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해상운송] 운송계약과 정기선의 운임2025.04.281. 해상화물 운송계약 해상화물 운송계약에는 개품운송계약과 용선운송계약이 있다. 개품운송계약은 운송인이 다수의 송하인으로부터 화물을 운송하는 계약이며, 용선운송계약은 선주가 제공한 선박의 전부나 일부 선복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계약이다. 용선계약에는 일부용선계약과 전부용선계약이 있으며, 전부용선계약은 다시 항해용선계약과 기간용선계약으로 구분된다. 2. 정기선 운임의 계산방법 정기선 운임은 화물의 중량, 부피, 가격, 개수 등 다양한 기준으로 계산된다. 중량기준, 부피기준, 종가단위, 개수단위, 적하량단위, 박스 레이트 등이 대...2025.04.28
-
해상운송의 운임형태(정기선운임, 부정기선운임)2025.01.201. 정기선운임 정기선운임은 화물의 중량과 용적을 기준으로 산정한 기본운임에 할증료와 부가료를 합산하여 산정한다. 기본운임은 운임률 표에 표기된 품목별 운임이며, 할증료에는 유가할증료, 통화할증료, 중량할증료 등이 있다. 부가료에는 부두사용료, 체선료, 지체료 등이 있다. 정기선운임은 운임지급 시기, 운송의 완성도, 하역비 부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2. 부정기선운임 부정기선운임은 용선시장에서의 선박에 대한 공급량과 수요량에 의해 결정된다. 선박에 대한 공급량은 운송에 이용될 수 있는 선복량에 의해 결정되고, 수요량은 운...2025.01.20
-
항공운송의 운임형태2025.01.201. 항공운임의 산정방식 항공운임은 실제 화물의 중량이나 용적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때에 따라 운송회사에서 정한 기준중량을 적용하기도 한다. 실제중량에 의한 방법, 용적중량에 의한 방법, 낮은 운임을 적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2. 항공운임 요율의 유형 항공운임에는 일반품목요율, 특정품목할인요율, 품목분류요율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일반품목요율은 기본적인 운임요율이며, 특정품목할인요율은 특정 품목에 대해 할인된 요율을 적용하고, 품목분류요율은 품목에 따라 할인 또는 할증된 요율을 적용한다. 3. 항공운임의 형태 항공운임에는 종량운...2025.01.20
-
해상운임2025.01.221. 해상운임의 의의 해상운임은 선사가 선박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한 대가이며, 운임의 수준은 시장경제의 원칙인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의해 결정됩니다. 정기선운송에 있어서는 항로별로 해운동맹이 결성되어 운임률을 책정하고 있지만, 실제로 선사가 징수하는 시장운임은 운임률보다 훨씬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시황에 따라 변동폭도 크다. 2. 지급시기에 따른 분류 해상운임은 지급시기에 따라 선불운임(Freight prepaid)과 후불운임(Freight to collect)으로 구분됩니다. 선불운임은 CIF 또는 CFR 조건의 수출...2025.01.22
-
해상운송의 정기선과 부정기선 운송 방식2025.01.231. 정기선 운송 정기선 운송은 재래식 화물과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으로 구분되며, 오늘날에는 대부분 컨테이너 화물이 운송됩니다. 정기선 운송계약은 선주와 하주 간에 개품운송계약이 체결되며, 물류자동화 시스템과 EDI 시스템 등을 통해 운송계약 절차가 간소화되었습니다. 정기선 운임은 컨테이너 단위를 기준으로 산정되며, 품목별 운임, 무차별 운임, 품목별 박스 운임 등의 방식이 사용됩니다. 또한 중량, 용적, 양륙항 선택, 반송, 통화, 유가 등에 따른 할증운임이 적용됩니다. 2. 부정기선 운송 부정기선 운송은 하주가 선박회사...2025.01.23
-
항공화물운송2025.01.231. 항공화물운송의 의미 항공화물운송(air transportation)은 항공기를 이용하여 승객, 우편, 화물 등을 탑재하여 한 공항에서 다른 공항까지 운송하는 것이다. 국제화물운송은 해상이나 육상운송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항공산업의 발전과 화물전세기가 등장하여 세계를 일일생활권으로 하는 신속한 운송요구에 따라 항공운송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또한 국제분업의 가속화 빛 항공운송에 적합한 고부가가치 품목의 증가도 항공운송을 활성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2. 항공화물운송의 특성 항공운송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2025.01.23
-
컨테이너 운송에 대해서 설명하시오2025.01.221. 컨테이너 운송의 장단점 컨테이너 운송의 장점은 경제성, 신속성, 안전성이 있다. 경제성은 단위당 운임이 저렴하고 포장비, 창고료, 보험료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신속성은 규격화된 컨테이너 사용으로 하역시간과 정박기간이 단축되고 고속엔진 컨테이너선 사용으로 항해기간도 단축된다. 안전성은 화물이 견고하고 밀폐된 컨테이너에 의해 운반되어 파손과 도난 위험이 적다. 단점은 모든 화물을 컨테이너로 운송할 수 없고 컨테이너 운송에 필요한 도구와 항만설비에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며 갑판적재화물에 대한 할증보험료 적용이다. 2. 컨테이너화물의...2025.01.22
-
컨테이너운송의 장단점2025.01.211. 컨테이너운송의 장점 컨테이너에 의한 운송은 일반운송에 비하여 경제성, 신속성, 안전성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경제성 측면에서는 화물포장비, 운임, 운송비, 창고비, 하역비, 인건비, 사무비 등을 절감할 수 있고, 보험료도 절약할 수 있다. 신속성 측면에서는 기계화 하역과 고속 컨테이너선으로 인해 하역 및 운송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사후절차 간소화로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안전성 측면에서는 화물이 안전하고 견고한 용기에 의해 운반되어 파손 및 도난의 염려가 없다. 2. 컨테이너운송의 단점 컨테...2025.01.21
-
[국제물류론] 컨테이너 운송에 대해서 설명하시오2025.01.281. 컨테이너의 의의 컨테이너(container)란 화물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운송할 수 있게 제작된 규격화된 운송용기를 말한다. 컨테이너를 이용한 운송은 운송화물의 단위당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선복이윤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화물을 일시에 적재하고 양륙할 수 있어 운송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를 이용할 경우 최종 목적지까지의 운송 즉, '문전에서 문전(door to door)까지의 운송을 실현할 수 있다. 2. 컨테이너운송의 장단점 1) 장점: 정박기간 단축, 환적의 용이성, 창고료 절감, 화물의 안전성...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