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8개
-
Hand plate와 glove-juice test를 이용한 손의 오염도 측정2025.01.121. 손 위생의 중요성 병원성 감염을 막고 환자의 안전을 증가시키며 의료 감염을 감소시키기 위해 손 위생이 중요하다. 올바르게 손을 씻는 것만으로 모든 감염성 질환의 70%를 예방할 수 있다. 2. 손 오염도 측정 방법 Hand plate와 Glove-juice test는 손의 오염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Hand plate는 손의 균을 확인하고 검출할 수 있으며, Glove-juice test는 장갑을 이용하여 손의 오염도를 측정한다. 3. Hand plate 실험 결과 첫 번째 hand plate에서는 손바닥 가운데 쪽과 손가...2025.01.12
-
A+ 생화학실험 <5주차. Transformation> 레포트2025.01.201. Competent cell (DH5α) DH5α는 recA1 유전자의 160번 아미노산이 glycine에서 aspartic acid로 변이되는 돌연변이로 인하여 endonuclease의 기능을 상실하고 재조합 효소의 활성을 억제되었다. 이에 삽입된 plasmid DNA가 세포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분해되지 않도록 하여, 높은 transformation efficiency(1×10^8 cfu/μg)를 가진다. 2. Plasmid DNA Plasmid DNA는 박테리아의 chromosomal DNA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2025.01.20
-
세포 배양법2025.05.141. 세포 배양법 세포 배양은 생물체에서 분리해낸 세포를 체내 환경이 아닌 액체 배지, 고체 배지와 같은 외부 환경에서 키우는 것으로, 의과학과 생물학에서 자주 활용되는 기술이다. 세포 배양은 목적한 세포를 증식시키거나, 관찰하기 때문에 세포에 따라 온도, pH 등과 같은 적절한 생장 환경을 설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지에는 세포가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amino acid, glucose와 같은 영양분이 첨가되며, 때로는 목적한 세포를 제외하고 모두 제거하기 위해 항생물질을 첨가하기도 한다. 2. LB 배지 LB는 Lysoge...2025.05.14
-
[A+ 리포트] - LB Agar Plate 제작 (분자생물학실험)2025.04.251. 분자생물학 실험 이 자료는 분자생물학 실험의 일환으로 LB agar plate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LB agar의 개념과 구성, Ampicillin이 포함된 LB agar plate 제작 방법, 제한효소를 통한 DNA 절단 과정, DNA 정제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2. 미생물 배양 이 자료는 미생물 배양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B agar plate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LB agar MIX의 구성 성분과 각 성분의 역할, 고압증기멸균 과정, Ampicillin 첨가 등 ...2025.04.25
-
A+ 생화학실험 <4주차. 세포배양법> 레포트2025.01.201. 세포 배양법 세포 배양이란 생물학과 의과학에서 많이 활용되는 기술로, 생물체에서 분리한 세포를 체내 환경이 아닌 액체 및 고체 배지를 비롯한 외부 환경에서 키우는 것을 말한다. 세포 배양은 특정 세포를 증식하거나 관찰하므로 세포에 따른 온도, pH를 비롯하여 적절한 생장 환경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배지에는 세포가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아세트산, 포도당 등의 영양분이 첨가된다. 필요에 따라, 목적한 세포를 제외한 나머지 세포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항생물질을 넣기도 한다. 세포 배양 시, 변수를 제거하기...2025.01.20
-
[A+ 리포트] 6well plate를 이용한 Cell counting and seeding에 관한 실험 프로토콜2025.04.251. 세포 배양 실험 프로토콜에 따르면 세포 배양을 위해 clean bench, 37°C water bath, CO2 incubator 등의 장비를 사용하며, HeLa 세포주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합니다. 세포 배양 시 배지 온도, 세포 밀도, 오염 여부 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세포 계수 및 분주 실험에서는 trypsinization을 통해 세포를 분리하고, hemocytometer와 trypan blue 염색을 이용하여 세포 수를 계수합니다. 이후 계수된 세포를 6well plate에 적정 농도로 분주하는 과정을 거...2025.04.25
-
나노바이오실험(1) A 자료) 2. Gram staining, Streaking2025.01.041. Gram staining Gram staining은 세균을 염색하여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분할 수 있는 분열염색법이다. 그람양성균은 세포벽에 펩티도글리칸이 두껍고 단단하게 형성되어 있어 에탄올 처리 시 탈색되지 않고 보라색으로 관찰된다. 반면 그람음성균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펩티도글리칸을 가지며 지질 다당질, 지질 단백질 등으로 구성된 외막을 가지고 있어 에탄올 처리 시 탈색되어 붉은색으로 관찰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Gram staining을 통해 채취한 균주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2. Streak plate meth...2025.01.04
-
Unraveling the Mystery of Earthquakes2025.05.021. Plate Tectonics 지각을 구성하는 지판들의 움직임이 지진의 주요 원인이다. 지판들이 서로 만나면서 압력과 응력이 축적되다가 갑자기 방출되면서 지진이 발생한다. 2. Faults 지각에 존재하는 약한 지점인 단층은 지판의 상대적 움직임으로 인해 응력이 축적되다가 갑자기 파괴되면서 지진을 일으킨다. 3. Seismic Waves 지진이 발생하면 지구 내부를 통해 전파되는 지진파가 생성된다. 지진파에는 지구 내부를 통과하는 body wave와 지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surface wave가 있으며, 이들의 강도와 크기에 ...2025.05.02
-
성균관대학교 화학과 생물화학실험 레포트2025.01.211. 단백질 정량법 단백질정량이란 시료 내에 포함된 단백질의 양 또는 농도를 구하는 과정이다.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한가지 단백질로 이루어진 용액은 측정방법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방법에 따라 모두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측정하는 샘플 내 단백질의 특성, 추출물의 순도, 필요로 하는 정확도 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단백질 정량법에는 크게 colormetric 방법과 electrophoresis 방법이 있으며 대부분 색시약을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는 colormetr...2025.01.21
-
생물공정실험 결과보고서_P1 Transduction2025.01.101. 박테리아의 형질전환 이번 실험은 kanamycin저항성이 있는 DNA를 가지고 있는 Phage를 통해 bacteria에 저항성 DNA를 Transduction해보고 이를 EBU plate라는 kanamycin이 있는 배지에 배양함으로 transduction이 제대로 실행되었는지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실험 과정 중 여러 시약이 사용 되었는데, 먼저 E. coli 샘플에 Phage를 넣고 P1 salt를 넣어 주었다. 이 시약은 Phage가 bacteria cell 표면에 잘 붙도록 하여 transduction의 효율을 높여주기 ...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