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태양 흑점 관측을 통한 태양 자전 주기 탐구2025.11.161. 태양 흑점 관측 및 분석 약 5개월간 용오름 천문대에서 매일 오후 13시 50분에 굴절 망원경으로 태양을 촬영하여 흑점 자료를 수집했다. 카메라 노출시간 1/1000초, ISO 100으로 설정하여 20~30장씩 촬영한 후 Redistax6와 Pixlr을 이용해 편집했다. 흑점의 위치를 사진 이미지상의 픽셀을 이용해 분석하고, 6일 이상 관측되며 크고 뚜렷한 흑점을 선별하여 연구에 활용했다. 2. 회합주기와 항성자전주기 태양의 자전주기는 지구의 공전을 고려하지 않은 회합주기(Synodic period)와 지구의 공전을 고려한 항...2025.11.16
-
달에 대해서2025.05.141. 달의 물리량 달은 지구의 유일한 위성(satellite)이다. 달은 지구를 모천체로 두고 있어 지구를 중심으로 대략 한 달에 한 번 공전한다. 달은 지구에 비해서 매우 작다. 달의 반지름은 1,738km로 지구의 반지름인 6,378km에 비해 대략 4분의 1보다 약간 큰 수준이며 달의 질량은 지구 질량의 8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지구와 달 계에서 무게중심은 지구의 중심 근처에 있다. 2. 달의 위상변화 달은 약 한 달을 주기로 지구 주위를 서에서 동으로 공전한다. 이에 태양과 지구 그리고 달의 위치에 따라 달을 ...2025.05.14
-
고등학교 지구과학2 평가계획서2025.01.161. 행성의 운동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따른 천체의 위치 변화를 지평 좌표와 적도 좌표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내행성과 외행성의 겉보기 운동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고, 지구중심설과 태양중심설로 행성의 겉보기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갈릴레이의 망원경 관측으로 알게 된 금성의 위상과 크기 변화를 지구중심설과 태양중심설에서 예측한 내용과 비교하여 관측 사실에 부합하는 태양계 모형을 찾을 수 있다. 또한 회합 주기를 이용하여 공전 주기를 구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고, 행성의 겉보기 운동 관측 자료로부터 행성의 공전 궤도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