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6. 흙의 다짐시험 결과레포트2025.05.101. 흙의 수정다짐 시험 실험 목적은 37.5mm체를 통과한 흙의 건조밀도-함수비 곡선에 의해 최대건조밀도 및 최적함수비를 구하는 것이다. 다짐시험은 현장에서 임의의 함수비로 흙을 다질 때 예상되는 단위중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실험 순서는 1) 압축 시험을 할 건조 된 흙을 준비하여 No. 4 체에 밭침, 2) 준비된 흙에 물을 충분히 넣고 섞어서 수분함량이 5% 정도까지 조정, 3) 몰드에 흙을 적당히 넣고 25회 균일하게 다짐, 4) 다짐이 끝나면 칼라를 빼내고 시료 칼로 몰드의 가장자리를 반듯하게 깎음, 5) 몰드 주...2025.05.10
-
토질실험 흙의 다짐 레포트2025.01.231. 다짐 다짐은 흙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거하여 흙을 촘촘하게 만드는 작업으로, 흙의 단위중량을 증가시키는 작업이다. 물의 윤활 작용으로 인해 건조토보다 물이 약간 있는 경우가 흙 입자의 이동을 더 쉽게 하므로 더 잘 다져진다. 하지만 물이 너무 많을 경우, 간극수가 공기의 배출을 방해하고 흙입자가 들어갈 공간을 차지하여 잘 다져지지 않는다. 가장 잘 다져지는 최적함수비와 최대 건조 단위 중량이 존재한다. 2. 실험 과정 실험은 표준 다짐 몰드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4000g의 풍화토에 10%의 물을 섞어 균질하게 만든 후, 몰드...2025.01.23
-
[A+] 들밀도 실험 레포트2025.05.161. 들밀도 실험 들밀도 실험은 현장 다짐 공법 중 하나로, 실내에서 다짐 시험을 진행하여 얻어낸 최적 함수비와 최대 건조 단위 중량을 현장 토를 다짐하여 얻어낸 건조 단위 중량과 비교해 상대 다짐도를 구하여 절토, 성토 시 현장 토의 적정도를 판별하기 위한 실험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현장 흙의 건조 단위 중량을 측정하여 상대 다짐도를 파악하고, 상대 다짐도와 다짐 시방을 비교하여 다짐 시공의 품질 관리를 알아내는 것이 목적입니다. 2. 실험 배경 현장 토의 습윤 단위 중량(gamma_t)과 건조 단위 중량(gamma_d)은 각각...2025.05.16
-
건축공학과 건축재료실험 레포트 3. 굵은골재시험2025.01.241.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은 골재의 입도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다. 골재의 입도는 체통과율, 굵은유율 등으로 표시되며, 골재의 크기는 체통과율에 따라 구분된다. 골재의 입도 분포 및 최대치수를 조사하여 콘크리트에 사용하기 적합한지 판단할 수 있다. 골재의 입도가 연속입자분포로 적절하게 분포되면 공극률이 축소되어 단위용적질량이 크고, 시멘트량이 절약되며, 강도가 커지고, 수밀성,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을 지닌 경제적인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2. 굵은골재의 단위용적중량 및 공극율 구하기 굵은골재의 단위용적...2025.01.24
-
식품화학및실험 실험보고서(수분정량)2025.05.131. 수분 정량 실험의 목적은 시료의 특성에 따른 조제 방법에 대한 유의사항을 숙지하고, 올바른 방법으로 풍건 시료(예비건조시료)를 조제 및 취급 방법을 터득하는 것이다. 또한 시료의 수분함량을 오차 없이 측정하기 위해서 칭량병의 항량을 정확하게 맞춰야 하며, 항량을 하는 이유와 방법을 터득한다. 그 후 시료의 항량을 구하여 수분함량을 알 수 있다. 수분의 정량에는 건조법, 적정법, 증류법, 전기적 측정법 등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으나 건조법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다. 이 건조법으로 수분을 정량할 때는 수분만이 아니라 식품에 따라서는...2025.05.13
-
흡광광도법을 이용한 미생물 증식 측정2025.01.121. 미생물의 생장 이론 미생물의 생장은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생장상태는 유도기, 가속기, 로그기, 감속기, 정상기, 그리고 사멸기로 구분된다. 배지로 도말된 세균들은 배지 속의 영양분을 흡수하고 분열을 시작하며, 영양분이 고갈되면 죽은 세균이 방출하는 영양분을 흡수하며 유지하다가 일정한 비율로 사멸하게 된다. 2. 흡광광도법의 원리 흡광은 물질의 광학적 성질 중 하나로, 물질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특정 파장의 빛을 받은 전자는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낮은 전자궤도에서 높은 전자궤도로 이동하...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