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A-부A 검사 관능검사 실습 및 결과 분석2025.11.161. A-부A 검사 A-부A 검사는 두 시료 중 하나가 기준시료로 중요성이 있거나 패널이 익숙한 기존 제품과 다른 시료를 비교해야 할 경우 적합한 관능검사 방법이다. A와 부A 시료를 제시하여 패널이 시료에 익숙해진 후 A인지 부A인지를 평가하게 한다. 패널의 응답을 정답 횟수로 정리하고 카이제곱 검사를 수행하여 두 시료 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정한다. 2. 카이제곱 검사(χ² test) 카이제곱 검사는 관측값과 기댓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두 시료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는 방법이다. 공식은 χ²=Σ(O-E)²/E이며, 여기서 ...2025.11.16
-
관능검사: 일-이점검사와 단순차이검사2025.11.161. 일-이점검사(Triangle Test) 2개의 시료 중 어느 시료가 기준시료와 동일한가를 판별하는 관능검사 방법입니다. 우연히 정답을 얻을 확률은 50%이며, 최소 15명 이상의 패널을 동원하고 30명 이상이면 차이 식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3개의 시료를 평가하여 이점검사 유의성 검정표와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판정합니다. 실험 결과 18번 검사 중 13번 성공으로 5% 유의성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습니다. 2. 단순차이검사(Simple Difference Test) 2개 시료 간 차이를 판별하는 관능검사로...2025.11.16
-
측정수준에 따른 척도의 이해와 분류2025.11.121. 명목척도(Nominal Scale) 명목척도는 측정대상을 단순히 분류하고 확인하는 목적으로 부호 또는 수치를 부여하는 척도입니다. 예를 들어 학력 조사에서 '중졸이하', '고졸', '대졸', '대학원졸'과 같이 카테고리를 구분하는 것이 명목척도입니다. 숫자로 표현되지만 수량적 의미는 없으며, 범주 구분의 용도로만 사용됩니다. 명목척도는 측정하기 쉽지만 고급 통계분석이 어렵고, 최빈값만 사용 가능하며 빈도분석과 비모수통계 분석에 적합합니다. 2. 서열척도(Ordinal Scale) 서열척도는 측정대상을 크기에 따라 순서적으로 배...2025.11.12
-
이산확률분포의 종류와 특성 요약2025.11.161. 이산확률분포의 정의 이산확률분포는 확률 변수가 이산형 값을 가질 때 그 분포를 나타내는 확률 분포다. 이산형 값은 유한한 몇 가지 값 중 하나를 가지며, 각 값의 확률이 할당되어 있다. 이러한 이산확률분포는 특정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모델링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되고 있으며, 확률론적인 모델링과 통계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기여하고 있다. 2. 이항분포와 베르누이 분포 이항분포는 성공 또는 실패와 같이 두 가지 가능한 결과가 있는 시행을 반복하여 발생하는 확률분포로, 각 시행은 독립적이며 확률 p로 성공할 확률이 주어진다. 베르...2025.11.16
-
간호연구 전범위 필기노트2025.05.141. 측정의 의미 측정은 변수에 값을 부여하는 것으로, 개념을 경험적(현실)세계의 자료와 연결시켜주는 과정이다. 측정 시 고려해야 할 점은 신뢰성과 타당성이다. 신뢰성은 반복연구에서 얼마나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지, 타당성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2. 측정 수준 측정의 범위에 따라 명목, 서열, 등간, 비율 측정 수준으로 구분된다. 명목 측정은 단순 분류, 서열 측정은 분류와 서열화, 등간 측정은 분류, 서열화, 간격화, 비율 측정은 분류, 서열화, 간격화, 비율화를 포함한다. 3. 측정오차 측정오...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