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86개
-
춤과전통문화 ) 전통무용에 관련된 공연(현장공연)을 보고 감상문2025.04.271. 동래야류 동래야류는 부산 동래구에서 전승되는 탈놀음으로 매년 정월대보름 저녁에 농사를 점치거나 풍년을 기원했다. 삶의 희로애락을 경상도 지역의 마당춤의 대명사라고 볼 수 있는 '덧배기 춤'으로 풀어낸다. 이번 공연에서는 대사는 최소화하고 몸의 언어로 감정을 표현하는데, 동래야류 5과장의 전통적인 틀은 계속해서 유지하면서 전통 캐릭터에 현대적인 해석을 추가했다. 2. 문둥이 원래 야류에선 남자인 문둥이 2명이 등장하지만, 이번 공연에서는 문둥이 가족으로 변화했다. 큰 문둥이와 작은 문둥이가 부부 문둥이와 아기로 구성된 문둥이 3...2025.04.27
-
입춤의 정의와 다양한 입춤을 대상으로 비교분석2025.01.101. 입춤의 정의 입춤은 다른 말로는 즉흥무, 수건춤, 굿거리춤 등이라고 부른다. 즉흥무나 허튼춤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입춤의 춤사위가 순서가 특별히 정해지지 않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감정을 표출하는 미적 의식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굿거리춤이나 수건춤과 같은 이름으로 불리는 이유는 굿거리 장단에 맞춰서 춤을 추거나 수건을 사용해서 춤을 추기 때문에 붙었다. 2. 서울·경기 지역의 입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입춤은 한성준류의 강선영 입춤, 김덕순 계열의 김숙자 입춤, 김인호 계열의 이동안 수건춤이 있다. 한성준류의 강선영 입춤은 굿거리...2025.01.10
-
민속무용 ) 민속무용에 관련된 공연(현장공연)을 보고 감상문 제출2025.05.161. 민속무용 민속무용은 민중의 풍속과 관련하여 만들어진 춤으로, 왕족이나 귀족이 즐겼던 궁중무용과는 달리 피지배계층이 주체가 되어 추고 감상하는 무용이다. 각 나라나 지역에 따라 독특한 개성을 표출하며, 지역의 날씨, 지형, 문화 등의 차이가 반영된다. 민간사회를 통해 전승되어 오며, 일상의 소소한 재미나 희노애락의 정서, 종교의식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또한 지배 계층과 왕권에 대한 저항 의식을 바탕으로 비판과 해학의 정서가 느껴지기도 한다. 2. 진도북춤 진도북춤은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전해지는 민속무용으로, 양손에 채를 쥐...2025.05.16
-
김명숙류 산조춤 소천 무보읽기2025.01.121. 전통춤 무보 이번에 읽게 된 무보는 사진으로 되어있어 그림으로 된 무보보다는 읽어내기가 보다 수월했습니다. 사진으로 된 무보는 전통 예술 형태로서의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표기법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무보를 만드는 과정에서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지만, 앞으로 많은 전통춤들도 무보로 정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전통춤의 보존과 연구 뿐 아니라, 예술의 발전과 창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2. 전통춤 기록 방식 영상기술과 사진기술의 발달 이전에는 무보를 통해 움직임을 기록했을 것입...2025.01.12
-
살풀이춤의 수건에 대한 분석2025.01.121. 살풀이춤 살풀이춤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춤 중 하나로, 무속음악 중 '살풀이'라는 남도 무악 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이다. 처음에는 굿판의 대청이나 안방에서 넋종이, 손수건 등을 들고 입에 물기도 하며 춤추다가 점차 극장식 무대로 옮겨지면서부터 예술적으로 무대화되어 긴 명주 수건을 뿌리고 휘날리며 우아한 아름다운 동작선을 연출하여 독특하고 완벽한 예술작품으로 승화 및 발전되었다. 2. 수건의 상징적 의미 수건은 '넋'을 상징하며 이 수건(천)은 남도굿에서의 '돈전(지전(紙廛))'이 기방에서 무용화됨에 따라 명주 수건으로 대신 사...2025.01.12
-
한국공연문화의 이해 - 대한민국 무형유산 공연 감상2025.04.291. 무형문화재 무형문화재는 연극, 음악, 무용, 공예 기술 등 유형이 없는 문화적 자산으로, 역사적 또는 예술적 가치가 큰 것을 말한다. 무형문화재는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자산으로, 전통적 공연, 예술, 미술 등의 전통기술과 어로, 농경, 한의약 등의 전통지식, 구전 전통 및 표현, 의식주 등 전통적인 생활관습과 민간신앙 등을 포함한다. 2. 벽사 한영숙 명인 벽사 한영숙 명인은 충남 천안 출신으로, 1969년과 1971년에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와 제40호 예능보유자로 인정받은 예술인이다. 할아버지이자 스...2025.04.29
-
한국 춤의 흐름과 발전을 통한 전통문화의 과거와 현재2025.05.071. 한국 무용의 정의 한국 무용이란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진 모든 종류의 무용을 말한다. 한국무용은 크게 궁중무용·민속무용·가면무용·의식무용·창작무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2. 한국 무용의 특징 한국무용의 초기 형태는 국가적 의식 끝에 있는 축제의 흥이 어깨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나, 장단가락과 박자에 맞추어 온몸으로 퍼지는 춤사위를 한국적인 멋으로 승화한 것이라 이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한국무용의 특성은 변형되었는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윤리와 사상이었던 불교와 유교의 가르침에서...2025.05.07
-
지역축제 사례조사2025.05.141.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1997년 최초로 개최되었으며, 이후 매년 9월 마지막 주 중 열흘 간 열리는 지역 축제입니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하회별신굿탈놀이를 기본 주제로 삼고 있으며, 12개 중요 무형문화재단체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서 무형문화재 지정 공연을 선보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곳곳에서 보편적으로 찾을 수 있는 '마스크 댄스'를 함께 소개합니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한국의 전통 문화를 표상하는 지역인 안동에서, 한국의 전통 무용 중 하나인 탈춤을 관객들에게 선보이고 또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축제이며...2025.05.14
-
다문화연간교육계획안2025.05.061. 다른 나라 사람의 생김새 여러 나라 사람들의 생김새에 대해 알아보고, 나와 다른 사람들의 생김새에 대해 알아본다. 외국인 그림이나 사진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꾸미기를 한다. 2. 세계 여러 나라의 집 세계 여러 나라의 집에 대해서 알아보고, 나라마다 집의 모양과 특징이 다름을 이해한다. 집의 모양은 달라도 지구인으로서의 동질감을 느낀다. 3. 세계 여러 나라의 인사말 아시아 여러 나라의 인사말을 알고, 유럽 여러 나라의 인사말을 안다. '세계의 인사' 노래를 할 수 있다. 4. 세계 여러 나라의 결혼식 세계 여러 나라의 결혼식에...2025.05.06
-
A+ 유아미술교육_탈만들기 활동계획안_나만의 탈을 만들어요_탈춤활동계획안2025.01.181. 우리나라 전통 탈의 종류와 특징 유아들에게 우리나라 전통 탈의 종류와 특징을 소개하고 탐색해보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탈의 재료, 색상, 표정 등을 관찰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전통 예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입니다. 2. 탈 만들기 활동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유아 스스로 자신만의 탈을 만들어보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색상, 모양, 재료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3. 탈춤 활동 완성된 탈을 쓰고 전통 탈춤 영상을 감상하며 탈춤 동작을 탐색해봅니다. 음악에 맞춰 자유롭게 움직이며 신체활동을 즐...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