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2개
-
신라와 고려의 향가2025.11.121. 신라의 향가 삼국유사에 실린 신라의 향가 중 가장 오래된 향가는 서동요이고, 가장 늦게 지어진 향가는 처용가입니다. 처용가는 동경의 밝은 달 밤에 유행하며 노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제망매가는 생사의 길에 대한 내용을 담은 작품입니다. 이들은 신라시대의 대표적인 향가 작품들로 한국 고전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2. 고려의 향가 고려시대의 향가로는 균여대사가 지은 11수가 있습니다. 고려 예종이 지은 도이장가는 신숭겸과 김락을 추모한 내용을 담은 작품으로, 고려의 개국공신들을 기리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도이장가는...2025.11.12
-
민간에서 성행을 하던 고려가요2025.11.121. 고려가요의 정의 및 특징 고려가요는 고려시대 민간에서 성행하던 노래로, 처음에는 기록되지 않고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 구비문학이었습니다. 조선시대에 와서 기록되어 기록문학으로 변환되었습니다. 남녀간의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많으며, 조선시대에는 남녀상열지사로 천대받았습니다. 2. 동동의 구성 및 형식 동동은 고려가요 중 월령체 작품으로, 모두 13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초장은 서사(序詞)이고, 나머지 12장은 1월부터 12월까지 계절의 변화에 따라 남녀 간의 사랑을 표현합니다. 고려시대부터 입으로 전해져 오던 동동은 조선...2025.11.12
-
고려가요: 구비문학의 대표 장르2025.11.121. 고려가요의 정의 및 특징 고려가요는 고려시대에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던 노래로, 문학장르로는 구비문학에 해당합니다. 청산별곡처럼 속세를 떠나 자연과 함께 살겠다는 마음을 노래한 작품도 있고, 동동, 이상곡, 쌍화점 등처럼 남녀간의 사랑을 적나라하게 표현한 작품도 있습니다. 고려가요의 작자는 대부분 알려지지 않았으며, 조선시대에 기록되어 현대에 전해집니다. 2. 이상곡 이상곡은 고려가요의 대표작으로, '이상(履霜)'은 서리를 밟는다는 뜻입니다. 작자는 미상이나 고려 충숙왕 때 채홍철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남녀의 애정을 진솔하게 그...2025.11.12
-
한국 고전문학사 연표: 서정시와 민요의 발전2025.11.131. 상고시대 및 삼국시대 서정시 한국 고전문학의 초기 형태로 <구지가>, <공무도하가>, <황조가> 등의 짧은 노래들이 서정시로 가는 길을 열었습니다. 백제의 <정읍사>, 신라의 <도솔가>와 같은 노래들이 존재했으며, 향가는 우리 고유의 우리말 노래로 주술적 서정시의 성격을 띠었습니다. <찬기파랑가>, <서동요>, <헌화가> 등이 국선지도의 지도자들에 의해 창작되었고, <원왕생가>, <천수대비가> 등 불교 성향의 향가도 발전했습니다. 2. 고려시대 시가문학의 발전 신라의 향가가 고려로 이어졌으며, 한시의 발전이 두드러졌습니다. <...2025.11.13
-
정철: 조선시대 문인정치가의 삶과 문학2025.11.131. 정철의 생애와 정치활동 정철은 조선시대 서인을 대표하던 정치인으로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며 나라를 위해 정성을 다했습니다. 임금에 대한 충성심이 뛰어났으나 당쟁으로 인해 평생 거의 귀양살이를 하며 어려운 생활을 했습니다. 강화에서 병사했으며, 바른 말을 잘하는 성품으로 인해 정치적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2. 정철의 가사문학 작품 정철은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가진 문인으로 송강집에 주옥같은 작품들이 실려 있습니다. 대표 가사작품으로는 관동별곡, 성산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이 있습니다. 사미인곡은 임금에 대한 그리움과 사모...2025.11.13
