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Marshall의 오퍼곡선2025.01.181. 상호수요설 J. S Mill의 상호수요설에 의하면 상대국의 상품에 대한 수요의 강도를 자국이 공급하려는 상품의 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국제교환에 있어서 상대국 상품에 대한 수요가 강하면 많은 양의 자국 상품을 제공하려 할 것이며, 반대로 수요가 약하면 적은 양의 자국 상품을 제공하려 할 것이다. 2. 오퍼곡선 A. Marshall은 J. S Mill의 상호수요설의 배후에 있는 이러한 관계 - 즉 교역조건이 변동할 때 각국은 얼마만큼의 수출과 수입을 하려고 하는가? - 를 곡선으로 도식화하였으며 이를 "오퍼곡선"(offer...2025.01.18
-
상호수요설(상호수요이론)2025.01.201. 상호수요설의 주요 개념 상호수요설은 수요 ? 공급에 의한 무역 균형의 설명을 처음으로 전개한 이론으로, 밀(J. S. Mill)이 수요조건을 무역이론에 도입했다. 이 이론은 이후 마샬 ? 에지워드 등에 의해 오퍼곡선(Offer Curve)으로 발전되었다. 상호수요설은 양국 간의 무역이 이루어질 때 두 상품의 국제교환비율이 어떻게 결정되며 이 비율에 따라 무역이익이 어떻게 배분되는지를 설명한다. 2. 상호수요설의 예시 한국과 미국의 생산 능력을 가정할 때, 한국은 신발 생산에 비교우위를, 미국은 옷감 생산에 비교우위를 가진다. ...2025.01.20
-
관세의 경제적 효과2025.01.191. 국내산업보호 및 자원의 배분기능 수입상품에 대한 관세부과는 수입상품의 가격인상을 통하여 외국상품의 수입을 억제하고 자국상품의 국내시장에서의 가격경쟁력을 강화시켜 국내의 생산공급을 증대시키고 국내의 유치산업을 보호 및 육성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수입상품에 대한 관세의 부과로 특정 산업이 보호되면 그 업종에 대한 투자를 유발시켜 자원을 배분하게 되므로 보호관세를 통해 혜택을 받는 산업은 보호를 받지 않는 산업보다 더 많은 자원을 배분받게 되어 자원배분의 기능을 수행한다. 2. 재정수입확보기능 관세는 국가경비를 조달하기 위한 재정...2025.01.19