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한강유역 중도식토기2025.01.041. 중도식 토기의 의미 중도식 토기(中島式 土器)는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반도의 중간 지역인 '중도(中島)'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무문 토기를 가리킨다. 중도식 토기는 원삼국시대에 만들어졌으며, 타날문 토기와 함께 이 시기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중도식 토기는 무늬가 없고 불그스름한 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2. 중도식 토기의 기종과 편년 중도식 토기의 기종은 호 형태, 발 형태, 완 형태, 뚜껑 형태, 시루 형태로 구분된다. 호 형태 토기가 가장 많이 출토되며, 외반구연호, 내만구연호, 유경호로 세분된다. 중도식 토기의 등장...2025.01.04
-
백제토기2025.01.101. 한성 백제토기의 특징 한성 백제토기 중 심발형토기와 장란형토기의 구연-경부 형태, 타날문양, 저부형태 및 제작기법, 태토 및 소성, 기고 등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심발형토기는 조리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장란형토기는 부뚜막에 설치되어 음식을 조리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2. 한성 백제토기의 변화상 한성 백제토기의 변화상을 기준으로 크게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Ⅰ기는 원삼국시대부터 발전된 경질무문토기에 타날문이 시문되는 과도기, Ⅱ기는 심발형토기와 장란형토기가 본격적으로 사용되는 단계, Ⅲ기는 이들 토기가 발달하며 백제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