이와 불일치, 신체부분의 기형, 관절의 대칭성 등도 사정합니다. 자세와 체위검사, 피부사정, 근육사정, 관절과 뼈 사정, 신경혈관 사정 등의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2. 자세와 체위검사 자세와 체위검사에는 보행능력 사정, 관절 움직임, 운동력, 균형 등의 전반적인 관찰, 관절의 경직이나 척추, 발의 ...2025.01.04
-
지역 - 근골격계2025.01.221. 근골격계 질환의 높은 유병율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하는 작업환경, 반복되는 신체 부담 작업 및 잘못된 자세, 스트레칭/휴식의 부족, 높은 연령,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지식부족 등이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근골격계 질환 교육, 근골격계에 좋은 체조 프로그램 운영, 작업환경 개선, 건강관리 용품 비치 등의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높은 산업 재해율 불안전한 상태방치, 안전의식 부족, 작업방법의 교육 불충분 등이 높은 산업재해율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전의식 제고 교육, 작업방...2025.01.22
-
근골격계질환의 발생 특징과 원인, 발생원인 중 작업적 특성 요인에 대한 개선대책2025.01.191.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 직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과도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 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유해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어깨, 허리, 상·하지의 신경·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의 발병요인으로는 개인적 요인과 작업자세, 반복 동작, 휴식, 작업환경 등의 물리적 작업요인, 직무만족도, 정신적 스트레스 등의 사회적 요인이 있습니다. 2. ...2025.01.19
-
성인간호학: 근골격계와 신경계 질환2025.11.131. 근골격계 구조와 기능 근골격계는 206개의 뼈, 근육, 관절, 연골, 건, 인대로 구성된다. 뼈는 골아세포, 골세포, 파골세포 등의 골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면골과 치밀골로 구분된다. 근육은 내장근, 심근, 골격근 세 종류가 있고, 관절은 섬유성, 연골성, 활액성 관절로 분류된다. 근골격계는 신체 형태 제공, 체중 부하, 직립자세 유지, 주요 내부 장기 보호, 혈액세포 생성, 무기질 저장 등의 기능을 한다. 2. 근골격계 주요 질환 연조직 손상에는 타박상, 좌상, 염좌가 있으며, 탈구는 관절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는 상태이...2025.11.13
-
[수업자료][간호학] 인체의 구조와 기능(근골격 계통) ppt2025.01.111. 근골격 계통의 구조와 기능 근골격 계통은 뼈, 연골, 근육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을 지지하고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뼈는 골막, 골조직, 골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발생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있습니다. 뼈는 위치와 형태에 따라 긴뼈, 짧은뼈, 납작뼈, 불규칙뼈 등으로 분류됩니다. 연골은 관절의 뼈 사이와 주위에 있는 결합 조직의 일종으로, 유리연골, 섬유연골, 탄력연골 등이 있습니다. 2. 근육의 구조와 기능 근육은 650여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근육의 바깥막, 근육 다발과 다발막, 근섬유 등으로 이루어...2025.01.11
-
근골격계, 건강검진 발표 PPT2025.04.251. 건강검진의 종류 채용 시 건강진단, 일반 건강진단, 특수 건강진단, 배치 전 건강진단, 수시 건강진단, 임시 건강진단 등 다양한 건강검진 항목과 목적, 시기 등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2. 건강검진 항목 1차 검진과 2차 검진에 포함되는 항목들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진찰, 상담, 신체계측, 혈액검사, 영상검사 등 다양한 검사 항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근골격계 예방법 작업자세, 보조물 사용, 운동, 스트레칭 등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4. 직무 스트레스 예방법 직무 스트레스 예방...2025.04.25
-
근골격계 질환 문헌고찰2025.01.121.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근골격계는 뼈, 근육, 관절, 연골, 근막, 인대로 구성되어 있다. 근골격계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신체의 신체 운동을 담당하여 다른 조직을 지지하고 내부장기를 보호하고 적혈구를 생성하는 등을 통해 삶의 질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골격계는 뼈의 구성, 구조, 기능으로 구성되며, 관절과 인대, 골격근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골절 골절(骨折, fracture)이란 강한 외력이 작용하여 뼈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엇나가 뼈의 연속성이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골절의 원인, 증상, 종류, ...2025.01.12
-
근골격계질환 보건교육 PPT2025.01.021. 근골격계 질환 근골격계 질환은 주로 반복적인 동작과 고정된 자세에서의 지속된 동작, 부적합한 작업자세, 오랜 시간 동안의 작업 등이 원인이 되어 목, 어깨, 팔꿈치, 손목 등 근골격계에 나타나는 통증, 저림, 쑤심 등의 증상을 말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작업과 휴식의 비율 조정, 작업자 신체조건에 맞는 배치, 작업 전/중/후 스트레칭, 작업빈도 개선, 심리적 스트레스 대책, 인간공학적 작업장 설계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1. 근골격계 질환 근골격계 질환은 근육, 뼈, 관절 등의 문제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현대 사회에서 점점 ...2025.01.02
-
근골격계질환 예방(보건관리)2025.05.101. 근골격계질환의 개요 근골격계질환이란 근로자가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에 의하여 목, 어깨, 허리, 팔·다리의 신경, 근육 및 그 주변조직 등에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유소견자에 대한 의학적 조기관리와 근골격계 부담 작업에 대한 작업환경 개선 등을 통하여 비교적 쉽게 예방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2. 근골격계질환 관리의 필요성 계속 발생될 수 있는 잠재 근골격계질환자가 존재하므로, 잠재 질환자에 대한 예방이 근골격계질환자 치료/재활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인간공학적 개선을 추구해야 합니다. 3. 산업...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