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5개
-
한국어 교재의 한글 자모 교육과 발음 교육 비교 분석2025.01.021. 한국어 교재의 한글 자모 교육 고려대 <재미있는 한국어 1>와 이화여대 <이화 한국어 1> 두 교재의 한글 자모 교육 방식을 비교했습니다. 두 교재 모두 모음 18개, 자음 21개의 자모를 다루고 있으며, 모음-자음-받침 순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모 제시 순서와 방법, 음가 표시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교재마다 자모 제시 순서가 달라 학습자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표준화된 자모 교육 방식이 필요합니다. 2. 한국어 교재의 발음 교육 두 교재의 발음 교육 방식을 비교했습니다. 음운 규칙 제시 순서와 방법, 음...2025.01.02
-
내가 몰랐던 언어 소개하기 - 헝가리어2025.01.291. 헝가리어의 음운 체계 헝가리어는 라틴문자를 사용하는 언어로서 하나의 문자(또는 문자결합)가 하나의 음소를 나타내며, 음소체계 기술에 있어서 문자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전형적인 음소문자이다. 헝가리 자음 문자표기는 헝가리어 자음의 특징이 반영되어 있는 변형된 라틴문자표기로서, 다른 라틴어권에는 없는 경구개 폐쇄음과 풍부한 마찰음, 폐찰음을 둘 꼬는 세개의 문자결합으로 표기한 것이 특징적이다. 헝가리어에는 24개의 자음소가 있으며, 이들의 문자표기는 26개이다. 헝가리어의 모음은 후설 모음, 전설 모음, 원순 모음으로 나...2025.01.29
-
융복합시대의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수업 감상문2025.01.041. 모음 사각도의 원리 모음 사각도의 원리를 이해하면 오해를 줄일 수 있는 말하기에 효과적일 것이다. 모음 사각도에 대한 정의를 더 철저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2. 고저장단과 리듬감 언어를 전달하는 데 있어서 고저장단과 리듬감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외래어 표기와 발음 외래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국어생활을 원만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우리말의 음운 및 문자체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1음운 1기호로 적어야 한다는 원칙, 파열음 표기에 된소리를 쓰지 않는 원칙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1. ...2025.01.04
-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자모 제시 순서에 대한 고찰2025.01.211.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의 자모 제시 순서 현재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사용되는 교재에서는 단모음을 다양한 순서로 제시하고 있으며, 자음의 경우에도 어문규범식의 제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순서는 학습자의 발음 습득과 한국어 음운 체계 이해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학습 용이성과 음운 체계성을 고려한 자모 제시 순서가 필요하다. 2. 적절한 자모 제시 순서 제언 단모음의 경우 [ㅏ]를 기준 자모로 설정하고 [ㅓ], [ㅗ], [ㅜ], [ㅡ], [ㅣ], [ㅔ]의 순서로 제시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자음의 경우에는 ...2025.01.21
-
카자흐어의 음운 체계, 어순과 문장 구조, 주요 어휘 소개2025.01.231. 카자흐어의 음운 체계 카자흐어는 총 42개의 음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11개의 모음과 31개의 자음을 포함하고 있다. 카자흐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 조화와 자음의 두드러진 발음 변화를 특징으로 한다. 모음 체계에서 카자흐어는 독특한 모음 조화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자음 체계에서도 다양한 자음 음소를 포함하고 있다. 2. 카자흐어의 어순과 문장 구조 카자흐어는 주로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을 따르며, 이는 한국어와 비슷한 구조이다. 그러나 카자흐어는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편으로, 문맥에 따라 주어나 목적어의 위...2025.01.23
-
자음과 모음의 특징 및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분류2025.01.141. 자음의 특징 자음은 기류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방해를 받고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조음 기관의 장애에 따라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등의 장애음과 비음, 유음 등의 공명음으로 분류된다. 자음은 개별적으로 완전한 소리를 낼 수 없어 모음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2. 모음의 특징 모음은 폐에서 나온 공기가 입과 코를 통해 나올 때 어떠한 장애도 받지 않고 성대의 울림에 의해 독립적인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이다.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뉘며, 혀의 높낮이, 위치, 입술 모양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된다. 3. 한국어 자음의 분...2025.01.14
-
한국어 단모음 음소 수에 대한 다양한 견해 분석2025.11.171. 표준발음법의 단모음 음소 수 표준발음법에서는 한국어의 단모음 음소 수를 규정하고 있으며, 연구에 따르면 5개에서 8개의 단모음 음소가 제시되었다. 표준발음법에서 제시된 단모음 음소 수는 현대 한국어의 실제 발음과 상이한 부분이 있으며, 발음되지 않는 단모음 음소가 존재하거나 실제 발음과 다르게 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교육과 언어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단모음 음소 수 증가 주장 일부 연구자들은 표준발음법의 단모음 음소 수가 불충분하다고 주장하며, 더 많은 단모음을 인정해야 한다고 제...2025.11.17
-
대조언어학: 한국어 발음 학습의 언어권별 오류 분석2025.11.171. 한국어 발음의 어려움 한국어 학습자들이 발음을 가장 어려운 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32%가 발음 학습을 가장 어렵다고 답했다. 한국어 발음이 외국어와 다른 이유는 소리 자체의 구조화 양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ㄱ'은 영어의 'k' 또는 'g'에 해당하고, 'ㄹ'은 스페인어의 [r]에 해당한다. 또한 여러 소리가 연결될 때 결합하는 방식이 언어마다 다르다는 점도 발음 학습을 어렵게 한다. 2. 모국어의 언어 간섭 한국어 학습자의 모국어는 발음 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개...2025.11.17
-
음성의 광의와 협의 용법 및 음운과의 대립 관계2025.11.171. 음성의 광의적 의미 음성의 광의적 의미는 언어 소리의 전반적인 측면을 나타내며, 언어 소리의 생성, 전달 및 인식과 관련된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운동 기관의 움직임, 음성 신호의 생성 및 변형, 음성 파형의 특징, 음성 인식 및 이해 등을 포함하며, 음성 인식 및 합성, 음성 장애 진단 및 치료, 음성 인식 시스템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2. 음성의 협의적 의미 음성의 협의적 의미는 언어에서 의미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소리의 요소를 의미한다. 음운론적인 관점에서 소리의 성질과 구조, 음소 및 음운 체계, 발음 ...2025.11.17
-
내가 몰랐던 언어 소개하기2025.01.151. 프랑스어 음운 체계 프랑스어는 전 세계에서 30곳이 넘는 곳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많은 국제기구들에서도 프랑스어를 제 2언어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프랑스어의 음운체계는 현지에서 나고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습득하지 않은 이상 원어민처럼 구사하는 것은 매우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프랑스어는 지역적으로 사용하는 발음이 10개의 구강 모음과 3개의 비모음을 사용하고 남부 프랑스에서는 7개의 구강 모음과 3개의 비모음을 사용합니다. 이렇듯 다 다르고 음운론적 변이가 많아 학습자들이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2. 프랑스어 어...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