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디지털시스템실험 A+ 9주차 결과보고서(Sequential Circuit)2025.05.141. 동기식 UP/DOWN Counter 설계 이번 실험을 통해 동기식 카운터와 비동기식 카운터의 차이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엘리베이터 코드토의를 작성할 때 if문 안에 module을 불러오면 오류가 떠서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 q값의 변화에 관한 코드를 이용하였습니다. 2. 카운터를 이용한 Sequential Circuit 미니프로젝트 설계 또한 모듈의 입력값이나 출력값이 두 자리 이상일 때 하나로 묶어서 넣어 주게 되면 값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1. 동기식 UP/DOWN Counter 설계 동기식 UP...2025.05.14
-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 실습 실습11_카운터설계_결과보고서2025.01.211. JK Flip-Flop JK Flip-Flop은 두 개의 입력신호에 따라 Logic 1(HIGH) 또는 Logic 0(LOW)값을 출력하는 소자이다. JK Flip-Flop을 이용하여 동기 방식과 비동기 방식으로 카운터를 설계하였다. 2. 동기 카운터 8진 동기 카운터의 경우 JK Flip-Flop 3개를 이용하여 각 2진 비트의 출력을 만들고, Q1의 출력을 2번 째 JK Flip-Flop의 입력으로 사용하고, Q1과 Q2의 출력을 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사용한 후 그 출력을 3번 째 JK Flip-Flop의 입력으로 사용...2025.01.21
-
디지털시스템설계실습_HW_WEEK112025.05.091. 7 세그먼트 업다운 카운터 이 프레젠테이션은 7 세그먼트 업다운 카운터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를 위해 Verilog 코드를 사용하여 상태 머신을 설계하고, 각 상태에 따라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의 출력을 제어합니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동작을 확인하고, 합성 후 critical path delay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FSM 설계의 효율성과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의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상태 머신 설계 이 프레젠테이션에서는 7 세그먼트 업다운 카운터를 구현하기 위해 상태 머신을 설계합니다. ...2025.05.09
-
디지털 회로 실험 및 설계 - 74LS192를 이용한 Up-Down Counter 실험 12025.05.161. 7-segment 디스플레이 7-segment는 7개의 마디와 1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표시장치이다. 마디와 점은 모두 LED이며, 7개의 마디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여 숫자나 영문자를 표시하고, 점으로는 소수점을 표시한다. 7-segment는 애노드 공통형과 캐소드 공통형이 있으며, 애노드 공통형이 주로 사용된다. 2. 7447 디코더 7447 디코더는 BCD 코드를 10진수로 바꾸어 7-segment에 표시해 준다. 출력 단자는 7-segment의 7개의 마디(a~g)와 연결하며, 출력 단자로 'low'를 출력하여 7-seg...2025.05.16
-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 ATmega128 Polling 방식과 Interrupt 방식 보고서2025.01.241. Floating 현상과 Pull-Up, Pull-Down Floating 현상은 주로 데이터 라인이나 제어 라인에서 불안정한 전압이나 전류가 발생하여 예상치 못한 동작을 유발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전원 문제, 입출력 라인 상태 불안정, 접촉 불량, 노이즈와 간섭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Pull-Up은 입력 핀을 논리적으로 '1'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적인 장치이며, Pull-Down은 입력 핀을 논리적으로 '0'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Chattering 현상과 방지 방법 Chatter...2025.01.24
-
디지털 회로 실험 및 설계 - 74LS192를 이용한 Up-Down Counter 실험 22025.05.161. 74LS47 74LS47은 이진 부호화된 4비트 BCD(Binary-Coded Decimal) 입력을 받아서 해당하는 7-세그먼트 LE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7개의 출력을 생성하는 소자입니다. 이 소자를 이용하여 7-세그먼트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습니다. 2. 74LS192 74LS192는 4비트 동기 카운터 칩으로, 디지털 회로에서 주로 사용되며 카운트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받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소자와 스위치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카운트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었습니다. 3. ...2025.05.16
-
[A+, 에리카] [A+] 2021-1학기 논리설계및실험 Counter 실험결과보고서2025.05.011. Flip-Flops Flip-Flops는 엣지 트리거 방식으로 동작하며, 출력이 0에서 1로 또는 1에서 0으로 변경될 때 변경된다. JK Flip-Flop은 SR, D Flip-Flop과 달리 negative edge일 때 출력이 변경되며, J와 K가 둘 다 1인 경우 출력값을 반전시켜준다. T Flip-Flop은 T를 toggle로 보아 입력 T의 값이 0이면 상태가 유지되고 1이면 반전된다. 2. Counter 순차 회로는 상태를 순서대로 순환시킨다. 동기식 카운터(Synchronous counter)는 여러 개의 Fli...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