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일반화학실험] A+ I족 양이온의 정성분석2025.01.121. I족 양이온 정성분석 실험 목적은 I족 양이온을 다른 족 이온과 분리하여 침전시킨 후 I족에 속한 각 이온을 분리하고 확인하는 것입니다. 양이온 정성 분석은 금속 이온의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혼합 용액으로부터 각 이온을 분리시키고 확인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I족 양이온은 차가운 산성 용액에서 염화물 침전을 일으키는 특성이 있습니다. 1. I족 양이온 정성분석 I족 양이온 정성분석은 화학 분석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I족 원소인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루비듐(Rb), 세슘(Cs), 프랑슘(Fr)은 ...2025.01.12
-
[일반화학실험] 1족 양이온의 정성분석 결과보고서2025.04.281. I족 양이온의 정성 분석 실험을 통해 혼합 용액으로부터 I족 양이온인 Ag^{+}와 Pb^{2+}을 분리하고 확인하였다. HCl 용액을 가하면 AgCl과 PbCl2의 침전이 생성되어 이들을 분리할 수 있었다. 이후 PbCl2 침전을 뜨거운 물로 녹여내고 K2CrO4 용액을 가하면 노란색 PbCrO4 침전이 생성되어 Pb^{2+}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HCl을 과량으로 넣지 않는 것이다. 1. I족 양이온의 정성 분석 I족 양이온의 정성 분석은 화학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I족 양이온은...2025.04.28
-
I족 양이온의 정성분석 (일반화학실험)2025.01.161. 양이온의 정성분석 양이온은 이를 포함한 화합물의 용해도에 따라 Ⅰ~Ⅴ족(group)으로 분류되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Ⅰ족에 속하는 Ag+, Hg22+, Pb2+ 양이온의 정성분석을 한다. 선택적 침전법을 이용하여 이들 양이온을 분리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2. Ⅰ족 양이온의 정성분석 Ⅰ족 양이온의 분족 시약은 HCl이다. Ag+, Pb2+, Hg22+는 Cl-와 반응하여 chloride 침전을 형성하므로 다른 족에 속한 양이온과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여 PbCl2, AgCl, Hg2Cl2를 분...2025.01.16
-
일반화학실험 메뉴얼 모음2025.04.271. 산화 환원 적정 산화 : 전자를 잃는 것, 환원 : 전자를 얻는 것. 산화제는 다른 물질에서 전자를 빼앗아 자신은 환원되고, 환원제는 다른 물질에게 전자를 내주어 자신은 산화된다. 산화 환원 적정은 산화제 또는 환원제의 표준 용액을 써서 시료 물질을 완전히 산화 또는 환원시키는데 소모 된 양을 측정하여 시료물질을 정량하는 용량 분석법이다. 종말점 결정 방법에는 지시약 사용, 지시약 미사용, 전기적인 방법 등이 있다. 대표적인 산화제로는 KMnO4와 I2가 있다. 2. 착물 생성의 평형상수 착물 생성의 평형상수(K)를 생성상수(...2025.04.27
-
[유기화학실험 A+] Carbon Rearrangements - Benzopinacolone2025.04.281. 유기화학실험 이 실험에서는 카르보 양이온 전이와 그 원리를 실험을 통해 증명할 수 있었습니다. 반응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 촉매는 HI입니다. 그러나 HI는 강산으로 부식성, 폭발성, 공기 민감성이 높아 학생들이 다루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안전상의 이유로 I2를 촉매로 사용했습니다. I2가 분해되어 HI를 생성하고, 아세트산이 I2 분해와 벤조피나콜의 -OH기를 더 좋은 이탈기 -OH2+로 전환시킵니다. -OH2+가 벤조피나콜에서 떨어져나가 카르보 양이온이 되면 위와 같은 카르보 양이온 전이가 일어납니다. 카르보 양...2025.04.28
-
단백질 정량2025.05.071. Biuret method 단백질의 알칼리성 수용액에 저농도 황산구리용액을 몇 방울 떨어뜨리면 청자~적자 색을 띠는 단백질 발색반응이 일어난다. 발색은 구리(II)이온과 착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트리펩티드 이상의 펩티드도 같은 반응을 보이고, 발색률은 펩티드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다. 조작이 간단하고 다수의 시료를 단시간에서 측정할 수 있어 많이 사용하지만, 감도가 낮다. 2. Ultraviolet Absorption Method 단백질의 tryptophan과 tyrosin잔기가 280 nm에서 강하게 흡광하는 성질을 이용하...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