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04개
-
모성간호학 19장 정상분만간호2025.01.161.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프로게스테론은 자궁평활근을 이완시켜 자궁수축을 억제하지만, 에스트로겐 상승과 프로게스테론 감소로 인해 자궁수축이 촉진되고 프로스타글란딘이 증가하여 분만이 시작된다. 2. 옥시토신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옥시토신의 영향으로 임신 말기에 자궁수축이 증가되어 분만이 시작된다. 3. 태아의 내분비 조절 태아가 성숙하면서 태아 부신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분비되어 자궁수축의 전조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 분비를 자극하며, 스트레스로 인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방출로 조기분만이 일어날 수 있다. 4. 프로스타글란딘 분...2025.01.16
-
임신성 당뇨병 관리2025.01.151. 임신성 당뇨병 진단 임신 24~28주에 포도당 50g 경구투여 검사(OGTT)로 임신성 당뇨를 스크리닝하며, 1시간 후 혈장 내 혈당이 140mg/dl(고위험 산모는 130mg/dl) 이상이면 포도당 100g OGTT를 실시하여 결과를 평가한다. 결과 수치 중 2개 이상이 증가되면 임신성 당뇨로 진단하며, 과체중(BMI 23 이상)이면서 다른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임신 중 조기 검진을 실시한다. 2. 임신성 당뇨병의 원인 임신은 임부의 내분비활동을 촉진시키며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한다. 태반에서 분비...2025.01.15
-
태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요인2025.05.131. 태내 환경 요인 태아의 건강 상태는 임신부의 영양상태, 흡연 여부, 음주 여부, 약물 복용 여부, 스트레스 정도, 감염 여부, 사회·경제적 수준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특히 태내 환경 중에서도 태아의 뇌 발달 및 신체 기관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엄마의 자궁 내 환경입니다. 태아의 성장 과정에는 어머니의 자궁 내 환경이 매우 중요하며, 태아는 수정 후 약 10주 동안 모체로부터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받고 노폐물을 배출하며 발달합니다. 2. 외부 요인 태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외부요인으로는 유전인자,...2025.05.13
-
PPROM 조기양막파수 진단 및 치료2025.01.061. PPROM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은 37주 이전에 진통 없이 자발적으로 양막이 파열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전체 임신의 1.7%와 주산기 사망의 20%를 차지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자궁 내 감염,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DNA 손상, 조기 세포 노화 등이 있습니다. 2. PPROM 진단 PPROM 진단을 위해서는 양수 누출 확인, 질 분비물 검사(질 pH, 질 분비물 결정 검사), 인디고카민 주입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최근에는 AmniSure, ROM...2025.01.06
-
내분비 및 임신관련 검사, 약물 및 중금속 검사2025.05.111. 내분비 검사 내분비 검사에는 뇌하수체 호르몬(성장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 갑상샘자극호르몬, 항이뇨호르몬), 부신호르몬(코티솔, 알도스테론), 갑상샘호르몬(티록신, 트리아이오딘티로닌), 부갑상샘호르몬, 인슐린 등이 포함됩니다. 각 호르몬의 정상 범위와 증가 및 감소 시의 임상적 의의, 그리고 검사 전후 간호 및 문제해결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임신 관련 검사 임신 관련 검사로는 사람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β-HCG) 검사가 있습니다. HCG는 임신 초기 진단, 임신 기간 확인, 포상기태 및 융모성 종양 진단 등에...2025.05.11
-
생식기관과 내분비 (인체, 생리학)2025.05.141. 남성 생식기의 기능 남성 생식기는 내성기와 외성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자를 만들고 생식을 담당한다. 내성기에는 고환, 부고환, 정관, 정낭, 사정관, 전립샘이 있으며, 외성기에는 음경과 음낭이 있다. 발기에는 중추성 발기와 반사성 발기가 있으며, 사정은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2. 정자의 구조 정자는 인체에서 가장 작은 세포로, 머리부, 중간부, 꼬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부에는 아버지의 유전정보가 담긴 핵이 있으며, 중간부에는 정자의 운동에 필요한 미토콘드리아가 있다. 정자는 태아기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며, 복잡한 세...2025.05.14
-
모성간호학실습 A+ PROM 조기파막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2025.05.011. 조기파막(PROM) 조기파막(PROM)은 재태기간 중 어느 시점에서나 적어도 분만 시작 전에 자연적 양막 파열이나 양수의 유출이 있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은 감염(특히 비뇨기계 감염)으로 인한 양막의 병리적 쇠약, 자궁 수축으로 인한 스트레스, 또는 자궁내압을 상승시키는 다른 요인으로 발생한다. 조기파막이 일어나면 정상적인 질 분비물과 비슷하게 따뜻하고 묽은 분비물이 나오며, 이 분비물이 붉은 빛을 띠는 경우도 있다. 모체 측 합병증으로는 융모양막염, 태반 조기박리, 패혈증, 사망이 있고, 태아 측 합병증으로는 자궁 내 감염,...2025.05.01
-
태반 조사자료2025.01.271. 태반 형성 영양배엽이 빠르게 증식하여 주위의 탈락막 속으로 침투하고 모체의 혈관에도 침투가 이루어져 융모간강이 형성됩니다. 태아 및 모체혈관계는 약 17일째에 기능을 시작하며 태반순환이 이루어집니다. 융모막의 대부분은 작은 융모가 벗겨져 있는 평활융모막이 되며, 번생융모막의 일부 융모는 탈락막까지 뻗쳐 부착성 융모의 기능을 합니다. 2. 태반의 구조 태반은 원반모양으로 직경 15~20cm, 두께 2.5~3cm, 무게 400~600g 정도입니다. 태아면은 편평하고 회백색으로 빛나는 양막으로 덮여 있고, 모체면은 암적색으로 표면이...2025.01.27
-
여성간호학 CPD(cephalopelvic disproportion) C/SEC Case Study2025.01.221. 산도 이상 산도의 이상은 골반의 이상과 경관과 회음의 연조직 이상으로 나누며, 이러한 문제는 태아의 진입, 하강 및 만출을 방해한다. 골반 이상이란 산도, 즉 골반의 입구, 골반강과 출구가 협소한 협골반으로 아두의 크기가 골반의 크기보다 큰 아두골반 불균형(cephalopelvic disporoportion, CPD)인 경우이다. 협골반의 원인으로는 선천적 협골반, 영양실조, 종양, 골반 골절, 척추나 하지 이상, 구루병이나 골연화증 등이 있다. 협골반 시 분만 기전은 골반 형태에 따라 다르며, 진단을 위해서는 내진, DeLe...2025.01.22
-
임신생리2025.05.131. 임신과정 - 수정과 착상 수정은 나팔관의 1/3부분인 팽대부에서 흔히 일어나며, 수정에 중요한 시기는 배란 전 48시간, 배란 후 24시간을 합한 72시간이다. 정자가 편모와 자궁수축을 이용해 나팔관에 있는 난자를 향해 움직이며 정자가 난자로 들어가는 기전은 이종의 항원-항체반응과 유사하다. 접합자가 형성되자마자 곧 세포분열이 일어나는데 이런 초기분열을 난할이라고 하며, 접합자가 자궁에 도달될 때 16-50세포체가 된다. 상실배는 수정 후 3일 내에 완성되어 16-32개의 분할구를 형성하며, 수정 후 7일째에는 투명대가 사라지...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