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정신증(Psychosis) 개념/용어 요약 정리2025.01.181. 망상장애 Delusional Disorder 망상장애의 유병률은 0.2%로 가장 흔한 아형은 피해형이며, 질투형은 남성에서 더 흔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남녀차이가 없다. 감별진단으로는 강박 및 관련장애, 섬망, 주요신경인지장애,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정신병적 장애 및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조현병과 조현양상장애, 우울장애, 양극성장애 및 조현정동장애 등이 있다. 2. 단기정신병적 장애 Brief Psychotic Disorder 단기정신병적 장애의 유병률은 첫 발병 정신병 사례의 9%를 차지하며, 여성에서 2배...2025.01.18
-
조현병 문헌고찰 (행동특성, 관련질환)2025.04.251. 조현병 조현병은 뇌의 기질적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사고, 정동, 지각, 행동 등 인격의 와해가 초래된 상태이다. 현실과의 괴리감, 망상, 환각, 양가성, 부적절한 감정, 기이하고 퇴행된 행동 등의 정신증상이 동반된다. 원인으로는 생물학적 요인(유전적 경향성, 뇌의 구조적/기능적 이상, 신경전달물질 불균형)과 심리/사회적 요인(스트레스, 대인관계 요인) 등이 있다. 조현병의 진단기준, 유형, 증상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2. 조현병의 행동특성 조현병 환자의 행동특성으로는 Bleuler의 기본증상(무감동, 양가감정, 자폐증,...2025.04.25
-
조현병의 증상과 치료: 영화 뷰티플 마인드를 중심으로2025.11.121. 조현병의 정의 및 역사 조현병은 19세기 말 Kraepelin에 의해 조발성 치매로 개념화되었으며, Bleuler는 뇌의 기능이 분리된 심리 과정에 주목하여 '정신의 분리'라는 의미의 조현병 개념을 제안했다. Schneider는 조현병의 고유한 증상을 1급과 2급으로 구분하였고, DSM-III과 DSM-IV를 거쳐 현재 DSM-5에서는 인지적·정서적·행동적 기능 부전과 직업적·사회적 기능 손상을 진단 기준으로 삼고 있다. 2011년 정신분열병에서 조현병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이는 환자의 사회적 기능 회복 가능성을 강조하기 ...202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