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시조의 시기별 전개2025.01.281. 고려 말 회고가 고려왕조를 회고하는 회고가는 길재를 비롯하여 이존오와 원천석, 이색, 이조년 등이 지었는데, 고려 멸망 후 고려 왕조의 지난날을 되새기면서 지은 작품입니다. 원천석은 고려의 멸망을 바라보면서 한시를 지었고, 길재는 고려를 회고하면서 회고가를 남겼습니다. 2. 조선 초창기의 시조 고려 말 조선 초에 사대부들은 관념적 유교이념을 형상화하는 시조들을 주로 지었습니다. 여말선초에는 고려 왕조에 대한 회고가와 절의가를 통해 자신들의 감흥을 표현하였는데, 사대부 시조는 조선에 대한 절의를 표현하는 작품들이 많았습니다. 3...2025.01.28
-
고려에 절개를 지킨 정몽주2025.04.301. 정몽주 정몽주는 고려에 절개를 지켰지만 조선왕조가 건국된 후에도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조선의 태종은 신진사대부인 권근의 청에 따라 그의 절의를 포상하여 영의정을 추증하였습니다. 그리고 정몽주에게 문충(文忠)이란 시호를 내리고 자손들을 등용하였다고 합니다. 정몽주는 학문에 매우 뛰어났던 인물로, 공민왕 시기에 연달아 삼장에 장원으로 급제하였고 고려말에 성리학이 뿌리를 내리는데 중요한 공헌을 하였습니다. 정몽주는 동방 이학의 시조로 불리고 있으며, 개성의 숭양서원과 경상북도 영천의 임고서원에 배향이 되어 있습니다. 정몽주는 조...2025.04.30
-
출생순서, 유전적 요인, 학습 요인 등 성격 형성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할 수 있습니다2025.01.191. 이순신 장군의 성격 형성 요인 이순신 장군의 생애사와 성격을 분석한 결과, 그의 성격은 부모의 영향보다는 개인적인 경험과 명문 집안에서의 교육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청렴하고 원리원칙을 중시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그의 강한 도덕적 가치와 자기 희생적인 특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어린 시절부터 교육과 학문에 노력하며 사군들의 사상을 받아들인 것이 그의 인품 형성에 기여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1. 이순신 장군의 성격 형성 요인 이순신 장군의 성격 형성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2025.01.19
-
조선시대의 시조2025.05.091. 조선시대 시조 조선시대에 시조는 개인의 서정을 노래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조선 초기에는 고려 유신들의 고려 왕조에 대한 비탄적인 회고를 하는 시조들이 많이 나왔고, 단종의 퇴위와 관련된 시조들도 많이 등장했습니다. 사육신들은 절의를 지키는 시조를 남겼는데, 그 중 이개, 유응부, 박팽년의 대표적인 시조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2. 조선시대 연시조 조선시대에는 연시조도 많이 나왔는데, 대표적인 연시조 작가는 윤선도입니다. 그의 대표작인 '어부사시가'는 모두 40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가을에 해당하는 부분을 소개하고 ...2025.05.09
-
서원을 통한 역사적 의의 고찰 -청풍서원과 죽수서원을 중심으로-2025.05.121. 청풍서원 청풍서원은 충절공 야은 길재의 영정과 입패를 봉안한 곳이다. 1741년 서원남설 금령으로 철폐되었으나 1761년 길상형, 길래의 등이 중심이 되어 백세청풍비를 세웠다. 마침내 1800년 가을 당시 도백이었던 김달순이 유생들과 자손들의 뜻에 따라 사당을 중건하기로 계획하였고, 이듬해 착수하여 1804년에 준공하였다. 이로써 해평길씨는 향촌 내에서의 우위를 재확인하였고, 자신들의 혈통적, 사상적, 그리고 지역적 정체성을 성찰하며, 유지과정에서는 같은 지역 주민들과의 상생과 협력의 관계를 구축하였다. 2. 죽수서원 죽수서원...2025.05.12
-
나계종 연보2025.05.061. 나계종 나계종(羅繼從)은 고려 시대 후기의 충신으로, 성균관순유박사, 전리좌랑, 예문관제학 등의 주요 관직을 역임했다. 그는 공민왕에 대한 절의를 지켜 삼은각에 배향되었으며, 조선 개국 후에도 태조의 부름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한시 85수를 창작하고 성리학을 논한 서간을 저술했으며, 특히 오언 절구와 칠언 율시에 뛰어났다고 평가된다. 그의 저서 『죽헌유집』은 1650년 조선 시대에 간행되었으며,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2. 고려 시대 문신 나계종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성균관순유박사, 춘추관검열, 사헌부...2025.05.06
-
우리나라의 한시2025.05.051. 동문선 동문선은 조선 성종 시대에 서거정 등이 편찬한 우리나라 한문학의 대표적인 서적입니다. 이 책에는 신라 시대부터 고려시대, 조선초기의 한시 작품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동문선에 수록된 한시 작품들로는 최치원의 '촉규화', 김부식의 '결기궁', 최치원의 '강남녀', '고의' 등이 있습니다. 2. 최치원 최치원은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한시 작가로, 동문선에 그의 작품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그가 당나라에 유학 시절에 지은 '강남녀'와 '고의'라는 한시가 동문선에 실려 있습니다. '강남녀'는 당시 강남 지역의 풍속과...2025.05.05
-
한국문학개론 1차, 2차 토론합본2025.01.171. 한국문학의 갈래 한국문학의 갈래는 장르 또는 문학의 양식에 따라 크게 4가지 학설에 의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 이병기에 의해 시가문학과 산문문학 2분법으로 나눕니다. 둘째, 장덕순에 의해 서정적 양식, 서사적 양식, 극적 양식 3분법으로 나눕니다. 셋째, 조윤제에 의해 시가, 가사, 소설, 희곡 4분법으로 나누며, 부수적으로는 평론과 잡문이 있습니다. 넷째, 조동일 또한 한국 문학의 갈래를 4분법으로 나누는데, 서정, 교술, 서사, 희곡이 있습니다. 2. 한국문학 속 주인공의 특성 한국문학 속 주인공은 대체로 자기 희생...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