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발생률 지표 정의 및 결과 보고서2025.01.031.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발생률 지표 이 지표는 중심정맥관 사용과 관련된 혈류감염 발생률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감염 발생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정의되었습니다. 지표 분자는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사례 수이며, 분모는 해당 기간 동안의 중심정맥관 삽입일수 총합입니다. 목표값은 전년도 평균 혈류감염 발생률 이하로 설정되었으며, 분기별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1.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발생률 지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은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주요 의료관련 감염 중 하나로, 환자의 예후와 직결되...2025.01.03
-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관리2025.01.221. 요로감염 예방 지침 요로감염 예방을 위한 지침으로는 유치도뇨관 삽입과 사용기간 최소화, 유치도뇨관 삽입 시 무균술 적용, 가이드라인에 따른 유치도뇨관 관리, 매일 유치도뇨관 유지의 필요성 평가 등이 포함됩니다. 2. 소변 검체 채취 방법 소변 검체 채취 시 무균술을 적용하며, 준비물품, 소독 방법, 검체 채취 및 보관 등의 절차가 포함됩니다. 3. 소변백 비우는 절차 소변백을 비울 때는 유치도뇨관을 잠그고, 손위생 후 청결장갑을 착용하며, 배액구를 소독하고 포트에 끼우는 등의 절차가 필요합니다. 4.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2025.01.22
-
주사침 자상 사고 예방 교육2025.01.211. 주사침 자상 사고의 위험성 주사침 자상 사고는 사용된 주사기나 기타 날카로운 의료 기구에 의해 피부가 찔리는 사고로, 혈액매개 감염원에 노출되는 경로입니다. 주사침 손상에 의한 경피적 노출이 88%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일반주사기 70%, 봉합용 바늘 10%에서 발생합니다. 혈액매개 감염원에는 세균, 기생충, 바이러스 등이 포함되며, HBV, HCV, HIV, 매독 등의 전파 위험이 있습니다. 2. 주사침 자상 사고 예방 방법 주사침 자상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바늘에 최대한 접촉하지 않고, 바늘 제거 시 기구(켈리나 포셉)...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