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785개
-
다발골수종 Case Study (혈액종양내과)2025.01.141. 다발골수종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은 주로 골수에서 발생하는 혈액암의 일종이나 간혹 골수를 둘러싸고 있는 뼈나 기타 여러 장기에서 고형 종양의 형태를 보이는 형질세포종으로 발생하기도 함. 골수 내 악성 형질세포가 침윤되어 전신적으로 뼈를 파손시키는 신생물 질환으로 형질세포골수종(plasma cell myeloma)이라고 함. 특히 뼈에 침범하는 경우가 흔하며 이러한 경우 척추의 통증이나 압박골절 및 이로 인한 하지마비와 같은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음. 치료하지 않으면 진단받은 후 약 2년 내에 사망하는...2025.01.14
-
골수이형성증후군2025.01.151. 골수이형성증후군 골수이형성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 MDS)은 골수의 조혈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질환 중 하나로, 골수에서 혈액세포의 형성이상(dysplasia)과 말초혈액에서 정상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골수에서 형성이상이 발생하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이상이 나타나며, 정확한 원인은 알기 어려우나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 독성 물질 노출, 흡연 등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진단은 혈액검사, 골수검사, 염색체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WHO 분류법과 국제예후...2025.01.15
-
골수형성이상증후군2025.01.031. MDS 원인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의 주요 원인으로는 고령, 남성, 술 및 흡연, 방사선 노출, 면역 억제 치료, 바이러스 감염, 벤젠 및 톨루엔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골수 세포의 비정상적인 발달과 증식을 유발하여 MDS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MDS 치료 MDS 환자의 치료 방법은 질병의 위험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저위험군의 경우 수혈, Azacitidine, decitabine, EPO, G-CSF, Lenalidomide, ATG, CsA 등의 약물 치료가 주로 사용됩니다. 반면 고위험군의 경우 조혈모...2025.01.03
-
겸상세포 빈혈(sickle cell anemia) A+자료2025.05.071. 겸상세포 빈혈 겸상세포 빈혈은 적혈구 내 비정상 혈색소가 존재하는 유전적인 만성 용혈장애입니다. 혈중 산소농도가 감소될 때 적혈구의 형태가 변형되어 순환 중 파괴되어 용혈을 일으킵니다. 원인은 부모로부터 전해진 혈색소 유전인자이며, 동형접합 인자(HbSS)에서 발생하는 겸상세포 빈혈과 이형접합 인자(HbAS)에서 발생하는 겸상세포 체질로 구분됩니다. 병태생리는 적혈구의 겸상화가 가장 큰 특징이며, 겸상화 발작은 혈중 산소분압이 감소할 때 자극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만성적인 빈혈증상, 용혈로 인한 황달과 담석증, 조직허혈로 인...2025.05.07
-
Blood Warmer 혈액가온기2025.01.181. 혈액 가온기(Blood Warmer) 혈액 가온기(Blood Warmer)는 수혈이나 혈액 순환을 할 때 혈액을 따뜻하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혈액 가온기(Blood Warmer)가 작동하는 방식은 혈액 주머니 호스로부터 수혈될 혈액이 호스를 통해 흐를 때, 호스가 혈액 가온기의 판 사이를 통과하면서 혈액의 온도가 안정되고 따뜻해집니다. 혈액순환장치는 혈액을 수혈하기 전에 체온과 체온이 일치하도록 가열하여 저산소혈증을 예방하는 의료 기기입니다. 2. 혈액 가온의 적응증 혈액 가온기(Blood warmer)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2025.01.18
-
혈액도말과 백혈구 Diff count(고찰 포함)2025.01.131. 혈액도말 및 혈구관찰 혈액 내 혈구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 혈액을 얇게 도말하고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이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현재는 혈구 자동분류기가 개발되어 쉽게 분리해 낼 수 있지만, 비정상적인 혈구의 출현이 있는 경우에는 전문가의 현미경 관찰이 필요하다. 2. 백혈구 Diff count 백혈구 감별계산(Differential count)은 혈액 내 백혈구의 상대적인 비율을 확인하는 검사로, 질병 진단 및 치료 모니터링에 활용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도말 및 염색 과정을 거쳐 백혈구 종류별 개수를 측정하고 ...2025.01.13
-
혈액계 진단검사, 정상범위 및 의의2025.05.071. 적혈구 수 (RBC) 적혈구 수(RBC)는 높은 고도, 화상(혈액농축), 원발성다혈구 혈증에서 증가하고 빈혈, 백혈병에서 감소합니다. 24시간 내에 Hb 3g/dl 이상 감소 시 내출혈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2. 혈색소 (Hb) 혈색소(Hb)는 높은 고도, 화상(혈액농축), 원발성다혈구 혈증에서 증가하고 빈혈, 출혈, 영양결핍, 혈액희석에서 감소합니다. 12g/dl 이상이면 적혈구 농축을 의미합니다. 3. 적혈구 용적률 (Hct) 적혈구 용적률(Hct)은 화상(혈액농축), 원발성 다혈구 혈증에서 증가하고 적혈구 생산 감소,...2025.05.07
-
뇌졸중과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문헌고찰2025.01.031. 뇌졸중 뇌졸중은 뇌의 어느 한 부분에 혈액공급의 장애로 인해 기능을 갑자기 상실하는 것으로, 크게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나뉜다. 허혈성 뇌졸중은 혈전성 뇌졸중과 색전성 뇌졸중으로 구분되며, 출혈성 뇌졸중은 뇌내 출혈과 거미막하 출혈로 나뉜다. 뇌졸중의 증상과 예후는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2. 이상지질혈증 이상지질혈증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과다하게 많이 함유된 상태를 말한다. 이상지질혈증은 식생활, 운동 부족, 유전적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하거나 기저 질환이나 약물 복용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2025.01.03
-
혈액 검사, 소변검사 결과의 임상적 의의2025.01.141. 일반혈액 결과 일반혈액 검사 결과의 임상적 의의를 설명합니다. 백혈구, 적혈구, 혈색소, 헤마토크릿, 평균적혈구용적, 평균적혈구혈색소,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 혈소판, 백혈구 감별계산 등의 참고치와 임상적 의의를 제시합니다. 2. 일반혈액 결과: 검체(S.C Plasma) 프로트롬빈 시간(PT),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D-dimer 등 혈액응고 검사 결과의 임상적 의의를 설명합니다. 3. 효소면역 결과: 검체(Serum) 총단백, 알부민, 빌리루빈, 콜레스테롤, ALP, AST, ALT, γ-GTP, BUN...2025.01.14
-
혈액형 판정과 혈구세포 관찰 예비, 결과 보고서2025.01.041. 혈액형 혈액형은 적혈구에 있는 항원의 종류에 따라 결정됩니다. ABO식 혈액형과 Rh식 혈액형이 있으며,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혈액형을 판정할 수 있습니다. 혈액형 판정 실험에서는 항A, 항B, 항D 혈청과의 응집 반응을 관찰하여 혈액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혈구 세포 혈액은 혈장과 혈구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혈구 세포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으며, 각각 산소 운반, 면역 작용, 지혈 기능을 담당합니다. 현미경 관찰을 통해 적혈구와 백혈구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혈액형 혈액형은 개인의 고유한...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