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조음 음운 오류 형태의 분류 및 사례2025.11.171. 음소 생략 단어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음소를 빠트린 채로 발음하는 오류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엄마'를 '어마', '물'을 '무', '색연필'을 '새연필'이라고 말하는 경우로, 완전한 단어 발음을 위해 필수적인 음소가 누락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는 언어발달장애 아동에게서 흔히 관찰되는 조음-음운 오류의 한 형태입니다. 2. 대치 단어를 구성하는 기존의 음소 중 일부를 다른 음소로 바꿔서 말하는 오류 형태입니다. '고양이'를 '고냥이', '귤'을 '굴'이라고 발음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 오류 형태는 원래의 음소가 다...2025.11.17
-
조음·음운장애의 특성과 중재 방안2025.01.041. 조음장애 조음장애는 조음기관의 결함으로 인해 특정 음소에서만 오류가 나타나며, 같은 오류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조음기관의 이상으로 말소리 산출 과정에 결함이 생기게 됩니다. 예를 들어 '사과'를 '따과', '사탕'을 '따탕'으로 발음하는 등 ㅅ 음소를 ㄷ 소리로 대치하는 오조음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경우 해당 발음 자체를 어려워하여 생략, 대치, 첨가, 왜곡 등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2. 음운장애 음운장애는 조음기관의 결함이 아닌 말소리 사용에 문제가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말소리에 대한 규칙을 습득하고 사용하...2025.01.04
-
한국어발화오류 사례 및 분류2025.01.211. 한국어 구어 발화 오류 우리는 일상 대화, 발표, TV나 유튜브를 통한 방송인들의 대화 등에서 많은 구어 오류를 찾아볼 수 있다. 이 과제를 통해 우리의 생활 속에 쉽게 발생하는 한국어 구어 오류 사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수집한 사례는 일상 속 대화 오류, 발표 중 오류, 유튜버의 영상 속 오류 등 3가지 범위에서 총 8가지이다. 2. 어휘적 발화오류 일상 속 대화오류와 유튜버의 영상 속 오류 사례가 어휘적 발화오류에 해당한다. 이는 발화 과정 중 사용할 단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이다. 3. 음운적 발화오류 일상...2025.01.21
-
한국어의 음운론적 제약의 유형과 음운 현상의 관계를 설명하고, 음운 현상 이해를 통한 한국어 발음 습득 방안2025.01.141. 한국어의 음운론적 제약 한국어에서는 음소들이 모여서 음절이 되고, 단어가 되고 나아가 문장이 될 때 음소들은 놓이는 자리에 따라 어떤 제약을 받기도 하고 영향을 주기도 한다. 한국어의 음운론적 특징으로는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의 음운대립, 마찰음의 수가 적음, 음절 끝 위치에 오는 파열음이 파열되지 않음, 소리의 길이가 하나의 음운자격을 가짐, 첫소리에 자음을 하나밖에 허용하지 않음 등이 있다. 음운론적 제약에는 음소구조제약, 음소배열제약, 음절구조제약, 음절배열제약, 단어구조제약, 단어배열제약 등이 있다. 2. 한국어의...2025.01.14
-
언어장애 아동의 가정 내 환경적 지원 방안2025.11.131.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특성 단순언어장애는 신경학적 손상, 청력, 지능 등에는 문제가 없으면서 언어발달만 지연되는 경우입니다. 이 아동들은 정상 아동에 비해 언어발달과 습득이 느리고, 첫 낱말 산출에서 지연을 보이며 어휘 학습도 느립니다. 보유 어휘량이 또래 아동보다 현저히 낮고, 문법적 요소나 구문 구조에서 많은 오류를 보입니다. 청각적 정보 처리가 느리고 주의집중에 어려움을 보이며, 문법 오류를 인지하기 어려워 정상 아동보다 더 오랜 기간 오류를 지속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가정 내 지원 방법 다양한 상...2025.11.13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받침 제외) 발음 오류와 교육 방안2025.04.301. 한국어 자음 체계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체계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설명하고, 한국어 자음의 특징과 다른 언어의 발음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자음은 19개이며 울림소리와 안울림소리로 나뉘고,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뉜다. 영어와 한국어 자음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2. /ㅕ/의 발음 오류 /ㅕ/는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발음으로, 음운 체계에 /여/에 대치되는 음소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 '며칠', '겨우', '혀'의 발음과 폐음절에서의 오류가 많이 나타난다. 3. /ㅓ/와 /ㅡ/의 구별 한국어 'ㅓ'...2025.04.30
-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오류 분석2025.11.151. 오류 분석론의 기본 개념 외국어 사용에서 오류 분석론은 학습자의 언어를 분석하여 목표어를 잘못 쓴 사례들을 연구하는 방법론입니다. 실수와 오류를 구분하며, 오류는 일관성과 규칙성을 가집니다. 오류 분석 절차는 수집, 식별, 분류, 설명, 평가로 이루어지며, 원인에 따라 언어 간 오류, 언어 내 오류, 학습 상황, 의사소통 전략으로 분류됩니다. 2. 발음오류 분석 영어권 학습자는 한국어에 없는 발음이나 분화된 소리를 어려워합니다. 예를 들어 'ㅈ'을 'ㅊ'으로, 'ㅂ'을 'ㅍ'으로 발음하는 오류가 있습니다. 일본어권 학습자는 '...2025.11.15
-
의사소통장애의 분류 유형2025.01.151. 구어장애 구어장애는 말하는 것 자체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거나, 의사소통하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에게 방해를 줄 때 발생합니다. 구어장애에는 조음음운장애, 유창성장애, 음성장애가 포함됩니다. 2. 조음음운장애 조음장애는 아동이 현재 물리적으로 주어진 소리를 산출할 수 없는 것이며, 음운장애는 소리를 낼 수 있는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하게 소리를 산출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3. 유창성장애 유창성장애는 음, 음절, 단어, 구의 비정상적인 리듬과 반복으로 구어의 흐름에 방해를 받으며 과도한 긴장, 투...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