-
퇴계 이황의 매화시와 선비정신2025.11.131. 선비정신의 개념 조선시대 선비는 단순한 지배층이 아니라 유학을 익힌 실천적 지성인으로, 자기수양과 도덕성을 최고의 가치로 삼았다. 선비는 관직에서는 청렴과 공정무사로 목민의 도를 다하고, 물러나서는 후학을 양성하며 지역사회의 지도자로 본분을 다했다. 또한 나라의 정책이 잘못되었을 때 목숨을 걸고 상소나 간언을 하는 적극적 사회참여자로서, 개인보다 사회와 국리민복을 위해 신념과 용기를 갖고 실천하는 인간상이었다. 2. 퇴계 이황의 생애 퇴계(1501~1570)는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나 생후 7개...2025.11.13
-
고려속요의 현대적 수용 사례 및 특징2025.11.141. 고려속요의 정의 및 특징 고려속요는 고려시대 민중들 사이에서 널리 전해진 속요로, 작자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운율이 아름답고 평민들의 솔직하고 진솔한 감정이 잘 나타나 있으며, 유려한 우리말을 사용하고 있다. 후렴구나 여음을 가지는 구조적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현대의 민요 '아리랑'이나 '도라지타령'에 이르기까지 이어져와 우리 민요에 정착된 특징적인 구조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가시리', '서경별곡', '청산별곡' 등이 있다. 2. 가시리의 현대 대중가요 수용 고려속요 '가시리'는 현대에 와서 다양한 ...2025.11.14
-
광주·전남 한국고전문학 테마 여행 안내서2025.11.141. 환벽당 광주 북구 충효동에 위치한 조선 중기 문신 김윤제의 정자로 명승 제107호이다. 푸르른 자연경관과 인문학적 가치가 뛰어나며 호남의 대표적인 누정문화를 보유하고 있다. 송순, 임억령, 양산보, 김인후 등 당대 최고의 문인들이 드나들던 곳으로 10개 이상의 정자가 주변에 위치해 있다. 팔작지붕으로 지어졌으며 송시열의 글씨와 임억령의 시가 내부에 걸려 있다. 2. 김삿갓 문학동산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구암마을에 위치한 조선 후기 방랑 시인 김삿갓의 유적지이다. 2016년 3월 주민들이 조성했으며 김삿갓의 시 50수를 엄선하...2025.11.14
-
조선 전기 관학파와 사림파 문학의 기능 비교2025.11.141. 관학파 문학 조선 전기 관학파 문학은 철학적 내용을 담은 문학으로서 사회의 질서와 도덕성을 강조하였다. 정치적인 측면에서의 기능을 가지며 정치적 지식과 지혜를 전달함으로써 사회의 안정과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였다. 저작자들은 자신의 철학과 사상을 문학을 통해 전달하는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2. 사림파 문학 조선 전기 사림파 문학은 자연과 인간, 인간의 정서와 감정을 다루는 문학으로서 인간성과 자아성을 중시하였다. 인간적인 측면에서의 기능을 가지며 사람들의 내면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갖추어 인간적 가치를 강조하면서...2025.11.14
-
향가: 신라에서 고려까지의 우리말 노래2025.11.151. 향가의 정의 및 표기법 향가는 중국에 대한 우리의 노래로, 향찰로 표기된 우리말 노래입니다. 어휘형태소는 훈독으로, 문법형태소는 음독으로 표기되었습니다. 이는 문어와 구어의 혼합 표기 방식으로, 우리말을 한자로 표현하는 독특한 방법입니다. 2. 향가의 시기 및 쇠퇴 원인 향가는 신라부터 고려 전기까지 창작되고 향유되었습니다. 쇠퇴 이유는 화랑의 쇠잔, 귀족적 불교로의 변화, 제한된 향유층, 그리고 한문학 발달 등입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향가 문화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3. 향가의 형식 및 구조 향가는 4구체,...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