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우리나라 취사 용기의 변화사2025.01.191. 구석기시대 취사용기 구석기시대에는 주로 수렵과 채취활동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였다. 구석기시대의 취사용기는 주로 돌로 만든 화덕과 불퉁이를 이용하였다. 2. 신석기시대 취사용기 신석기시대에는 밭작물인 피, 기장, 조 등을 주로 재배하였으나 아직 주식으로 자리 잡지 못한 쌀 재배는 미미하였다. 이 시기에 갈돌, 갈판과 같은 석기에서 도토리가 다량 검출되어 야생식물 채취도 병행했음을 알 수 있다.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취사용기로는 토기와 돌그릇이 꼽힌다. 3. 청동기-초기 철기시대 취사용기 청동기-초기 철기시대에 접어들며 남부 연안...2025.01.19
-
한강유역 중도식토기2025.01.041. 중도식 토기의 의미 중도식 토기(中島式 土器)는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반도의 중간 지역인 '중도(中島)'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무문 토기를 가리킨다. 중도식 토기는 원삼국시대에 만들어졌으며, 타날문 토기와 함께 이 시기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중도식 토기는 무늬가 없고 불그스름한 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2. 중도식 토기의 기종과 편년 중도식 토기의 기종은 호 형태, 발 형태, 완 형태, 뚜껑 형태, 시루 형태로 구분된다. 호 형태 토기가 가장 많이 출토되며, 외반구연호, 내만구연호, 유경호로 세분된다. 중도식 토기의 등장...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